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이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성취동기의 중다매개효과 = The Effects of Career Barriers on The Career Attitud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and Achievement Motiv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092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achievement motivation on the career barriers and career attitud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 total of 1,197 multi-cultural adolescents are surveyed in MAPS(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barrier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withdrawal. Career barrier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chievement motivation and career attitude. The variables tha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areer attitud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re career barriers, achievement motivation and social withdrawal. Second, achievement motivation was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attitude. Social withdrawal was also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attitude.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ith suggestions for the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In order to increase the career attitud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t is necessary to lower career barriers. It is required to use programs that can reduce social withdrawal and improve achievement motivation by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all school members can develop multi-cultural acceptanc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achievement motivation on the career barriers and career attitud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 total of 1,197 multi-cultural adolescents are surveyed in MAPS(Mul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achievement motivation on the career barriers and career attitud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 total of 1,197 multi-cultural adolescents are surveyed in MAPS(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barrier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withdrawal. Career barrier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chievement motivation and career attitude. The variables tha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areer attitud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re career barriers, achievement motivation and social withdrawal. Second, achievement motivation was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attitude. Social withdrawal was also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attitude.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ith suggestions for the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In order to increase the career attitud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t is necessary to lower career barriers. It is required to use programs that can reduce social withdrawal and improve achievement motivation by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all school members can develop multi-cultural accept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청소년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태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성취동기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여 다문화청소년들의 진로발달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8년도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의 자료를 활용하여 총 1,197명(남학생 587명, 여학생 610명)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은 사회적 위축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성취동기 및 진로태도와는 부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다문화청소년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높을수록 사회적으로 위축되고 성취동기와 진로태도는 낮았다. 둘째,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진로태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성취동기는 두 변인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문화청소년이 지각한 진로장벽은 진로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사회적 위축과 성취동기에 의한 간접효과도 동시에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다문화청소년의 진로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진로장벽을 낮출 수 있는 개입이 필요하고 학교구성원 전체가 다문화 수용성을 기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사회적 위축을 감소하고 성취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청소년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태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성취동기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여 다문화청소년들의 진로발달을 위한 자료로 활...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청소년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태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성취동기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여 다문화청소년들의 진로발달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8년도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의 자료를 활용하여 총 1,197명(남학생 587명, 여학생 610명)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은 사회적 위축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성취동기 및 진로태도와는 부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다문화청소년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높을수록 사회적으로 위축되고 성취동기와 진로태도는 낮았다. 둘째,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진로태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성취동기는 두 변인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문화청소년이 지각한 진로장벽은 진로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사회적 위축과 성취동기에 의한 간접효과도 동시에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다문화청소년의 진로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진로장벽을 낮출 수 있는 개입이 필요하고 학교구성원 전체가 다문화 수용성을 기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사회적 위축을 감소하고 성취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인숙, "현실요법을 적용한 진로상담이 다문화가정 학생의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 이성진, "행동수정의 원리" 교육출판사 1975

      3 이경상,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0Ⅱ 사업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4 김은영, "한국 대학생 진로탐색장애검사(KCBI)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5 전병환, "학업중단 청소년의 낙관성, 성취동기,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3

      6 김봉환, "학교진로상담" 학지사 2006

      7 원지효, "초등학생의 성공지능과 성취동기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2006

      8 임경희, "초등학생의 다문화 여부와 성별에 따른 직업포부와 진로흥미 및 진로인식의 차이" 한국진로교육학회 26 (26): 67-89, 2013

      9 이은설, "초·중·고 여학생 진로장벽 척도의 개발 및 구인 타당도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10 김후남, "청소년의 초기 외상경험과 우울의 관계: 거부민감성, 사회적 위축, 대인관계문제의 순차적 매개효과" 계명대학교 2018

      11 민원홍 ; 손선옥, "청소년기 사회적 위축의 발달 궤적에 대한 부정적 또래관계의 영향: 부모지도감독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4 (14): 75-99, 2017

      12 이정민, "진로태도성숙에 따른 군생활 스트레스와 군생활 만족도" 숙명여자대학교 2018

      13 이기학, "진로태도 측정도구의 타당화를 위한 도구" 8 (8): 219-255, 1997

      14 김봉환, "진로교육정책 평가와 과제" 23-47, 2017

      15 탁진국, "직업결정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1 (1): 167-118, 2001

      16 현정미, "중학생이 인식한 자아존중감, 가족건강성과 성취동기와의 관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7 김보영 ; 장은비, "중학생의 사회적 위축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우울을 통한 또래애착과 성취가치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2 (22): 31-52, 2015

      18 이지은, "중도입국청소년의 진로장벽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2016

      19 류방란 ; 오성배, "중도입국 청소년의 교육 기회와 적응 실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5 (5): 29-50, 2012

      20 정나은 ; 김원영,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 결정성 영향요인에 대한 종단적 탐색 :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6 (26): 493-517, 2020

      21 김민선,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다문화 청소년들의 학업적응 변화와 관련요인 분석: 한국어 능력, 성취동기, 진로장벽을 중심으로"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8 (8): 251-271, 2019

      22 연은모 ; 최효식, "잠재계층성장모형을 적용한 다문화 가정 자녀의 성취동기 변화 유형 및 예측요인 탐색: 학업성취 수준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21 (21): 404-414, 2020

      23 채윤정 ; 박선형, "일반고 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태도성숙의 매개효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687-696, 2017

      24 임은미 ; 장선숙, "인터넷 활용 진로정보탐색 프로그램의 즉시적 효과와 지속적 효과: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139-154, 2004

      25 정원식, "인간의 동기" 교육과학사 2001

      26 손은령,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2 (2): 251-262, 2001

      27 손은령, "여성의 진로 선택과 진로 장애 지각의 관계" 18 : 111-131, 2000

      28 이성식 ; 정철영, "여대생이 인식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인과모형"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9 (39): 83-109, 2007

      29 김효선, "어머니의 한국어능력 수준이 다문화청소년의 진로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사회적 위축, 진로장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2020

      30 김선희, "아동 및 청소년의 행동문제 척도 개발" 16 (16): 155-166, 1998

      31 강원덕 ; 안귀여루, "성취동기, 내재적 직업가치, 진로장벽이 고등학생의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심리학회 15 (15): 161-175, 2010

      32 고태용,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이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8

      33 박기원, "부모의 방임 및 학대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35 (35): 1-15, 2014

      34 홍나미 ; 박현정, "부모방임이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위축,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8 (8): 125-151, 2017

      35 홍성흔, "모-자녀관계 및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의 성취동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36 노충래, "로즌버그의 자긍심척도와 집단자긍심척도를 활용한 교포청소년의 심리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10) : 107-135, 2000

      37 이경화, "딸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딸의 성취동기에 관한 연구 : 농어촌의 여고생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2

      38 장이슬 ; 송병국,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학회 22 (22): 363-392, 2015

      39 오민아, "대학생의 진로장벽 인식이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비교과 유형별 참여여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2020

      40 문지혜 ; 하수경, "대학생의 진로결정자율감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효과에서 진로효능감 근원의 매개효과"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5 (5): 67-89, 2016

      41 박주현, "대학생의 소명과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일희망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42 지용근, "대학생의 가치관 명료도가 진로태도성숙 및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2

      43 유성창 ; 김재우 ; 이윤옥, "다문화학생의 진로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요구" 교육연구소 22 (22): 451-481, 2016

      44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제1∼8차 조사 데이터 유저가이드"

      45 오동균, "다문화청소년이 인식하는 부모의 방임이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7 (67): 439-459, 2019

      46 장임숙 ; 김희재, "다문화청소년의 학업 및 진로 지원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60) : 50-67, 2014

      47 이민솔 ; 박성철,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생활 만족이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위축을 조절변수로" 한국자료분석학회 23 (23): 829-843, 2021

      48 정나은 ; 김원영,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준비성 결정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 분석: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위축을 중심으로" 한국웰니스학회 15 (15): 59-69, 2020

      49 유인창,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스트레스와 진로불안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2021

      50 이혜미 ; 김유미,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진로의식발달의 관계: 성취동기와 진로관련 부모행동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665-689, 2019

      51 김지연,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388-402, 2017

      52 박순진, "다문화청소년의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2021

      53 윤수민,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2020

      54 성윤희 ; 장은영,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진로결정성의 관계: 진로장벽을 통한 자존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33 (33): 43-64, 2020

      55 민예지,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진로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이중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2021

      56 김영미 ; 현안나, "다문화청소년의 맥락적 요인과 진로장벽, 진로결정수준의 구조적 관계 및 성별간 다집단분석"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9) : 311-338, 2020

      57 김지연 ; 이윤희, "다문화청소년 진로발달 연구 동향과 과제: 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2009-2019.6)"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205-1230, 2019

      58 조혜영, "다문화청소년 진로 지원 개선 방안 모색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689-699, 2017

      59 연보라,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및 정책방안연구 Ⅴ: 다문화청소년의 발달 추이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168, 2017

      60 양계민,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및 정책방안연구 Ⅱ: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465, 2014

      61 양계민,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 4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62 박주희 ; 남지숙, "다문화아동의 언어발달과 심리사회적 적응"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1 (21): 129-152, 2010

      63 이상균 ; 박현선 ; 노연희 ; 이채원, "다문화가족 아동의 문화변용스트레스 및 문화자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긍정적 자기개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38) : 235-264, 2012

      64 김경란, "다문화가정자녀의 자아정체감과 사회적지지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65 봉초운 ; 정윤화 ; 홍세희, "다문화가정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관계: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행위자-상대자 상호의존 모형의 적용"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9 (29): 41-69, 2018

      66 박윤경 ; 이소연,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생활 실태에 대한 조사 연구 : 집단 간 차이와 집단 내 다양성"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1 (41): 41-71, 2009

      67 오성배, "다문화가정 학생 교육 지원 중장기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39-141, 2009

      68 우영숙,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하는 정서요인. 부모진로지지, 자아존중감, 진로장벽과 진로태도결정성과의 구조적관계" 가야대학교 2019

      69 최옥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폭력과 차별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부모관계와 대처전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2017

      70 최효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서 보호요인의 효과: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종교생활 및 다문화교육"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71 전혜숙 ; 김진영 ; 전종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진로결정성 영향요인" 한국청소년학회 26 (26): 259-290, 2019

      72 박진우 ; 장재홍,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심리적인 요인"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33-154, 2014

      73 윤아름,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74 손한결,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의 종단적 안정성과 상호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2020

      75 강화 ; 배은경,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62) : 131-164, 2018

      76 박미숙 ; 이미정,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갈등원인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소 20 (20): 149-174, 2014

      77 김순규, "다문화가정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 한국청소년학회 18 (18): 247-272, 2011

      78 이주영 ; 이미애 ; 문재우,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화적응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7 (7): 113-134, 2014

      79 김은주,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이중문화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경성대학교 2018

      80 김효영,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부모애착, 자아개념 및 진로성숙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81 백혜영, "다문화가정 아동과 비다문화가정 아동의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2019

      82 김재희,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학교 진로교육활동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다문화교육학회 12 (12): 111-146, 2019

      83 박하나 ; 조영달 ; 박윤경,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진로교육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일반고와 특성화고의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6 (6): 21-50, 2013

      84 김정은,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장벽과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사회적 위축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소 31 (31): 21-37, 2020

      85 이형하,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사회적위축이 진로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 성취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27 (27): 183-184, 2019

      86 김자경 ; 오혜정,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진로결정성, 진로장벽 인식의 관계: 이주여성 어머니의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3 (23): 1-26, 2021

      87 조수빈, "다문화 청소년의 성취동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 가족지지, 친구지지, 교사지지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2021

      88 박동진 ; 김송미, "다문화 청소년의 성취동기가 진로결정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1 (21): 267-289, 2020

      89 박동진 ; 김송미,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우울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보건복지학회 23 (23): 29-53, 2021

      90 이래혁 ; 채황석 ; 오채민,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성취동기의 관계에서 우울과 사회적 위축의 이중매개효과"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9) : 1-24, 2020

      91 조혜영 ; 오민아, "다문화 청소년의 교사관계가 우울 및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571-590, 2020

      92 이아라 ; 손보영 ; 이주영, "다문화 청소년용 진로장벽 척도 개발 연구" 한국상담학회 19 (19): 257-272, 2018

      93 류성창, "다문화 청소년 진로지도 실태와 과제" 95-136, 2015

      94 유인영 ; 이정애, "다문화 가족 환경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행복정도" 한국생활환경학회 20 (20): 699-707, 2013

      95 김영은 ; 정철영 ; 이건남, "다문화 가정 자녀의 직업인식, 진로대안영역 및 직업포부" 한국실과교육학회 25 (25): 169-194, 2012

      96 최혜정, "다문화 가정 아동의 이중언어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7 : 83-107, 2014

      97 이희경 ; 권혜경, "낙관성이 진로태도성숙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성취동기와 자아강도를 매개변인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723-741, 2004

      98 안도희 ; 최혜림, "고등학생의 학업 동기 및 사회적 지지와 학업 성취와의 관계"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0 (30): 145-164, 2012

      99 김수정 ; 곽금주, "가정의 소득 수준에 따라 초등학교 1, 2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변인 간 관련성에서 차이: 양육효능감, 자아개념 그리고 친사회성을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9 (19): 85-105, 2012

      100 Crites, J. O., "Vocational psychology" McGraw-Hill 1969

      101 Crites, J. O., "Theory and research handbook for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McGraw-Hill 1973

      102 Schwartz, S. J., "The role of identity in acculturation among immigrant people : Theoretical propositions, empirical questions, and applied recommendations" 49 (49): 1-30, 2006

      103 Rubin, K. H., "Social withdrawal in childhood" 60 : 141-171, 2009

      104 Lent, R. W.,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4 : 255-311, 2002

      105 Watson, J., "Rejection sensitivity, social withdrawal, and loneliness in young adults" 42 (42): 1984-2005, 2012

      106 Neff, J. A., "Race/ethnicity, accultura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 Fatalism and religiosity as cultural resources" 21 (21): 3-20, 1993

      107 이형권, "Process macro를 이용한 매개분석·조절분석 및 조절된 매개분석" 신영사 2015

      108 Atkinson, J. W., "Personality, motivation, and achievement" Hemisphere 1978

      109 Schwartz, S. J., "Personal identity development in Hispanic immigrant adolescents : Links with positive psychosocial functioning, depressive symptoms, and externalizing problems" 46 (46): 898-913, 2017

      110 Cardoso, P., "Perception of career barriers : The importance of gender and ethnic variables" 8 (8): 49-61, 2008

      111 McWhirter, E. H., "Perceived barriers to education and career : Ethnic and gender differences" 50 (50): 124-140, 1997

      112 London, M., "Overcoming career barriers : A model of 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es for realistic appraisal and constructive coping" 24 (24): 25-38, 1997

      113 Hayes, A. F.,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Methodology in the Social Sciences" 193-, 2013

      114 Yu, A. -B.,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theory, method, and applications" Sage 239-250, 1994

      115 Swanson, J. L.,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Wiley 233-269, 2000

      116 Berry, J. W., "Conceptual approaches to acculturation"

      117 Sodowsky, G. R., "Asian immigrant variables and structural models of cross-cultural distress"

      118 Berry, J. W.,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 health consequences of culture contact among circumpolar peoples" 49 (49): 142-150, 1990

      119 Harren, V. A., "A model of career decision making for college students" 14 (14): 119-133, 1979

      120 Storey, "A guide for career development inquiry" 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 1979

      121 통계청, "2021년 청소년 통계"

      122 교육부, "2021년 다문화교육 지원계획"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10-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cademy Welfare Counselling -> Korea Academy of Welfare Counselling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