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달성협응장애 중학생과 비장애 중학생의 인지적 부하량에 따른 정보처리속도 비교 연구 =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Speed by the Cognitive Load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039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성협응장애 중학생의 정보처리속도와 관련하여 인지적 부하량에 따라 나타나는 반응속도가 비장애 중학생과 비교하였을 때 어떠한 차별적 특징을 나타내는지 알아보...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성협응장애 중학생의 정보처리속도와 관련하여 인지적 부하량에 따라 나타나는 반응속도가 비장애 중학생과 비교하였을 때 어떠한 차별적 특징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 선정을 위해 연령, 키, 몸무게, DCDQ-K, BOTMP-2 결과를 고려하여 발달성협응장애(DCD) 중학생 21명, 비장애(TD) 중학생 18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3가지 과제유형(단순, 선택, 변별)의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이원 반복측정 분산분석, 독립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순반응과제에서 시각-단순반응시간(t=5.391, p<.001)과 청각-단순반응시간(t=2.386, 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선택반응과제에서 발달성협응장애 중학생 집단이 모든 과제에서 비장애 중학생 집단에 비해 반응시간이 더 긴 것(F(1,37)=58.9, p<.001)으로 나타났으며, 자극선택 과제에 따라 반응시간의 차이(F(2,36)=61.8,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과제에서 자극 선택의 수가 증가할수록 반응시간의 증가폭이 비장애 중학생 집단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변별반응 과제에서 발달성협응장애 중학생 집단이 모든 과제에서 비장애 중학생 집단에 비해 반응시간이 더 긴 것(F(1,37)=35.4, p<.001)으로 나타났으며, 자극변별 과제에 따라 반응시간에 차이(F(2,36)=18.3,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극변별 과제 간 차이 검정에서는 시각변별 2개 반응시간이 시각-단순반응시간(p<.001), 시각변별 3개 반응시간(p<.05)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더 오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고, 시각-단순반응시간과 시각변별 3개 반응시간은 유의한 차이(p=.65)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발달성협응장애 중학생이 전형적인 발달과정에 있는 비장애 중학생들보다 정보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시사하며, 특히 인지적 부하량이 늘어날수록 과제에 따른 반응패턴 양상의 차이보다는 반응시간이 늘어나는 양상에 향후 연구에 계속적인 초점을 맞추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tinguish characteristics of the reaction time in respect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speed of a middle school student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DCD) compared to a typical developing(TD) middle scho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tinguish characteristics of the reaction time in respect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speed of a middle school student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DCD) compared to a typical developing(TD) middle school student. 21 DCD middle school students and 18 T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e study considering their result of DCDQ-K and BOTMP-2 test. They were introduced to three types of reaction time assignment (simple, selective and discriminative). The results was then analyzed with two-way repeated measured analysis and independent t-test by the SPSS 23.0 program.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visual-simple reaction time in simple response tasks (t=5.391, p<.001) and auditory-simple reaction time (t=2.386, p<.05). Second, DCD students showed longer reaction time than TD students in all selective response task (F(1,37)=58.9, p<.001). Moreover, there were difference in reaction time (F(2,36) = 61.8, p<.001) depending on the stimuli selection task given. The reaction time increased greatly in DCD than that of TD students as the number of stimulation options increased in each tasks. Third, in the specific response task, the group of DCD students had a longer response time than the group of TD students in all tasks (F(1,37)=35.4, p<.001); difference in response time (F(2,36)=18.3, p<.001) were found depending on the stimuli-discrimination tasks. Two response times for each visual-discrimination task were visual-simple reaction times (p<.001), 3 response times per visual variation (p<.05),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hile 3 response times per visual variation (p=).65) did not appear. Therefore, the findings suggest that DCD students are having difficulty processing information during the typical development process than TD students, and it is suggested for the future research to focus on patterns of response times than the differences in response patterns due to tasks as cognitive load increas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수미, "발달성협응장애 아동의 반응시간에 관한 예비연구" 한국초등체육학회 22 (22): 47-58, 2017

      2 최승오, "발달성 협응력 장애인의 운동감각에 대한 심리물리학적 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 11 (11): 157-168, 2003

      3 Hulme, C., "Visual, kinaesthetic and cross‐modal judgements of length by normal and clumsy children" 24 (24): 461-471, 1982

      4 Sanders, A. F., "Towards a model of stress and human performance" 53 (53): 61-97, 1983

      5 Wall, A. E., "The syndrome of physical awkwardness;Problems in movement control" 74 : 283-316, 1990

      6 Larkin, D., "The movement approach : A window to understanding the clumsy child" 84 : 413-439, 1992

      7 Tsai, C. L., "The effectiveness of exercise intervention on inhibitory control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 Using a visuospatial attention paradigm as a model" 30 (30): 1268-1280, 2009

      8 Wilson, B. N., "The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questionnaire 2007(DCDQ’07)"

      9 Wickens, C. D., "Temporal limits of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 A developmental study" 81 (81): 739-, 1974

      10 Massaro, D. W., "Relationships between perception and action" 133-166, 1990

      1 남수미, "발달성협응장애 아동의 반응시간에 관한 예비연구" 한국초등체육학회 22 (22): 47-58, 2017

      2 최승오, "발달성 협응력 장애인의 운동감각에 대한 심리물리학적 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 11 (11): 157-168, 2003

      3 Hulme, C., "Visual, kinaesthetic and cross‐modal judgements of length by normal and clumsy children" 24 (24): 461-471, 1982

      4 Sanders, A. F., "Towards a model of stress and human performance" 53 (53): 61-97, 1983

      5 Wall, A. E., "The syndrome of physical awkwardness;Problems in movement control" 74 : 283-316, 1990

      6 Larkin, D., "The movement approach : A window to understanding the clumsy child" 84 : 413-439, 1992

      7 Tsai, C. L., "The effectiveness of exercise intervention on inhibitory control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 Using a visuospatial attention paradigm as a model" 30 (30): 1268-1280, 2009

      8 Wilson, B. N., "The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questionnaire 2007(DCDQ’07)"

      9 Wickens, C. D., "Temporal limits of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 A developmental study" 81 (81): 739-, 1974

      10 Massaro, D. W., "Relationships between perception and action" 133-166, 1990

      11 Marteniuk, R. G., "Motor short-term memory measures as a function of methodology" 9 (9): 247-250, 1977

      12 Sage, G. H., "Motor learning and control: A neuropsychological approach" Brown 1984

      13 Lord, R., "Kinaesthetic sensitivity of normal and clumsy children" 29 (29): 720-725, 1987

      14 Marteniuk, R. G., "Information processing in motor skills" Holt, Rinehart and Winston 1976

      15 Smyth, T. R., "Information processing deficits in clumsy children" 38 (38): 13-22, 1986

      16 Fitts, P. M., "Human performance"

      17 Blank, R., "European academy for childhood disability (EacD): recommendations on the definition, diagnosis and intervention of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long version)" 54 : 54-93, 2012

      18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19 이규진,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Questionnaire 2007 (DCDQ’07)의 번안 및 신뢰도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24 (24): 99-110, 2016

      20 Henderson, S. E., "Concomitants of clumsiness in young schoolchildren" 24 (24): 448-460, 1982

      21 Henderson, S. E., "Clumsiness or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 A neglected handicap" 2 : 158-162, 1992

      22 Geuze, R. H., "Clinical and research diagnostic criteria for developmental coordination" 20 (20): 7-47, 2001

      23 Bruininks, R. H., "BOT2 :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AGS Publishing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KCI등재
      2022-02-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8 1.31 1.18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