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디지털 시대의 방송 콘텐츠 전략을 고민하는 국내 상황을 고려하여 일본의 ‘방송프로그램 인터넷 동시송신등에 관계된 권리처리 원활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2021년 5월 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008594
2024
Korean
070
학술저널
73-84(1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디지털 시대의 방송 콘텐츠 전략을 고민하는 국내 상황을 고려하여 일본의 ‘방송프로그램 인터넷 동시송신등에 관계된 권리처리 원활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2021년 5월 개...
이 글에서는 디지털 시대의 방송 콘텐츠 전략을 고민하는 국내 상황을 고려하여 일본의 ‘방송프로그램 인터넷 동시송신등에 관계된 권리처리 원활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2021년 5월 개정 저작권법의 도입 배경과 주요 내용, 영향을 살펴본다. 일본 정부는 방송 동시송신등이 시청자의 편의성 향상이나 콘텐츠 산업 발전 등의 관점에서 의의가 있음을 인식하고, 저작권 등 권리처리의 신속·원활화를 도모하는 저작권법 개정을 단행하였다. 이러한 일본의 움직임은 방송 동시송신등에 관계된 개별과제 해결에 집중하기보다 시청자·방송사업자·창작자 모두의 이익을 목표로 선제적이고 과감한 대응 추진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콘텐츠 산업 발전의 관점에서 현장 목소리 반영 등에 신경 쓸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방송의 자유를 위한 방송심의제도2 : 한국과 영국의 심의제도 비교분석
10년, 지상파방송 시장의 변화와 진단 : 매출과 프로그램 비용의 변화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