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을 위한 AI 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I-Integrated Career Development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872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AI 시대에 요구되는 진로역량 강화를 위한 실천적 방안으로, 대학생 대상으로 AI에 대한이해 및 활용 역량과 진로 탐색․설계 역량을 통합적으로 함양할 수 있는 AI 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운영 사례를 분석하였다.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설계․개발하였으며, 서울 소재 국립대학인 S대학교 소속 학생 13명을 대상으로 활동과 실습 중심으로 구성된 3일간의 캠프형 비교과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통해 융합적 사고력, 인간-AI 협력 역량, AI 진로효능감, AI 진로흥미, AI 진로목표, 진로적응성 등 여섯 가지 핵심역량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인간-AI 협력 역량, AI 진로효능감, AI 진로목표, 진로적응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종료 직후 실시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성과, 지원환경의 네 영역 모두 높은 평균을 기록하였으며, 특히 지원환경 영역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교육방법과교육성과 또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교육내용도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결과는본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진로 인식과 설계 역량은 물론, AI 기술의 실용적 활용 능력 함양에도 기여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고등교육 현장에서 AI 교육과 진로교육의 융합을 실현할 수 있는 모델을제시하고, 그 실행 가능성과 확장 방향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AI 시대에 요구되는 진로역량 강화를 위한 실천적 방안으로, 대학생 대상으로 AI에 대한이해 및 활용 역량과 진로 탐색․설계 역량을 통합적으로 함양할 수 있는 AI 융합 진로교육 ...

      본 연구는 AI 시대에 요구되는 진로역량 강화를 위한 실천적 방안으로, 대학생 대상으로 AI에 대한이해 및 활용 역량과 진로 탐색․설계 역량을 통합적으로 함양할 수 있는 AI 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운영 사례를 분석하였다.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설계․개발하였으며, 서울 소재 국립대학인 S대학교 소속 학생 13명을 대상으로 활동과 실습 중심으로 구성된 3일간의 캠프형 비교과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통해 융합적 사고력, 인간-AI 협력 역량, AI 진로효능감, AI 진로흥미, AI 진로목표, 진로적응성 등 여섯 가지 핵심역량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인간-AI 협력 역량, AI 진로효능감, AI 진로목표, 진로적응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종료 직후 실시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성과, 지원환경의 네 영역 모두 높은 평균을 기록하였으며, 특히 지원환경 영역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교육방법과교육성과 또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교육내용도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결과는본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진로 인식과 설계 역량은 물론, AI 기술의 실용적 활용 능력 함양에도 기여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고등교육 현장에서 AI 교육과 진로교육의 융합을 실현할 수 있는 모델을제시하고, 그 실행 가능성과 확장 방향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d evaluated an AI-integrated career development program aimed at enhancing college student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AI, as well as their competencies in career exploration and planning. Using the ADDIE model, we designed a three-day, activity-based extracurricular program and implemented it at a national university in Seoul with 13 participating students. Changes in six core competencies—convergent thinking, human-AI collaboration, AI career self-efficacy, AI career interest, AI career goal-setting, and career adaptability—were examined through pre- and post-program surveys. The result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human-AI collaboration, AI career self-efficacy, AI career goal-setting, and career adaptability. Additionally, a post-program satisfaction survey evaluating four areas—content, methods, outcomes, and support environment—showed consistently high satisfaction across all domains, with the support environment receiving the highest average sco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rogram contributed to improving students’ career design competencies and practical AI skills. As a result, this study presents a feasible model for integrating AI and career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and provides insights into its potential for broader application.
      번역하기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d evaluated an AI-integrated career development program aimed at enhancing college student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AI, as well as their competencies in career exploration and planning. Using the ADDIE model, ...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d evaluated an AI-integrated career development program aimed at enhancing college student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AI, as well as their competencies in career exploration and planning. Using the ADDIE model, we designed a three-day, activity-based extracurricular program and implemented it at a national university in Seoul with 13 participating students. Changes in six core competencies—convergent thinking, human-AI collaboration, AI career self-efficacy, AI career interest, AI career goal-setting, and career adaptability—were examined through pre- and post-program surveys. The result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human-AI collaboration, AI career self-efficacy, AI career goal-setting, and career adaptability. Additionally, a post-program satisfaction survey evaluating four areas—content, methods, outcomes, and support environment—showed consistently high satisfaction across all domains, with the support environment receiving the highest average sco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rogram contributed to improving students’ career design competencies and practical AI skills. As a result, this study presents a feasible model for integrating AI and career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and provides insights into its potential for broader applicat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