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문학자료의 존재 양상과 탐색의 전망 = A Survey on the Existing State and the Prospects of the Korean Literary Material Research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survey the existing state and the prospects of the Korean literary material research.
      The existing state of the Korean literary material research is exposed to collect and arrange the literary works. The predecessors collect and arrange many Korean literary material to set up the guide ropes of Korean literary history. There are several methods to hand down the material as manuscripts, published books, direct statements, and the spots of literary work.
      We are able to expect the prospects of material research as following. We consider the key point as rediscovery and joint ownership of material.
      First, we are able to read Chosunwangjosillok(朝鮮王朝實錄)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the reality of those`days and the context of literary history.
      Second, we are able to read Munjip(文集; collection of works) for the sake of setting up the axis of coordinates both an individual study and a group study.
      Third, specially in Cheongguyeongon(靑丘永言), we are able to demonstrate the singer or the writer in the part of nameless.
      And the Fourth, we are able to research the material being handed down between individual and one’s close relatives.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survey the existing state and the prospects of the Korean literary material research. The existing state of the Korean literary material research is exposed to collect and arrange the literary works. The predecessors coll...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survey the existing state and the prospects of the Korean literary material research.
      The existing state of the Korean literary material research is exposed to collect and arrange the literary works. The predecessors collect and arrange many Korean literary material to set up the guide ropes of Korean literary history. There are several methods to hand down the material as manuscripts, published books, direct statements, and the spots of literary work.
      We are able to expect the prospects of material research as following. We consider the key point as rediscovery and joint ownership of material.
      First, we are able to read Chosunwangjosillok(朝鮮王朝實錄)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the reality of those`days and the context of literary history.
      Second, we are able to read Munjip(文集; collection of works) for the sake of setting up the axis of coordinates both an individual study and a group study.
      Third, specially in Cheongguyeongon(靑丘永言), we are able to demonstrate the singer or the writer in the part of nameless.
      And the Fourth, we are able to research the material being handed down between individual and one’s close relativ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표는 국문학자료의 존재 양상을 점검하고 자료 탐색의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국문학 연구의 초기 단계에서 선학들은 국문학의 벼리[史]를 수립하기 위하여 국문학자료의 수집과 정리에 집중하였고 그 성과가 매우 다양하게 집적되어 있다.
      국문학자료의 존재 양상은 몇 가지 경우로 확인할 수 있는데, 사본의 형태, 간본의 형태, 직접 진술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자료, 현장조사를 통한 자료의 확보 등으로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국문학자료의 탐색을 위한 전망은 새로운 자료에 대한 기대가 중요하지만 자료에 대한 재발견과 자료의 공유라는 두 축을 핵심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실천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조선왕조실록을 읽으면서 당대 정치 현실의 움직임을 돌아보면서 문학사의 맥락을 이해할 수 있는 안목을 마련하는 것이다.
      둘째, 문집을 읽으면서 사승과 교유의 인맥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인 연구나 집단 연구의 좌표축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셋째, 구체적인 사례로 『청구영언(진본)』의 무명씨에 대한 작가 변증을 시도할 수 있는데, 이때에 고려해야 할 항목들을 주목할 수 있다.
      넷째, 각 개인이나 문중에 전해지고 있는 자료에 대한 탐색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이 글의 목표는 국문학자료의 존재 양상을 점검하고 자료 탐색의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국문학 연구의 초기 단계에서 선학들은 국문학의 벼리[史]를 수립하기 위하여 국문학자료의 ...

      이 글의 목표는 국문학자료의 존재 양상을 점검하고 자료 탐색의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국문학 연구의 초기 단계에서 선학들은 국문학의 벼리[史]를 수립하기 위하여 국문학자료의 수집과 정리에 집중하였고 그 성과가 매우 다양하게 집적되어 있다.
      국문학자료의 존재 양상은 몇 가지 경우로 확인할 수 있는데, 사본의 형태, 간본의 형태, 직접 진술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자료, 현장조사를 통한 자료의 확보 등으로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국문학자료의 탐색을 위한 전망은 새로운 자료에 대한 기대가 중요하지만 자료에 대한 재발견과 자료의 공유라는 두 축을 핵심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실천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조선왕조실록을 읽으면서 당대 정치 현실의 움직임을 돌아보면서 문학사의 맥락을 이해할 수 있는 안목을 마련하는 것이다.
      둘째, 문집을 읽으면서 사승과 교유의 인맥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인 연구나 집단 연구의 좌표축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셋째, 구체적인 사례로 『청구영언(진본)』의 무명씨에 대한 작가 변증을 시도할 수 있는데, 이때에 고려해야 할 항목들을 주목할 수 있다.
      넷째, 각 개인이나 문중에 전해지고 있는 자료에 대한 탐색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통문관 1961

      2 박태원, "홍길동전" 조선금융조합연합회 1-176, 1947

      3 김삼불, "해동가요" 정음사 1-260, 1950

      4 이병기, "한중록" 백양당 1-165, 1947

      5 송신용, "한양가" 정음사 1-128, 1949

      6 정재호, "한국잡가전집 1~4" 계명문화사 1984

      7 박을수, "한국시조대사전, 상․하" 아세아문화사 1-1911, 1992

      8 임동권, "한국민요집 1-7" 집문당

      9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

      10 한국고전번역원, "한국문집총간 1-350" 한국고전번역원 2012

      1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통문관 1961

      2 박태원, "홍길동전" 조선금융조합연합회 1-176, 1947

      3 김삼불, "해동가요" 정음사 1-260, 1950

      4 이병기, "한중록" 백양당 1-165, 1947

      5 송신용, "한양가" 정음사 1-128, 1949

      6 정재호, "한국잡가전집 1~4" 계명문화사 1984

      7 박을수, "한국시조대사전, 상․하" 아세아문화사 1-1911, 1992

      8 임동권, "한국민요집 1-7" 집문당

      9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

      10 한국고전번역원, "한국문집총간 1-350" 한국고전번역원 2012

      11 김태곤, "한국무가집 1-4" 집문당

      12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한국논저해제Ⅰ,언어․문학편(2)"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출판부 1-480, 1977

      13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한국논저해제Ⅰ, 언어․문학편"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출판부 1-1174, 1972

      14 임석재, "한국구전설화 1-12" 평민사

      1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구비문학대계"

      16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한국고전문학전집 1-30" 1993-1996,

      17 "한국고전문학대계" 민중서관 1975

      18 조윤제, "춘향전" 박문서관 1946

      19 송신용, "촌담해이․어면순․속어면순" 정음사 1-63, 1947

      20 김태준, "청구영언" 학예사 1-196, 1939

      21 김천택, "청구영언" 조선진서간행회 1-140, 1948

      22 주왕산, "청구영언" 통문관 1-193, 1946

      23 김성배, "주해 가사문학전집" 정연사 1-574, 1961

      24 김태준, "조선한문학사" 조선어문학회 1-191, 1931

      25 정노식, "조선창극사" 조선일보사 1-257, 1940

      26 "조선왕조실록 1-49" 국사편찬위원회 1982

      27 김재철, "조선연극사" 학예사 1-230, 1939

      28 조윤제, "조선시가사강" 동광당서점 1-453, 1937

      29 김태준, "조선소설사" 학예사 1-206, 1931

      30 고정옥, "조선민요연구" 수선사 1-521, 1949

      31 임화, "조선민요선" 학예사 1-270, 1946

      32 최상수, "조선민간전설집" 을유문화사 1946

      33 신명균, "조선문학전집 제6권" 중앙인서관 1-366, 1936

      34 신명균, "조선문학전집 제5권" 중앙인서관 1-342, 1936

      35 신명균, "조선문학전집 제2권" 중앙인서관 1-345, 1936

      36 신명균, "조선문학전집 제1권" 중앙인서관 1-304, 1936

      37 이명선, "조선문학사" 조선문학사 1-153, 1948

      38 안자산, "조선문학사" 한일서점 1-240, 1922

      39 이명선, "임진록" 국제문화관 1-160, 1948

      40 이병기, "인현왕후전" 박문서관 1-86, 1946

      41 김영석, "이춘풍전" 조선금융조합연합회 1-111, 1947

      42 이병기, "의유당일기" 백양당 1-82, 1948

      43 김태준, "원본 춘향전" 학예사 1-170, 1939

      44 울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울산지방무가자료집 5책" 1993

      45 김성칠, "용비어천가 상․하" 1-266, 1948

      46 이병기, "요로원야화기" 을유문화사 1-175, 1949

      47 신귀현, "역대조선여류시가선" 학예사 1-270, 1939

      48 심재완, "역대시조전서" 세종문화사 1-1341, 1972

      49 이병기, "역대시조선" 박문서관 1-180, 1946

      50 임기중, "역대가사문학전집 1-50" 아세아문화사 1997

      51 이병기, "어우야담" 국제문화관 1-100, 1949

      52 송신용, "어수록" 정음사 1-142, 1947

      53 이석구, "양반전" 조선금융조합연합회 1-103, 1947

      54 강한영, "신재효판소리전집" 민중서관 1-689, 1971

      55 정병욱, "시조문학사전" 신구문화사 1-862, 1966

      56 방종현, "송강가사" 정음사 1-103, 1948

      57 김삼불, "배비장전․옹고집전" 국제문화관 1-111, 1950

      58 이윤재, "도강록" 대성출판사 1-137, 1946

      59 신영철, "노계가사" 정음사 1-114, 1948

      60 이응수, "김립시집" 학예사 1-269, 1939

      61 이병기, "근조내간선" 국제문화관 1-102, 1948

      62 윤곤강, "근고 조선가요찬주" 생활사 1-174, 1947

      63 국학연구논저총람간행회, "국학연구논저총람" 을유문화사 135-224, 1960

      64 "국역 조선왕조실록"

      65 정병욱, "국어국문학 44∼45" 국어국문학회 1-64, 1969

      66 우리어문학회, "국문학사" 수로사 1-181, 1948

      67 김동욱, "국문학사" 일신사 279-293, 1976

      68 조윤제, "국문학사" 동방문화사 1-527, 1949

      69 김소운, "구전민요선" 박문서관 1-161, 1939

      70 김소운, "구전동요선" 박문서관 1-205, 1939

      71 고정옥, "고장시조선주" 정음사 1-115, 1949

      72 김흥규, "고시조대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1-1386, 2012

      73 김동욱, "고소설방각본전집, 1-5" 인문과학연구소, 나손서옥

      74 김태준, "고려가사" 학예사 1-119, 1939

      75 이병기, "가루지기타령" 국제문화관 1-72, 194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11-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lassical Literature -> Journal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KCI등재
      2017-10-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ssociation KCI등재
      2017-10-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Classical Literatur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93 2.124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