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야외학습의 융합 문제해결과정에서 불확실 상황 변수로 인한 전략 수정 사례연구 = Case Study of Strategy Modification due to Uncertain Situation Variables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of Field Tri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301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야외학습의 불확실한 상황 변수가 변화되었을 때, 학생들의 문제해결전략 수정 과정과 협력 방식, 그에 따른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질적 사례연구 기반 혼...

      이 연구는 야외학습의 불확실한 상황 변수가 변화되었을 때, 학생들의 문제해결전략 수정 과정과 협력 방식, 그에 따른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질적 사례연구 기반 혼합연구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에 참여했던 학급의 학생들은 문제해결과정은 야외학습을 가기 전 교실에서 문제 확인, 문제 표현, 전략 선택의 단계를 거친 후, 야외학습 기간 중에 달라진 상황 변수를 이해하고 계획 전략을 유지 할지 수정할지에 대한 판단을 한 후 전략을 수정하거나 유지하면서 문제를 해결하였다. 야외 학습 후에는 결과를 평가하고 과정을 분석하는 단계를 거쳤다. 세 팀이 야외 학습을 가기 전에 세웠던 문제해결전략은 유사하였다. 그러나 야외학습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상황 변수가 달라졌던 두 팀은 공통적으로 달라진 변수를 인식한 후, 당황하는 모습을 보였다. 교실에서와는 달리 차분히 전략을 논의하기 보다는 성숙하지 않은 의사소통을 바탕으로 팀이 분열되는 양상을 보였다. 두 팀에서는 팀원들은 논의에 기반하기보다는 팀원 중 한 명 또는 소수가 아이디어를 내고 이를 독자적으로 검증한 후 실행 전략을 내놓는 방식으로 수정되었다. 수정된 실행 전략은 계획 전략에 비해 비구조적이었으며 팀원들은 태양의 고도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암묵적 미션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었으므로 문제해결전략이 수정된 과정에 대해 만족도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p =0.003).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mixed method based on a qualitative case study to examine the modification of problem solving strategy, cooperation process and students satisfaction of learning when uncertain situation variables were changed. The stude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mixed method based on a qualitative case study to examine the modification of problem solving strategy, cooperation process and students satisfaction of learning when uncertain situation variables were changed. The students problem-solving process, after going through the stages of problem identification, problem expression, and strategy selection in the classroom, They understood the situation variables that changed during the field trip, determined whether to maintain or modify the strategy and then the problem-solving strategy was modified or maintained. After the outdoor learning, the results were evaluated and the process was analyzed. All of the three teams participating in the study had similar problem-solving strategies before going trip. However, the two teams who met the changed situation variables embarrassed at first. The teams were divided on the basis of immature communication rather than discussing strategies carefully in the classroom. In the two teams, the team members were not based on the discussion, but rather by one or a few of the team members who gave their ideas and verified them independently and then implemented a strategy. The two team members’ satisfaction of learning was significantly low because the modified execution strategy in both teams was unstructured and the team members tended to accept the sun altitude as a tacit mission to solve the problem(p = 0.003).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광석, "초등학교 5학년 '전기회로' 단원의 STEAM교육이 과학에 대한 태도 및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 김세영, "초등교육 연구에 있어서의 질적 사례연구" 19 (19): 31-57, 2012

      3 Merriam, S. B., "질적 사례연구법" 양서원 1994

      4 신경아, "인지적 종결욕구가 대학생들의 문제 상황인식과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163-170, 2014

      5 Popper, K., "삶은 문제해결의 연속이다" 부글북스 2006

      6 조현영, "문제해결의 상황성, 그리고 그 과정의 일상성: 민속-방법으로서의 진료행위에 관한 관찰" 한국교육인류학회 17 (17): 203-230, 2014

      7 문성숙, "문제해결과정에서의 상황적 요인에 대한 이해 제고 - 실천적 지식의 활용에 내포된 일상성에 관한 연구 -" 교육연구소 18 (18): 27-54, 2012

      8 조연순, "문제중심학습의 교수학습과정 연구 :초등과학 수업에의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학회 18 (18): 2005

      9 국가평생교육진흥원, "글로벌평생교육동향, 2호"

      10 심현애, "교수자의 PBL 교수법 지원 프로그램 참여가 학습자 역량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587-606, 2017

      1 황광석, "초등학교 5학년 '전기회로' 단원의 STEAM교육이 과학에 대한 태도 및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 김세영, "초등교육 연구에 있어서의 질적 사례연구" 19 (19): 31-57, 2012

      3 Merriam, S. B., "질적 사례연구법" 양서원 1994

      4 신경아, "인지적 종결욕구가 대학생들의 문제 상황인식과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163-170, 2014

      5 Popper, K., "삶은 문제해결의 연속이다" 부글북스 2006

      6 조현영, "문제해결의 상황성, 그리고 그 과정의 일상성: 민속-방법으로서의 진료행위에 관한 관찰" 한국교육인류학회 17 (17): 203-230, 2014

      7 문성숙, "문제해결과정에서의 상황적 요인에 대한 이해 제고 - 실천적 지식의 활용에 내포된 일상성에 관한 연구 -" 교육연구소 18 (18): 27-54, 2012

      8 조연순, "문제중심학습의 교수학습과정 연구 :초등과학 수업에의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학회 18 (18): 2005

      9 국가평생교육진흥원, "글로벌평생교육동향, 2호"

      10 심현애, "교수자의 PBL 교수법 지원 프로그램 참여가 학습자 역량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587-606, 2017

      11 장훈, "경기 혁신학교 운영 사례 분석 -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311-333, 2011

      12 Kirschner, P. A., "Why minimal guidance during instruction does not work : An analysis of the failure of constructivist, discovery, problem-based, experiential, and inquiry-based teaching" 41 (41): 75-86, 2006

      13 Vermeir, I., "The influence of need for closure on consumer’s choice behaviour" 23 (23): 703-727, 2002

      14 Stake, R.,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433-466, 2005

      15 OECD., "The PISA 2003 assessment framework: Mathematics, reading, science and problem solving knowledge and skills" OECD Publishing 2004

      16 Pentland, A., "Social physics: How good ideas spread-the lessons from a new science" Penguin 2014

      17 Brown, J. S., "Situated cognition and the culture of learning" 18 (18): 32-42, 1989

      18 Pretz, J. E., "Recognizing, defining, and representing problems" 30 (30): 2003

      19 Barrows, H. S., "Problem-based learning: An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80

      20 World Economic Forum, "New Vision for Education Unlocking the Potential of Technology" World Economic Forum 2015

      21 Resnick, L. B., "Learning in school and out" 16 (16): 13-20, 2009

      22 Clancey, W. J., "A tutorial on situated learning" AACE 49-70, 1995

      23 교육부, "(초등학교 5∼6학년군) 과학 : 과학3 : [2009 개정 교육과정]. 6-1" 비상교육 2015

      24 Eggen, P. D., "(교사를 위한) 수업전략" 시그마프레스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