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아동 학습자의 쓰기 능력 발달 연구 : 중도 입국 자녀와 외국인 노동자 자녀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를 배우는 아동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 발달에 관한 종단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란, ‘자신의 모국어가 있는 상황에서 두 번째 언어인 한국어를 배워야 하되, 한국어를 모국어 수준으로 구사하면서 살아야 할 필요가 있는’ 학습자로서, 이들은 언어가 통하지 않아 학교생활뿐 아니라 주변 사람들과의 소통에서도 큰 어려움을 겪고 있어, 많은 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다. 특히 학령기 아동의 문식성, 특히 쓰기 능력은 향후 학업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기능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2언어로서의 아동 학습자의 언어 발달 중에서도 쓰기 능력에 초점을 맞추어 그 발달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KSL 아동 학습자의 쓰기 능력 발달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동일 대상에 대한 종단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에 1년 반 동안 아동 학습자의 쓰기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문자 습득, 어휘 및 구문의 발달, 담화적 능력 발달, 사회언어학적 능력 발달의 네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1차년도인 2013년도 5월부터 2014년 4월까지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10명의 아동 학습자를 모집하였고, 이들과 주 1회 정도의 정기적인 만남을 통해 아동의 쓰기 자료, 대화 녹음 자료, 관찰 일지를 수집하였다. 또한 1차년도에는 초기 문식성 단계에 있는 대상자의 쓰기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문자 습득 과정에서 나타나는 양상을 분석하여 이를 연구재단 등재 학술지에 게재하였다. 2014년도 5월부터 2015년 4월까지에 해당하는 2차년도의 목표는 자료 수집을 지속하여 연속성을 갖춘 자료 수집을 완료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각도에서 자료를 분석하는 데에 있었다. 이에 2차년도에는 자료 수집을 계속하는 한편,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기 용이하게 한글 파일로 입력하여 말뭉치를 구축하였다. 다음으로는 구축된 자료를 바탕으로 어휘 및 구문 능력 발달, 담화적 능력의 발달, 사회언어학적 능력 발달 등의 측면에서 다각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중 아동 학습자의 담화 능력 발달의 구체적인 양상은 연구재단 등재 학술지에 투고, 게재된 바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아동 학습자의 언어 발달을 살펴볼 수 있는 기초 자료를 구축할 수 있다는 점, 둘째 아동 학습자 KSL 교육과정, 교재, 평가 체계의 개발 및 수정 및 보완 작업에 있어 기초가 될 수 있다는 점, 셋째 아동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KSL 교사 양성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와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를 배우는 아동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 발달에 관한 종단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란, ‘자신의 모국어가 있는 상황에서 두 번째 ...

      본 연구는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를 배우는 아동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 발달에 관한 종단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란, ‘자신의 모국어가 있는 상황에서 두 번째 언어인 한국어를 배워야 하되, 한국어를 모국어 수준으로 구사하면서 살아야 할 필요가 있는’ 학습자로서, 이들은 언어가 통하지 않아 학교생활뿐 아니라 주변 사람들과의 소통에서도 큰 어려움을 겪고 있어, 많은 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다. 특히 학령기 아동의 문식성, 특히 쓰기 능력은 향후 학업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기능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2언어로서의 아동 학습자의 언어 발달 중에서도 쓰기 능력에 초점을 맞추어 그 발달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KSL 아동 학습자의 쓰기 능력 발달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동일 대상에 대한 종단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에 1년 반 동안 아동 학습자의 쓰기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문자 습득, 어휘 및 구문의 발달, 담화적 능력 발달, 사회언어학적 능력 발달의 네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1차년도인 2013년도 5월부터 2014년 4월까지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10명의 아동 학습자를 모집하였고, 이들과 주 1회 정도의 정기적인 만남을 통해 아동의 쓰기 자료, 대화 녹음 자료, 관찰 일지를 수집하였다. 또한 1차년도에는 초기 문식성 단계에 있는 대상자의 쓰기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문자 습득 과정에서 나타나는 양상을 분석하여 이를 연구재단 등재 학술지에 게재하였다. 2014년도 5월부터 2015년 4월까지에 해당하는 2차년도의 목표는 자료 수집을 지속하여 연속성을 갖춘 자료 수집을 완료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각도에서 자료를 분석하는 데에 있었다. 이에 2차년도에는 자료 수집을 계속하는 한편,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기 용이하게 한글 파일로 입력하여 말뭉치를 구축하였다. 다음으로는 구축된 자료를 바탕으로 어휘 및 구문 능력 발달, 담화적 능력의 발달, 사회언어학적 능력 발달 등의 측면에서 다각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중 아동 학습자의 담화 능력 발달의 구체적인 양상은 연구재단 등재 학술지에 투고, 게재된 바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아동 학습자의 언어 발달을 살펴볼 수 있는 기초 자료를 구축할 수 있다는 점, 둘째 아동 학습자 KSL 교육과정, 교재, 평가 체계의 개발 및 수정 및 보완 작업에 있어 기초가 될 수 있다는 점, 셋째 아동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KSL 교사 양성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와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spects of development of children learner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by using longitudinal data. ‘Learner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indicates that the learners who have to lear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newly in a state that have their own native language, and have necessity to live and speak the Korean language as native speaker’s level. Since they have suffered greatly in communicating in Korean, They have lots of difficulty and need active support with their school life and interaction with surrounding people. Literature of school-aged children in particular, especially writing competence is an important function which can influence on academic ability in the future. Accordingly, this study were focused on writing competence and observed its aspects of development of children learners of KSL. To investigate process of development of children learners of KSL, this study carried out longitudinal study on the same subjects. For these, writings of children learners of KSL were collected for one and a half years, and analysed these from four different aspects : acquisition of the letters, development of the vocabulary and construction competence, development of discourse competence, development of sociolinguistic competence.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spects of development of children learner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by using longitudinal data. ‘Learner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indicates that the learners who have to learn Korean as a second langua...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spects of development of children learner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by using longitudinal data. ‘Learner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indicates that the learners who have to lear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newly in a state that have their own native language, and have necessity to live and speak the Korean language as native speaker’s level. Since they have suffered greatly in communicating in Korean, They have lots of difficulty and need active support with their school life and interaction with surrounding people. Literature of school-aged children in particular, especially writing competence is an important function which can influence on academic ability in the future. Accordingly, this study were focused on writing competence and observed its aspects of development of children learners of KSL. To investigate process of development of children learners of KSL, this study carried out longitudinal study on the same subjects. For these, writings of children learners of KSL were collected for one and a half years, and analysed these from four different aspects : acquisition of the letters, development of the vocabulary and construction competence, development of discourse competence, development of sociolinguistic competenc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