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銀愛傳」의 서사화 방식과 그 의미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348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銀愛傳?은 정조 13년에 전남 강진에서 발생한 살인 사건을 소재로 한 炯菴李德懋의 작품이다. 이덕무는 ‘小說三惑論’으로 유명한 대표적 소설배격론자였다. 그런데 ?은애전?은 사실을 그대로 기록하는 전의 서사화 방식보다는 소설의 허구적 서사화 방식을 많이 차용하고 있어 문제적이다. 본고의 목적은 일견 이율배반적으로 보이기도 하는 ?은애전?의 허구적 서사화 방식을 살피고 그러한 작품을 서술하게 된 배경과 그 의미를 생각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은애전?의 제재가 된 김은애 獄事에 관한 기록들과 ?은애전?을 비교하여 그 서사화 방식을 살폈다. ?은애전?에는 사건의 배경 설정, 인과성을 고려한 서사 전개, 대화와 행위를 통한 장면 재구성, 내면묘사를 통한 인물의 개성화 등이 나타난다. 이러한 방식들은 김은애의 살인 행위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반면에 죽임을 당한 안조이 노파의 간악함을 강조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김은애는 형조와 좌의정 채제공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정조에 의해 방면된다. 살인의 죄는 사형으로 다스려야 한다는 논리에 맞서 정조는 김은애의 살인행위를 氣節을 드러낸 행위로 규정하고 禮敎의 본으로 삼도록 한다. 그러나 동시에 김은애에 의해 또 다른 살인사건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한 바, 김은애의 방면은 다소 무리가 있는 결정이기도 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김은애 방면의 명분을 위한 의도적 서술이 필요했으며 그것이 형암의 ?은애전?에서 허구적 서사화 방식으로 드러나는 것이다. 즉 예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소설의 허구적 서사화 방식이 차용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목적론적 서술은 ?이씨삼세충효전?이나 ?양열녀전?에서도 드러난다.
      정조의 김은애 방면이나 형암의 유가적 가치 구현을 위한 소설의 허구적 서사화 방식의 사용은 유가적 사유의식이 무너지기 시작한 조선후기에 유가적 가치질서를 회복하기 위해 사용한 權道의 한 예로서 이해된다.
      번역하기

      ?銀愛傳?은 정조 13년에 전남 강진에서 발생한 살인 사건을 소재로 한 炯菴李德懋의 작품이다. 이덕무는 ‘小說三惑論’으로 유명한 대표적 소설배격론자였다. 그런데 ?은애전?은 사실을 그...

      ?銀愛傳?은 정조 13년에 전남 강진에서 발생한 살인 사건을 소재로 한 炯菴李德懋의 작품이다. 이덕무는 ‘小說三惑論’으로 유명한 대표적 소설배격론자였다. 그런데 ?은애전?은 사실을 그대로 기록하는 전의 서사화 방식보다는 소설의 허구적 서사화 방식을 많이 차용하고 있어 문제적이다. 본고의 목적은 일견 이율배반적으로 보이기도 하는 ?은애전?의 허구적 서사화 방식을 살피고 그러한 작품을 서술하게 된 배경과 그 의미를 생각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은애전?의 제재가 된 김은애 獄事에 관한 기록들과 ?은애전?을 비교하여 그 서사화 방식을 살폈다. ?은애전?에는 사건의 배경 설정, 인과성을 고려한 서사 전개, 대화와 행위를 통한 장면 재구성, 내면묘사를 통한 인물의 개성화 등이 나타난다. 이러한 방식들은 김은애의 살인 행위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반면에 죽임을 당한 안조이 노파의 간악함을 강조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김은애는 형조와 좌의정 채제공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정조에 의해 방면된다. 살인의 죄는 사형으로 다스려야 한다는 논리에 맞서 정조는 김은애의 살인행위를 氣節을 드러낸 행위로 규정하고 禮敎의 본으로 삼도록 한다. 그러나 동시에 김은애에 의해 또 다른 살인사건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한 바, 김은애의 방면은 다소 무리가 있는 결정이기도 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김은애 방면의 명분을 위한 의도적 서술이 필요했으며 그것이 형암의 ?은애전?에서 허구적 서사화 방식으로 드러나는 것이다. 즉 예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소설의 허구적 서사화 방식이 차용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목적론적 서술은 ?이씨삼세충효전?이나 ?양열녀전?에서도 드러난다.
      정조의 김은애 방면이나 형암의 유가적 가치 구현을 위한 소설의 허구적 서사화 방식의 사용은 유가적 사유의식이 무너지기 시작한 조선후기에 유가적 가치질서를 회복하기 위해 사용한 權道의 한 예로서 이해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unae-Jeon is based on a true story of murderer Gim, Euna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is written by Lee, Deok-Mu who is known as the writer of the late Joseon Dynasty rejects a fiction clearly. But Eunae-Jeon has a strong fictional bia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an attempt to discover the Eunae-Jeon"s way of narrating and the background of the narrating style of the text.
      In order that, I make a comparison between the records of Gim, Eunae case and Eunae-Jeon. With this, I observe the narrative aspect of Eunae-Jeon. A setting of the background of incident, description on incident according to the causality, restructure of the scene by the description of an act and conversation, emphasis on the personality of the characters by using of description of their inner side.
      These description methods ensure the validity of her murder and underline the wickedness of the dead old woman.
      The king, Jeongjo grant amnesty for the murderer Gim, Eunae in spite of the ministry of justice and prime minister Chae, Jaegong"s opposition. They argue that a murderer should be executed. But Jeongjo ordered that inform the case of Eunae widely, because she is an exemplary of chastity.
      But the same time, Jeongjo took a measure to prevent another murder of her. Judging from this, An amnesty of Eunae was a unreasonable decision at a glance.
      Thus, the fictional narrative was needed in order to explain the justification of her forgiveness. In other words, to achieve the purpose of Confucian values, fictional techniques has been borrowed.
      These narrating style appears in Issisamsechunghyo-Jeon and Yangyeolnyeo- Jeon. This is an example of a policy adapted to circumstances which recover the Confucian valu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번역하기

      Eunae-Jeon is based on a true story of murderer Gim, Euna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is written by Lee, Deok-Mu who is known as the writer of the late Joseon Dynasty rejects a fiction clearly. But Eunae-Jeon has a strong fictional bias. The ...

      Eunae-Jeon is based on a true story of murderer Gim, Euna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is written by Lee, Deok-Mu who is known as the writer of the late Joseon Dynasty rejects a fiction clearly. But Eunae-Jeon has a strong fictional bia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an attempt to discover the Eunae-Jeon"s way of narrating and the background of the narrating style of the text.
      In order that, I make a comparison between the records of Gim, Eunae case and Eunae-Jeon. With this, I observe the narrative aspect of Eunae-Jeon. A setting of the background of incident, description on incident according to the causality, restructure of the scene by the description of an act and conversation, emphasis on the personality of the characters by using of description of their inner side.
      These description methods ensure the validity of her murder and underline the wickedness of the dead old woman.
      The king, Jeongjo grant amnesty for the murderer Gim, Eunae in spite of the ministry of justice and prime minister Chae, Jaegong"s opposition. They argue that a murderer should be executed. But Jeongjo ordered that inform the case of Eunae widely, because she is an exemplary of chastity.
      But the same time, Jeongjo took a measure to prevent another murder of her. Judging from this, An amnesty of Eunae was a unreasonable decision at a glance.
      Thus, the fictional narrative was needed in order to explain the justification of her forgiveness. In other words, to achieve the purpose of Confucian values, fictional techniques has been borrowed.
      These narrating style appears in Issisamsechunghyo-Jeon and Yangyeolnyeo- Jeon. This is an example of a policy adapted to circumstances which recover the Confucian valu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序論
      • 2. ‘金銀愛 獄事’의 敍事的 형상화
      • 3. 法治와 禮敎의 대립
      • 4. 發憤의 평가와 禮敎의 目的論
      • 국문초록
      • 1. 序論
      • 2. ‘金銀愛 獄事’의 敍事的 형상화
      • 3. 法治와 禮敎의 대립
      • 4. 發憤의 평가와 禮敎의 目的論
      • 5. 正道와 權道의 아이러니
      • 6. 結論
      • Abstract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혜정, "李德懋의 傳에 나타난 서사방식 고찰" 문창어문학회 41 : 2004

      2 朴暎美, "李德懋의 傳 硏究" 근역한문학회 12 : 1994

      3 박병호, "한국의 전통사회와 법" 서울대 출판부 1985

      4 박희병, "조선후기 전의 소설적 성향 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3

      5 金庚美, "조선후기 소설론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4

      6 이동근, "조선 후기 전 문학 연구" 태학사 1991

      7 정옥자, "정조의 사회통합사상" 일지사 93 : 1998

      8 정옥자, "정조의 문예사상과 규장각" 효형출판 2001

      9 김경미, "이덕무의 소설배척론 재고" 한국고전문학회 6 : 1991

      10 이문규, "이덕무의 소설배격론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05) : 2001

      1 홍혜정, "李德懋의 傳에 나타난 서사방식 고찰" 문창어문학회 41 : 2004

      2 朴暎美, "李德懋의 傳 硏究" 근역한문학회 12 : 1994

      3 박병호, "한국의 전통사회와 법" 서울대 출판부 1985

      4 박희병, "조선후기 전의 소설적 성향 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3

      5 金庚美, "조선후기 소설론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4

      6 이동근, "조선 후기 전 문학 연구" 태학사 1991

      7 정옥자, "정조의 사회통합사상" 일지사 93 : 1998

      8 정옥자, "정조의 문예사상과 규장각" 효형출판 2001

      9 김경미, "이덕무의 소설배척론 재고" 한국고전문학회 6 : 1991

      10 이문규, "이덕무의 소설배격론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05) : 2001

      11 박수밀, "실학의 생태적 글쓰기와 그 한 양상 − 이덕무의 자연사물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 온지학회 (31) : 59-88, 2012

      12 이동주, "사(私)의 정치와 공론장(公論場)의 파괴 : 정조 15년-18년의 정국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국제문화학회 31 : 2003

      13 이덕무, "문집소재전자료집 6" 계명 1986

      14 이문규, "고전소설 비평사론" 새문사 2002

      15 李明珍, "靑莊館 이덕무의 文學硏究" 이화여자대학교 1983

      16 최삼룡, "石田李丙疇博士古稀紀念論叢" 1990

      17 "正祖實錄"

      18 정인혁, "朝鮮後期 傳系 短形敍事體 硏究" 한국학술정보 2009

      19 정조, "日省錄 91" 민족문화추진회 2007

      20 정조 명찬, "審理錄 4" 민족문화추진회 2000

      21 李鐘珠, "北學派 散文 연구 : 燕巖 朴趾源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1991

      22 李廷珍, "`傳'의 敍述樣式과 소설로의 變容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1993

      23 장효현, "18세기 文體反正에서의 小說 論議" 한국한문학회 15 :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2-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 -> 동악어문학
      외국어명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Journal of Dong-ak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5-02-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학회 -> 동악어문학회
      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Dong-ak Society of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4-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Dong-ak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8 1.224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