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의 주된 연구 목적은 외국인 남성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에 나타나는 "여성성"이 한국어 남․여교사 발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 지각 실험을 바탕으로 산출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47598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61-291(31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주된 연구 목적은 외국인 남성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에 나타나는 "여성성"이 한국어 남․여교사 발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 지각 실험을 바탕으로 산출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
본고의 주된 연구 목적은 외국인 남성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에 나타나는 "여성성"이 한국어 남․여교사 발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 지각 실험을 바탕으로 산출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아울러 외국인 남성 학습자 발화의 남․여교사 발화에 따른 영향 관계를 살피고자 한다. 성별에 따른 교사 발화, 일반인 발화, 외국인 남성 학습자의 발화(총 21명)가 어느 정도로 여성성이 지각되는지를 20명의 청자들에게 likert scale로 평가하게 하였고, 이러한 여성성에 대한 지각적 판단을 기반으로 음높이, 음길이, 발화 속도, 핵억양의 패턴 등의 운율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지각실험 결과 여성 교사의 경우 여성성 정도에 있어 일반 여성보다도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남성 교사는 일반 남성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을 뿐만 아니라 일반 여성과도 유사한 점수를 받은 경우도 발견되었다. 외국인 남성학습자의 경우에도 대체로 여성성의 정도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컨대, 서법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한국어 남성 교사발화는 일반인과 비교했을 때 음역대(pitch range)가 2배 가까이 넓었고, 말속도, 조음속도도 상당히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경계 성조에서 상당히 긴 어말장음화가 관찰되었다. 마지막으로 핵억양 패턴은 일반 여성과 유사하게 나타나 여성스러운 발화에 노출되어 그와 유사한 음성적 특징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더 나은 방향으로 교사 교육에 반영하고, 교사가 자신의 발화를 인식할 기회를 제공했다는 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phonetic characteristics of male Korean language teachers when they use feminine speech patterns. 20 listeners participated in the perception test to make assessments of the speech of male and female Korean language teac...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phonetic characteristics of male Korean language teachers when they use feminine speech patterns. 20 listeners participated in the perception test to make assessments of the speech of male and female Korean language teachers, some subjects of the general public and male Korean language learners (a total of 21 people). In the perceptual test, female teachers received higher scores for feminine speech patterns than the other women, while male teachers received higher scores for feminine speech patterns than the other men. The scores of the male teacher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other women. Most male Korean language learners also showed strong feminine speech patterns. Based on the perceptual test of feminine speech patterns, prosodic characteristics such as speech pitch, length and speed and its core intonation patterns were also examined. The results differ across the sentence types. In general, the speech of the male Korean language teachers had a pitch range twice as large as that of the general public, while their speech speed and articulation rates were shown to be significantly slower. Furthermore, a significantly lengthened final utterance was observed in their boundary tones. Lastly, with core intonation patterns similar to those of the other women, they appeared to have phonetic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o those of women, to the feminine speech.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academic studies to shed a positive light on teacher education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teachers to recognize their own speech pattern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지영, "한국어의 말소리" 지식과교양 2012
2 김재욱, "한국어 수업에서의 교사 발화 연구" 이중언어학회 (34) : 27-48, 2007
3 최은지, "한국어 듣기 교재 내 음성 자료 속도의 실제성"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395-421, 2007
4 성철재, "한국어 대화체 음성의 운율 분석-낭독체와의 비교를 통하여" (239) : 75-94, 1998
5 이미향, "한국어 교사 발화에 나타난 외국인 말씨의 언어 유형별 기능 연구" 이중언어학회 (53) : 151-182, 2013
6 김미옥, "제 2 언어와 입력, 발화 그리고 상호작용" 10 (10): 29-47, 1999
7 김남국, "원어민과 비원어민 간 상호작용에서의 외국인 말씨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34) : 5-34, 2012
8 한상미,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의 교사말 연구 -유도 발화 범주의 교사말 유형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2 (12): 223-253, 2001
9 Richards, J. C., "외국어교육 접근 방법과 교수법" 케임브리지 2001
10 신지영, "소통과 공감을 위한 전달력 높은 말하기의 언어학적 조건(1) -운율적 측면을 중심으로-" 민족어문학회 (69) : 113-133, 2013
1 신지영, "한국어의 말소리" 지식과교양 2012
2 김재욱, "한국어 수업에서의 교사 발화 연구" 이중언어학회 (34) : 27-48, 2007
3 최은지, "한국어 듣기 교재 내 음성 자료 속도의 실제성"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395-421, 2007
4 성철재, "한국어 대화체 음성의 운율 분석-낭독체와의 비교를 통하여" (239) : 75-94, 1998
5 이미향, "한국어 교사 발화에 나타난 외국인 말씨의 언어 유형별 기능 연구" 이중언어학회 (53) : 151-182, 2013
6 김미옥, "제 2 언어와 입력, 발화 그리고 상호작용" 10 (10): 29-47, 1999
7 김남국, "원어민과 비원어민 간 상호작용에서의 외국인 말씨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34) : 5-34, 2012
8 한상미,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의 교사말 연구 -유도 발화 범주의 교사말 유형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2 (12): 223-253, 2001
9 Richards, J. C., "외국어교육 접근 방법과 교수법" 케임브리지 2001
10 신지영, "소통과 공감을 위한 전달력 높은 말하기의 언어학적 조건(1) -운율적 측면을 중심으로-" 민족어문학회 (69) : 113-133, 2013
11 조성미, "성전환자의 문장발화에 대한 운율적 특성 분석" 대한음성학회 0 (0): 51-62, 2004
12 이석규, "남성어․여성어에 관한 연구" 2 (2): 1-40, 1992
13 곽부모, "남·여 한국어교사의 교실 언어 차이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23-50, 2004
14 박미영, "기본주파수 분포도를 이용한 감정 발화 분석" 한국학연구소 (27) : 233-254, 2007
15 이화여자대학교, "국어학연구 50년" 혜안 2002
16 전혜영, "국어학연구 50 년" 혜안 395-430, 2002
17 이창숙, "국어의 여성어 연구: 연령별 여성어의 특징을 중심으로" 211-236, 2000
18 민현식, "국어의 여성어 연구" 34 : 7-64, 1995
19 이호영, "국어음성학" 태학사 1996
20 임홍빈,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문학과지성사 67-78, 1994
21 안병희,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문학과지성사 1994
22 이호영, "국어 핵억양의 음향음성학적 연구" 38 : 25-39, 1999
23 민현식, "국어 남-녀 언어의 사회언어학적 특성 연구" 5 (5): 529-587, 1999
24 Chaudron, C., "Second language classrooms: Research on teaching and learn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25 Laver, J, "Principles of phone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26 Jun, S. A., "K-ToBI (Korean ToBI) labelling conventions" 99 : 149-173, 2000
27 Chaudron, C., "Classroom research: Recent methods and findings" 5 : 1998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0-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2-1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 -> 동악어문학외국어명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Journal of Dong-ak Language and Literature | ![]() |
2015-02-1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학회 -> 동악어문학회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Dong-ak Society of Language and Literature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4-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Dong-ak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1 | 0.8 | 1.224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