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장애인학대 관련 법률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Abus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and Japa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rules for abuse of the disabled under the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and the rules for abuse of the disabled under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Abus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Support for Caregivers in Japan to derive implications and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Accordingly,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comparative analysis frame of Lee Sang-hee et al. (2008) and Shin Bok-ki et al. (2015). First of all, Japan defines and defines the abuse of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abuser, so legislative improvement measures are needed to strengthen the response system for the abuser of the disabled. Second, Japan has separate provisions such as early detection of abuse and stipulates cooperation in efforts and related policies, so legislative improvement based on this is required. Third, Japan stipulates a system for responding to abuse of the disabled to municipalities, so it is necessary to devise legislative measures that expand its role to local governm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rules for abuse of the disabled under the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and the rules for abuse of the disabled under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Abuse of Persons with D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rules for abuse of the disabled under the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and the rules for abuse of the disabled under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Abus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Support for Caregivers in Japan to derive implications and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Accordingly,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comparative analysis frame of Lee Sang-hee et al. (2008) and Shin Bok-ki et al. (2015). First of all, Japan defines and defines the abuse of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abuser, so legislative improvement measures are needed to strengthen the response system for the abuser of the disabled. Second, Japan has separate provisions such as early detection of abuse and stipulates cooperation in efforts and related policies, so legislative improvement based on this is required. Third, Japan stipulates a system for responding to abuse of the disabled to municipalities, so it is necessary to devise legislative measures that expand its role to local governm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장애인복지법상의 장애인 학대 규정과 일본 장애인학대방지법의 장애인 학대 관련 규정 등을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 도출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에 이상희 외(2008), 신복기 외(2015)의 비교 분석틀을 활용하여 내용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및 정책제언은 다음과 같다. 우선, 일본은 학대 행위자에 따라 장애인 학대를 정의 규정하고 있어, 장애인학대 행위자에 따른 대응체계를 강화하도록 입법적 개선방안 필요하다. 둘째, 일본은 학대 조기 발견 등의 별도 조항을 두고 노력 의무 및 관련 시책 협력을 규정하고 있어 이를 토대로 한 입법적 개선이 요구된다. 셋째, 일본은 시정촌까지 장애인 학대 대응체계를 규정하고 있어 지자체까지 역할을 확대한 입법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장애인복지법상의 장애인 학대 규정과 일본 장애인학대방지법의 장애인 학대 관련 규정 등을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 도출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에 이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장애인복지법상의 장애인 학대 규정과 일본 장애인학대방지법의 장애인 학대 관련 규정 등을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 도출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에 이상희 외(2008), 신복기 외(2015)의 비교 분석틀을 활용하여 내용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및 정책제언은 다음과 같다. 우선, 일본은 학대 행위자에 따라 장애인 학대를 정의 규정하고 있어, 장애인학대 행위자에 따른 대응체계를 강화하도록 입법적 개선방안 필요하다. 둘째, 일본은 학대 조기 발견 등의 별도 조항을 두고 노력 의무 및 관련 시책 협력을 규정하고 있어 이를 토대로 한 입법적 개선이 요구된다. 셋째, 일본은 시정촌까지 장애인 학대 대응체계를 규정하고 있어 지자체까지 역할을 확대한 입법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厚生労働省, "「令和3年度使用者による障害者虐待の状況等」の結果を公表します。~通報・届出、虐待が認められた事業所数は微減、障害者数は微増、認められた虐待種別では「経済的虐待」が引き続き最多~"

      2 김예원, "한국형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의 바람직한 운영 방안" 16 : 203-236, 2016

      3 서재경 ; 제철웅 ; 최윤영, "한국 장애인 권익옹호 지원체계의 도입과 과제 - 추진 배경과 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32 (32): 141-165, 2016

      4 이상희 ; 하승수 ; 이혜원, "한·일 아동학대 관련 법률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12 (12): 225-248, 2008

      5 조윤득 ; 윤기혁, "한·일 노인학대 관련 법률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일본문화학회 (69) : 333-362, 2016

      6 정한별 ; 조원일, "학대피해장애인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Gilbert와 Terrell의 정책분석틀을 활용하여" 한국발달장애학회 26 (26): 531-557, 2022

      7 김성연, "학대, 피할 수 없는 장애인, 갈 곳 없는 장애인; 장애인학대대응을 위한 권리옹호체계" 249 : 16-22, 2019

      8 김용득, "지적장애인을 위한 권익옹호의 원리와 실천" EM 커뮤니티 2013

      9 차성안, "장애인학대범죄의 형사법적 쟁점과 개선방안" 법학연구소 32 (32): 191-248, 2021

      10 보건복지부, "장애인학대 현황 보고서" 2021

      1 厚生労働省, "「令和3年度使用者による障害者虐待の状況等」の結果を公表します。~通報・届出、虐待が認められた事業所数は微減、障害者数は微増、認められた虐待種別では「経済的虐待」が引き続き最多~"

      2 김예원, "한국형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의 바람직한 운영 방안" 16 : 203-236, 2016

      3 서재경 ; 제철웅 ; 최윤영, "한국 장애인 권익옹호 지원체계의 도입과 과제 - 추진 배경과 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32 (32): 141-165, 2016

      4 이상희 ; 하승수 ; 이혜원, "한·일 아동학대 관련 법률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12 (12): 225-248, 2008

      5 조윤득 ; 윤기혁, "한·일 노인학대 관련 법률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일본문화학회 (69) : 333-362, 2016

      6 정한별 ; 조원일, "학대피해장애인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Gilbert와 Terrell의 정책분석틀을 활용하여" 한국발달장애학회 26 (26): 531-557, 2022

      7 김성연, "학대, 피할 수 없는 장애인, 갈 곳 없는 장애인; 장애인학대대응을 위한 권리옹호체계" 249 : 16-22, 2019

      8 김용득, "지적장애인을 위한 권익옹호의 원리와 실천" EM 커뮤니티 2013

      9 차성안, "장애인학대범죄의 형사법적 쟁점과 개선방안" 법학연구소 32 (32): 191-248, 2021

      10 보건복지부, "장애인학대 현황 보고서" 2021

      11 박나원, "장애인차별금지법의 한계와 개정 방향 : 포괄적 ‘차별금지법안’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22 (22): 105-130, 2021

      12 장추련, "장애인차별금지법 이행 및 차별개선 모니터링"

      13 이한나, "장애인권익옹호서비스 인력 운용 실태와 개선방안" 7 : 36-51, 2021

      14 김대명,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의 역할 제고 방안" 2017

      15 국가인권위원회, "장애인권리협약 이행에 관한 실태조사"

      16 보건복지위원회, "장애인권리보장법안과 장애인복지법 전부개정법률안 검토보고" 2021

      17 김명연, "장애인권리보장법(안)과 탈시설 정책 입법방안" 법학연구소 32 (32): 545-581, 2020

      18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인권리보장법 제정을 위한 정책과제 발굴 기초연구쟁점별 간담회(단체소송) 자료집"

      19 보건복지부, "장애인권리보장법 제정을 위한 정책과제 발굴 기초 연구" 2019

      20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인권리보장법 제정방안 연구 간담회 결과보고" 2021

      21 보건복지위원회, "장애인권리보장법 제정 관련 검토보고" 2019

      22 신기원, "장애인, 아동, 노인에 대한 학대 비교 연구 : 장애인복지법, 아동복지법, 노인복지법 중심으로" 30 : 1-18, 2019

      23 한국일보, "유죄 판결 받은 장애인 학대, 넷 중 하나는 노동력 착취"

      24 박은수, "우리사회 장애인 권리옹호체계 현황과 대안 찾기"

      25 이혜원 ; 윤혜미, "아동권리옹호의 이해와 제도화방안의 모색: 학대피해아동의 권리옹호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18 : 107-127, 2010

      26 이승진, "소비자단체 소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소비자원 2017

      27 이명현, "사회복지에서의 이용자 지원을 위한 권리옹호(Advocacy) 시스템에 대한 고찰"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29-52, 2004

      28 박연주 ; 정수정,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장애인 학대에 관한 예방 및 지원체계 고찰" 인문사회 21 13 (13): 1507-1520, 2022

      29 국가인권위원회, "국민인권의식 실태조사"

      30 국가인권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 통계"

      31 조만형, "개인정보보호법상 단체소송에 관한 소고" 한국토지공법학회 60 : 365-382, 2013

      32 藤江慎二, "障害者支援施設における施設内虐待の予防に向けた一考察―傷害事件・暴行事件についての裁判調書の事例分析から―" 62 (62): 91-102, 2021

      33 寺島正博, "障害福祉サービス従事者による虐待の防止に関する研究-虐待の概念に対する検討" 3 (3): 57-65, 2013

      34 荘村明彦, "逐条解説 障害者虐待防止法" 中央法規出版 2013

      35 厚生労働省社会・援護局障害保健福祉部障害福祉課地域移行・障害児支援室, "市町村・都道府県における障害者虐待の防止と対応" 2012

      36 厚生労働省, "令和2年度都道府県・市区町村における障害者虐待事例への対応状況等(調査結果)" 2022

      37 増田公香, "カリフォルニア州における障害者虐待対応システムに関する考察―日本の障害者虐待施策との比較を視座に―" 69 (69): 97-119, 2017

      38 김치훈, "‘장애인 권익옹호체계 도입을 위한 법적 방안’에 대한 토론문" 2012

      39 김정열, "[연속 기획1/한국 사회의 편견과 차별의 구조-신체 장애]편견의 법제와 장애인 수용 시설의 현실" (14) : 279-292, 2001

      40 보건복지부, "2020년 장애인실태조사"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