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윤준모, "한국 AEO 상호인정협정의 원활화 방안에 관한연구: 중남미국가들과의 체결을 중심으로" 한국무역연구원 12 (12): 647-666, 2016
2 라공우, "한·일 AEO제도와 MRA의 실효성에 관한 고찰" 한국무역학회 39 (39): 213-232, 2014
3 최준호, "한-중 AEO MRA 체결에 따른 공인기업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무역연구원 9 (9): 721-738, 2013
4 김종득, "중국내 물류보안 동향과 AEO제도 운영에 관한 고찰" 한국국제상학회 26 (26): 137-154, 2011
5 김종훈, "중국 AEO 제도의 시사점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비즈니스학회 (21) : 65-94, 2012
6 안재진, "일본의 AEO제도 추진과 우리나라 관세법상 수출입안전관리 우수공인업체 제도 추진방향 연구" 한국관세학회 9 (9): 87-110, 2008
7 정태원, "인천지역 수출입관련기업의 AEO 인증확대를 위한 실태조사와 시사점" 한국해운물류학회 28 (28): 265-284, 2012
8 김진규, "우리나라 수출입기업의 AEO 인증제도 도입에 따른 혜택 및 기대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무역상무학회 49 : 167-188, 2011
9 김귀옥, "우리나라 수출기업의 AEO 인증제도 도입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상학회 26 (26): 111-131, 2011
10 윤창기, "우리나라 무역업체의 AEO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관세학회 12 (12): 109-131, 2011
1 윤준모, "한국 AEO 상호인정협정의 원활화 방안에 관한연구: 중남미국가들과의 체결을 중심으로" 한국무역연구원 12 (12): 647-666, 2016
2 라공우, "한·일 AEO제도와 MRA의 실효성에 관한 고찰" 한국무역학회 39 (39): 213-232, 2014
3 최준호, "한-중 AEO MRA 체결에 따른 공인기업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무역연구원 9 (9): 721-738, 2013
4 김종득, "중국내 물류보안 동향과 AEO제도 운영에 관한 고찰" 한국국제상학회 26 (26): 137-154, 2011
5 김종훈, "중국 AEO 제도의 시사점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비즈니스학회 (21) : 65-94, 2012
6 안재진, "일본의 AEO제도 추진과 우리나라 관세법상 수출입안전관리 우수공인업체 제도 추진방향 연구" 한국관세학회 9 (9): 87-110, 2008
7 정태원, "인천지역 수출입관련기업의 AEO 인증확대를 위한 실태조사와 시사점" 한국해운물류학회 28 (28): 265-284, 2012
8 김진규, "우리나라 수출입기업의 AEO 인증제도 도입에 따른 혜택 및 기대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무역상무학회 49 : 167-188, 2011
9 김귀옥, "우리나라 수출기업의 AEO 인증제도 도입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상학회 26 (26): 111-131, 2011
10 윤창기, "우리나라 무역업체의 AEO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관세학회 12 (12): 109-131, 2011
11 정재우, "신(新)관세행정 패러다임의 확산과 한국의 대응방안 - AEO(Authorized Economic Operator)를 중심으로 -" 한국관세학회 10 (10): 99-127, 2009
12 이상학, "수출입안전관리 우수공인업체(AEO) 제도 : 이론 모형과 효율적 운용방향 모색" 한국관세학회 11 (11): 131-147, 2010
13 안재진, "수출입물류보안(AEO) 프로그램의 세관간 상호인정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 : 주요 사례와 관세행정에 대한 시사점" 한국관세학회 9 (9): 73-102, 2008
14 조부래, "수출 입 기업의 AEO 인증 및 유지 성공요인에관한 연구- 성공요인의 도출과 인식도 조사를 중심으로 -" 한국국제상학회 28 (28): 263-283, 2013
15 이명복, "보세운송사업자의 AEO인증 기준이 물류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물류학회 25 (25): 25-37, 2015
16 우성구, "무역의 안전과 원활화를 위한 일본기업의 AEO 제도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무역상무학회 47 : 263-298, 2010
17 박정희, "무역원활화를 위한 국내 AEO제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관세학회 14 (14): 111-132, 2013
18 전동화, "무역업체의 AEO 인증이 생산성 및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역연구원 12 (12): 503-520, 2016
19 이기희, "글로벌 물류환경 변화에 대응한 물류보안 인증기준의 수립방향" 한국관세학회 9 (9): 51-71, 2008
20 노윤진, "국제물류보안제도 확산에 따른 국내 중소기업 AEO인증 지원방안" 한국관세학회 11 (11): 397-416, 2010
21 이재성, "국제 통관절차상의 보안개념 확산에 관한 연구 -중국 AEO제도를 중심으로-" 한국해양비즈니스학회 (25) : 85-104, 2013
22 남풍우, "국내기업의 AEO 공인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 한국관세학회 10 (10): 129-148, 2009
23 김진수, "국내 기업들의 AEO 인증 획득 이후의 업무개선 효과에 관한 실증 분석 연구: 물류기업과 화주기업 간 차이분석" 한국물류학회 24 (24): 33-58, 2014
24 김진수, "국내 AEO제도의 연구 동향 분석과 제도 활성화를 위한 연구방향 제시에 관한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16 (16): 45-68, 2014
25 송선욱, "국경안전상 강화를 위한 승인된 운영인(AEO) 프로그램의 적용" 한국관세학회 8 (8): 1-22, 2007
26 최준호, "관세사의 AEO 컨설팅 활성화 방안" 한국무역연구원 8 (8): 199-215, 2012
27 남풍우, "관세법의 수출입 안전관리 우수공인업체(AEO)제도 시행에 따른 관세사의 역할증진 방안" 한국관세학회 9 (9): 49-68, 2008
28 남풍우, "관세법상「수출입안전관리 우수공인업체」(AEO) 제도의 효율적인 운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무역상무학회 39 : 313-344, 2008
29 송선욱, "관세법상 수출입 안전관리 우수공인업체 제도의 효과적 운영 방향 - EU, 호주의 AEO Pilot Project가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 한국관세학회 9 (9): 1-27, 2008
30 최준호, "관세법령 개정에 따른 한-일 수출입안전관리우수업체 MRA 추진방향에 관한 연구 - 한국 관세사와 일본 통관업자를 중심으로 -" 국제e-비즈니스학회 11 (11): 401-420, 2010
31 송선욱, "공급망 안전 및 무역원활화를 위한 AEO 상호인정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무역연구원 7 (7): 323-343, 2011
32 장다영, "FTA 환경하에서 AEO 제도의 효과에 관한 실증적 분석" 한국전자무역연구소 14 (14): 69-90, 2016
33 손성균,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SME Internationalization: Factor Differences between AEO and Non-AEO Authorized Companies" 한국유통과학회 12 (12): 5-12, 2014
34 송선욱, "EU의 AEO 운영에 따른 평가와 시사점" 한국관세학회 16 (16): 27-47, 2015
35 김창봉, "AEO제도 활용이 물류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상학회 30 (30): 159-179, 2015
36 김창봉, "AEO제도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무역학회 37 (37): 203-228, 2012
37 김중근, "AEO제도 운영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MRA체결국을 중심으로 -" 한국무역연구원 8 (8): 453-480, 2012
38 최준호, "AEO제도 시행을 위한 주요 제도의 비교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34 (34): 167-185, 2008
39 김창봉, "AEO제도 구축과 물류공급체인망 성과에 관한 연구 -사례중심-" 한국유통경영학회 13 (13): 107-133, 2010
40 경윤범, "AEO의 상호인증(MRA) 확산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관세학회 14 (14): 23-43, 2013
41 하의현, "AEO(Authorized Economic Operator) 상호인정협정(MRA) 전략 분석" 한국무역학회 38 (38): 29-46, 2013
42 김창봉, "AEO 제도의 정부지원과 사후관리가 AEO 활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17 (17): 151-171, 2015
43 조삼현, "AEO 인증제도의 활성화 방안" 한국무역통상학회 12 (12): 93-108, 2012
44 김진수, "AEO 인증제도 대응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대구ㆍ경북지역 수출기업을 중심으로 -" 한국국제상학회 28 (28): 279-300, 2013
45 하의현, "AEO 인증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패널데이터 분석" 한국무역학회 41 (41): 91-110, 2016
46 조정란, "AEO 인증 제도 평가: 중소기업의 입장에서" 한국국제통상학회 15 (15): 137-157, 2010
47 조부래, "AEO 인증 및 유지 성공요인의 중요도 평가에 관한 연구" 산업개발연구소 30 (30): 121-148, 2014
48 신대철, "AEO 상호인정협정의 무역원활화 효과 분석" 한국관세학회 16 (16): 77-96, 2015
49 최준호, "AEO 공인제도의 효율적인 심사절차를 위한 개선 방안" 한국관세학회 16 (16): 25-43, 2015
50 김진수, "AEO 공인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분석 연구" 한국관세학회 15 (15): 45-61, 2014
51 최준호, "AEO 공인기업의 업무효율성 증대를 위한 사후관리 개선방안" 한국관세학회 15 (15): 65-84, 2014
52 이강군, "6시그마 기법을 통한 AEO공인제도의 위험관리절차에 관한 연구" 한국물류학회 20 (20): 183-198,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