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 관련 교과목 이수 정도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pletion of Subjects related to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providing basic information on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for nurturing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2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three-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University. The research tool used in previous study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a 5-point scale questionnaire of 32 questions.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pletion of related subjects, mean, standard deviation, one way ANOVA, and Scheffe post-hoc test were comput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mong the effects of inclusive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effect on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ould be the most positive, and that the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ould be the least.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pletion of related subjects. Third, there was a partia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that did not complete the disability-related subject and the group that completed one and the group that completed two.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necessity of additional courses related to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 was discussed.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providing basic information on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for nurturing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e s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providing basic information on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for nurturing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2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three-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University. The research tool used in previous study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a 5-point scale questionnaire of 32 questions.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pletion of related subjects, mean, standard deviation, one way ANOVA, and Scheffe post-hoc test were comput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mong the effects of inclusive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effect on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ould be the most positive, and that the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ould be the least.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pletion of related subjects. Third, there was a partia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that did not complete the disability-related subject and the group that completed one and the group that completed two.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necessity of additional courses related to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 was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유아 통합교육 시행을 위해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교과목 구성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A 대학교 3년제 유아교육과 학생 192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32문항의 5점 척도형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장애 관련 교과 이수 정도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 일원배치 분산분석, Scheffe 사후검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는 장애통합이 미치는 효과 중 장애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이 가장 긍정적일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일반유아에게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가장 적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장애 관련 교과 이수 정도에 따른 집단 간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장애 관련 교과목을 미이수한 집단과 1개 이수한 집단 및 2개 이수한 집단 간에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 양성과정에 장애 관련 교과목의 추가 개설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장애유아 통합교육 시행을 위해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교과목 구성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A 대학교 3년제 유아교육과 학생 192명이었다. 연구...

      본 연구는 장애유아 통합교육 시행을 위해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교과목 구성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A 대학교 3년제 유아교육과 학생 192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32문항의 5점 척도형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장애 관련 교과 이수 정도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 일원배치 분산분석, Scheffe 사후검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는 장애통합이 미치는 효과 중 장애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이 가장 긍정적일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일반유아에게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가장 적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장애 관련 교과 이수 정도에 따른 집단 간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장애 관련 교과목을 미이수한 집단과 1개 이수한 집단 및 2개 이수한 집단 간에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 양성과정에 장애 관련 교과목의 추가 개설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순자 ; 김병건 ; 박유정, "한국과 미국의 유아교육교사 양성 교육과정 비교분석: 특수교육대상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시사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83-113, 2017

      2 고영숙 ; 김은경, "포커스 그룹을 통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중재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8 (8): 49-73, 2008

      3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2012

      4 이은화,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한 유치원 통합학급 교사와 장애유아부모의 인식" 24 (24): 65-81, 2014

      5 정계숙 ; 최은아 ; 김미정, "통합교육의 관점에서 본 유아교사 양성교육과정:장애유아 관련 교과목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243-259, 2008

      6 이정숙, "통합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5-30, 2006

      7 정찬미, "통합 교육에 대한 예비 유아 교사의 태도"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7

      8 최미화, "종일제 프로그램에서의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행 요인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보육학회 11 (11): 143-165, 2011

      9 조윤경, "전담 및 통합 보육시설 분석을 통한 장애아 보육서비스 운영에 대한 고찰" 한국보육학회 3 (3): 7-32, 2003

      10 박지연, "장애인식개선 교육의 의무화에 따른 보육교사의 인식탐색" 총신대학교 2018

      1 이순자 ; 김병건 ; 박유정, "한국과 미국의 유아교육교사 양성 교육과정 비교분석: 특수교육대상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시사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83-113, 2017

      2 고영숙 ; 김은경, "포커스 그룹을 통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중재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8 (8): 49-73, 2008

      3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2012

      4 이은화,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한 유치원 통합학급 교사와 장애유아부모의 인식" 24 (24): 65-81, 2014

      5 정계숙 ; 최은아 ; 김미정, "통합교육의 관점에서 본 유아교사 양성교육과정:장애유아 관련 교과목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243-259, 2008

      6 이정숙, "통합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5-30, 2006

      7 정찬미, "통합 교육에 대한 예비 유아 교사의 태도"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7

      8 최미화, "종일제 프로그램에서의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행 요인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보육학회 11 (11): 143-165, 2011

      9 조윤경, "전담 및 통합 보육시설 분석을 통한 장애아 보육서비스 운영에 대한 고찰" 한국보육학회 3 (3): 7-32, 2003

      10 박지연, "장애인식개선 교육의 의무화에 따른 보육교사의 인식탐색" 총신대학교 2018

      11 조윤경, "장애유아통합교프로그램 실제" 창지사 2005

      12 조영숙, "장애유아통합교육" 학지사 2018

      13 박소영 ; 신현기, "장애유아를 위한 협력교수의 수행요소와 전제조건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173-201, 2007

      14 한희경,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과 태도 및 경험요인" 한국육아지원학회 9 (9): 77-99, 2014

      15 임병미,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태도 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16 최승란,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군산대학교 2015

      17 박윤자, "장애유아 통합교육 효과에 대한 현장 교사의 인식" 3 (3): 43-65, 2003

      18 이진숙, "장애아통합교육" 어가 2020

      19 최미화, "장애 이해 교육 과정에서 나타난 예비 유아 교사의 장애 유아 통합 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0 (10): 89-114, 2010

      20 황정희 ; 오정희, "장애 유아 통합교육 교과목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변화"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239-262, 2012

      21 박지영 ; 노진아, "장애 유아 교육과정 편성 및 실행에 대한 단설 유치원 특수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395-417, 2012

      22 강영심 ; 황순영 ; 오미옥, "유치원장이 지각한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실태와 인식" 한국통합교육학회 3 (3): 45-62, 2008

      23 이수정, "유치원 통합학급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실행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인식" 한국특수교육학회 50 (50): 167-196, 2015

      24 원길재 ; 조현근, "유치원 통합교육 현장에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경험하는 갈등과 상생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367-391, 2014

      25 안도연, "유치원 원장과 교사의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준비도 및 인식 조사 연구" 한국통합교육학회 5 (5): 47-65, 2010

      26 서현아 ; 송은희, "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6 (6): 125-152, 2002

      27 박영옥 ; 장진희, "유치원 교사의 변인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분석" 한국보육학회 15 (15): 301-328, 2015

      28 조홍중 ; 이순자, "유치원 “장애아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7 (7): 6-155, 2003

      29 조현근 ; 이병인, "유아통합교육의 연구 방향성 탐색을 위한 연구 동향 분석: 2007-2016년 국내 특수교육 전문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8 (18): 271-296, 2017

      30 이찬숙 ; 윤수진 ; 성영화,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영유아통합보육 및 장애영유아보육교사의 자격과 역할에 관한 인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 (20): 27-50, 2020

      31 최지영,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장애유아 통합교육 태도에 관한 연구 : 경험변인과 교사효능감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1

      32 이효정 ; 조형숙, "예비교사를 위한 장애유아통합교육수업모형 개발"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1 (31): 181-205, 2013

      33 노진형, "보육교사의 장애아 통합보육에 관한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 8 (8): 49-66, 2008

      34 이미화, "보육교사 양성과정 및 보육실습 매뉴얼 연구"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2016

      35 이기현, "발달지체 유아 통합 유치원 교사의 배경변인과 발달지체유아 유형에 따른 교사의 통합태도"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127-148, 2008

      36 김경민, "메타포 분석을 통한 예비 유아교사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 연구 - 통합교육 관련 교과목을 이수한 학생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한국특수교육학회 50 (50): 121-141, 2015

      37 장원정 ; 이기순, "대면교육과 사이버교육을 병행한 장애영유아를 위한 보육교사 양성 프로그램이 일반보육교사의 통합교육 신념과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4 (24): 349-372, 2020

      38 김유진 ; 이영애 ; 권정윤, "공․사립 유치원 장애 유아 통합 교육 연구 동향 분석: 2008년 ∼ 2018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9 (19): 187-219, 2019

      39 Bailey, D. B., "Teaching infants and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92

      40 Leatherman, J. M., "Teachers’ attitudes toward inclusion : Factors influencing classroom practice" 26 (26): 23-36, 2005

      41 강성리 ; 조현근, "PBL 기반 ‘장애유아통합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통합교육 신념과 교사 효능감 및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6 (26): 339-362, 2021

      42 Cross, A. F., "Elements of successful inclusion for children with significant disabilities" 24 (24): 169-183, 2004

      43 Sandall, S., "DEC recommended practices. A comprehensive guide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early intervention/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DEC 2005

      44 Todorovic, J., "Attitudes towards inclusive education and dimensions of teacher’s personality" 29 : 426-432, 2011

      45 교육부, "2021년도 교원자격검정실무편람"

      46 장수연, "2019 개정 누리과정 기반 유아통합교육의 실제" 창지사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10-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cademy Welfare Counselling -> Korea Academy of Welfare Counselling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