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 배경 초등학생을 위한 ‘학습 도구 한국어’ 활성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learning tool Korea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090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연구에서는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학습 도구 한국어’의 위상과 학교 현장에서의 활용실태 및 문제점을 알아보고, ‘학습 도구 한국어’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한국어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개발된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한국어 학습 도구」 교재를 분석하기 위해 「표준한국어」 교재의 위상과 내용을 참고문헌을 통해 살펴보고, 「표준한국어 학습 도구」, 「표준한국어 의사소통」 교재와 초등학교 공통교육과정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표준한국어」 교재를 실제 사용하는 교수관련자인 한국어학급 한국어 강사와 이중언어 강사, 통합학급 교사, 한국어학급 담당교사에게 설문 및 인터뷰를 진행하고 한국어학급 운영계획서를 통해 현장에서 운영실태를 살펴보았다. 결과 교과 진입을 수월하게 하고 학교적응활동을 위한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한국어 학습 도구」 교재는 학습시기가 「표준한국어 의사소통」 학습이후로 늦고 지도내용이 공통교육과정과 연계되지 않으며, 선택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어 활용 빈도가 낮고, 통합교사와 한국어강사와의 교육활동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의 해결을 위해서는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한국어 학습 도구」의 지도 시기를 한국어 학급 초기부터 시작하고,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한국어 의사소통」 교재와의 연계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초등학교 공통교육과정과의 내용 연계를 통해 학습 공백을 최소화하고 학습 누락을 방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한국어 학습 도구」 한국어를 담당할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연수가 강화되고, 한국어 강사와 통합학급 교사와의 연계와 소통을 원활히 하여 학습의 극대화를 도모해야 한다.
      번역하기

      목적 본연구에서는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학습 도구 한국어’의 위상과 학교 현장에서의 활용실태 및 문제점을 알아보고, ‘학습 도구 한국어’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

      목적 본연구에서는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학습 도구 한국어’의 위상과 학교 현장에서의 활용실태 및 문제점을 알아보고, ‘학습 도구 한국어’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한국어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개발된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한국어 학습 도구」 교재를 분석하기 위해 「표준한국어」 교재의 위상과 내용을 참고문헌을 통해 살펴보고, 「표준한국어 학습 도구」, 「표준한국어 의사소통」 교재와 초등학교 공통교육과정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표준한국어」 교재를 실제 사용하는 교수관련자인 한국어학급 한국어 강사와 이중언어 강사, 통합학급 교사, 한국어학급 담당교사에게 설문 및 인터뷰를 진행하고 한국어학급 운영계획서를 통해 현장에서 운영실태를 살펴보았다. 결과 교과 진입을 수월하게 하고 학교적응활동을 위한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한국어 학습 도구」 교재는 학습시기가 「표준한국어 의사소통」 학습이후로 늦고 지도내용이 공통교육과정과 연계되지 않으며, 선택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어 활용 빈도가 낮고, 통합교사와 한국어강사와의 교육활동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의 해결을 위해서는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한국어 학습 도구」의 지도 시기를 한국어 학급 초기부터 시작하고,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한국어 의사소통」 교재와의 연계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초등학교 공통교육과정과의 내용 연계를 통해 학습 공백을 최소화하고 학습 누락을 방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한국어 학습 도구」 한국어를 담당할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연수가 강화되고, 한국어 강사와 통합학급 교사와의 연계와 소통을 원활히 하여 학습의 극대화를 도모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learning tool Korean’ f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the status of its use in school settings, and problems, and to seek ways to revitalize the ‘learning tool Korean’. Methods In order to analyze the textbook developed based on the Korean curriculum, the status and content of the 「Standard Korean」 textbook was reviewed through references, and 「Standard Korean Learning Tool」, 「Standard Korean Communication」 Compared and analyzed textbooks and elementary school common curriculum textbooks. In addition, we interviewed Korean language instructors, bilingual instructors, integrated classroom teachers, and teacher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classes who actually use 「Standard Korean」 textbooks to examine the operation situation in the field. Results The textbook “Standard Korean Learning Too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ease of entry into the subject and school adaptation activities is an optional activity because the learning period is delayed after learning “Standard Korean Communication” and the instructional content is not connected with the common curriculum. The point was that it was composed, and there was no connection between the integrated teacher and the Korean language instructor. Conclusion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instruction period of 「Standard Korean Learning Tool」 is systematically done from the beginning of the Korean class, in connection with the textbook of 「Standard Korean Communication」, and through content linkage with the commo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o minimize the learning gap. Learning should be avoided.
      번역하기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learning tool Korean’ f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the status of its use in school settings, and problems, and to seek ways to revitalize the ‘learning tool Ko...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learning tool Korean’ f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the status of its use in school settings, and problems, and to seek ways to revitalize the ‘learning tool Korean’. Methods In order to analyze the textbook developed based on the Korean curriculum, the status and content of the 「Standard Korean」 textbook was reviewed through references, and 「Standard Korean Learning Tool」, 「Standard Korean Communication」 Compared and analyzed textbooks and elementary school common curriculum textbooks. In addition, we interviewed Korean language instructors, bilingual instructors, integrated classroom teachers, and teacher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classes who actually use 「Standard Korean」 textbooks to examine the operation situation in the field. Results The textbook “Standard Korean Learning Too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ease of entry into the subject and school adaptation activities is an optional activity because the learning period is delayed after learning “Standard Korean Communication” and the instructional content is not connected with the common curriculum. The point was that it was composed, and there was no connection between the integrated teacher and the Korean language instructor. Conclusion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instruction period of 「Standard Korean Learning Tool」 is systematically done from the beginning of the Korean class, in connection with the textbook of 「Standard Korean Communication」, and through content linkage with the commo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o minimize the learning gap. Learning should be avoid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학습 도구 한국어’의 교재 분석 Ⅳ. ‘학습 도구 한국어’ 활용 실태와 현장 요구 Ⅴ. ‘학습 도구 한국어’의 활용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학습 도구 한국어’의 교재 분석 Ⅳ. ‘학습 도구 한국어’ 활용 실태와 현장 요구 Ⅴ. ‘학습 도구 한국어’의 활용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