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추적 중견국가로서의 폴란드와 국제안보제도: 안보딜레마 극복전략과 나토(NATO) 가입 결정 배경 = Poland as a Pivotal Middle Power and International Security Institu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635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ven after the end of Cold War and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the new Central European democracies do perceive some threats or potential dangers, although it would be rather difficult to identify. Especially, Poland needed to deal with its historic security dilemmas since Europe underwent dramatic upheaval, potentially resulting in myriad regional threats and internal alliance tensions. To a certain extent, Poland faces the same historical and strategic predicament in the early 1990s that confronted it in 1990 between tsarist Russia and imperial Germany, 1921 separating Soviet Russia and Weimar Germany, and from 1934~1939 between Stalin's Russia and Hitler's Third Reich.

      Although parallels exist between Poland's fragile security in the 1930s and its status in the early 1990s, Warsaw today attempts to rejoin Europe not as a belligerent, but as a facilitator. As in its post-Cold War reconciliation with Germany and bridge building to its eastern smaller, middle, and great power neighbors in the early 1990s, Poland tried to promote a specialized role for European reintegration. Subsequently Poland based its regional pivotal strategy not on provoking tensions or increasing regional security dilemmas, but on step-by-step integrative alignment. By pursuing a cooperative security alignment strategy in the early 1990s, Poland as a pivotal middle power implemented nonconfrontational external alignment, utilized the post-Cold War redistribution of material capabilities for cooperative reintegration, and overcame the Soviet satellite legacy and regional security dilemmas.
      번역하기

      Even after the end of Cold War and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the new Central European democracies do perceive some threats or potential dangers, although it would be rather difficult to identify. Especially, Poland needed to deal with its hi...

      Even after the end of Cold War and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the new Central European democracies do perceive some threats or potential dangers, although it would be rather difficult to identify. Especially, Poland needed to deal with its historic security dilemmas since Europe underwent dramatic upheaval, potentially resulting in myriad regional threats and internal alliance tensions. To a certain extent, Poland faces the same historical and strategic predicament in the early 1990s that confronted it in 1990 between tsarist Russia and imperial Germany, 1921 separating Soviet Russia and Weimar Germany, and from 1934~1939 between Stalin's Russia and Hitler's Third Reich.

      Although parallels exist between Poland's fragile security in the 1930s and its status in the early 1990s, Warsaw today attempts to rejoin Europe not as a belligerent, but as a facilitator. As in its post-Cold War reconciliation with Germany and bridge building to its eastern smaller, middle, and great power neighbors in the early 1990s, Poland tried to promote a specialized role for European reintegration. Subsequently Poland based its regional pivotal strategy not on provoking tensions or increasing regional security dilemmas, but on step-by-step integrative alignment. By pursuing a cooperative security alignment strategy in the early 1990s, Poland as a pivotal middle power implemented nonconfrontational external alignment, utilized the post-Cold War redistribution of material capabilities for cooperative reintegration, and overcame the Soviet satellite legacy and regional security dilemma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난날 폴란드는 지정학적 위치와 국력의 상대적 열세로 인해 주변 열강들의 주기적인 침탈의 대상이 되어, 주권을 상실하고 영토가 분할되는 역사적 비극을 경험하였다. 또한 냉전체제에서도 진영논리로 인해 주권을 제약받고, 자율적인 외교정책과 국가전략을 추진할 수 없었다. 따라서 만약 냉전종식 이후 새롭게 재편되는 유럽의 안보환경에서 또 다시 과거와 같은 지역적 안보딜레마 구조가 재현된다면 폴란드는 쓰라린 과거 역사의 재현을 걱정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폴란드에게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과거의 역사적 비극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한 방법과 전략을 설계하여 주변의 안보적 불안정과 이로 인해 현실화될 수도 있는 중동유럽 지역의 안보딜레마를 극복해 나가는 것이었다.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냉전체제의 붕괴와 새로운 안보환경의 대두라는 시대적 전환기에 폴란드가 이전에 자신이 경험했던 어두운 역사의 재현을 방지하고 국가의 생존을 도모하기 위해 국제안보제도를 어떻게 활용하였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중추적 중견국가와 국제안보제도라는 관점에서 냉전종식 이후 나토의 확대정책이 공식화되기 이전 시기인 1990년부터 1992년에 걸쳐 폴란드가 보여준 나토 가입전략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왜냐하면 나토의 확대정책과 관련하여 이 기간에 나타난 폴란드 및 중동유럽 국가들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중요하였고, 이를 통해 국제안보제도를 활용하고자 한 폴란드의 안보전략이 보다 선명하게 드러나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지난날 폴란드는 지정학적 위치와 국력의 상대적 열세로 인해 주변 열강들의 주기적인 침탈의 대상이 되어, 주권을 상실하고 영토가 분할되는 역사적 비극을 경험하였다. 또한 냉전체제에...

      지난날 폴란드는 지정학적 위치와 국력의 상대적 열세로 인해 주변 열강들의 주기적인 침탈의 대상이 되어, 주권을 상실하고 영토가 분할되는 역사적 비극을 경험하였다. 또한 냉전체제에서도 진영논리로 인해 주권을 제약받고, 자율적인 외교정책과 국가전략을 추진할 수 없었다. 따라서 만약 냉전종식 이후 새롭게 재편되는 유럽의 안보환경에서 또 다시 과거와 같은 지역적 안보딜레마 구조가 재현된다면 폴란드는 쓰라린 과거 역사의 재현을 걱정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폴란드에게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과거의 역사적 비극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한 방법과 전략을 설계하여 주변의 안보적 불안정과 이로 인해 현실화될 수도 있는 중동유럽 지역의 안보딜레마를 극복해 나가는 것이었다.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냉전체제의 붕괴와 새로운 안보환경의 대두라는 시대적 전환기에 폴란드가 이전에 자신이 경험했던 어두운 역사의 재현을 방지하고 국가의 생존을 도모하기 위해 국제안보제도를 어떻게 활용하였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중추적 중견국가와 국제안보제도라는 관점에서 냉전종식 이후 나토의 확대정책이 공식화되기 이전 시기인 1990년부터 1992년에 걸쳐 폴란드가 보여준 나토 가입전략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왜냐하면 나토의 확대정책과 관련하여 이 기간에 나타난 폴란드 및 중동유럽 국가들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중요하였고, 이를 통해 국제안보제도를 활용하고자 한 폴란드의 안보전략이 보다 선명하게 드러나기 때문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添谷芳秀, "일본의 미들파워 외교: 전후 일본의 선택과 구상" 오름 2006

      2 이수형,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와 유럽안보" 한울 2004

      3 박건영, "미국의 동북아 동맹전략과 동맹의 안보딜레마,그리고 한국의 국가안보전략에 대한 함의" 극동문제연구소 18 (18): 2-67, 2002

      4 Kalevi J. Holsti, "국제정치학: 분석의틀" 박영사 1990

      5 김치욱, "국제정치의 분석단위로서 중견국가(Middle Power) : 그 개념화와 시사점" 한국국제정치학회 49 (49): 7-36, 2009

      6 Hoffmann, Stanley, "What Should We Do in the World?" 264 (264): 84-96, 1989

      7 Handel, Michael, "Weak States in the International System" FRANK CASS & CO. LTD 1993

      8 Vital, David, "The Survival of Small States: Studies in Small Power/Great Power Conflict" Oxford University Press 1971

      9 Wood, Bernard, "The Middle Powers and the General Interest" North-South Institute 1990

      10 Vital, David, "The Inequality of States: A Study of the Small Power in International Relations" Greenwood Press 1980

      1 添谷芳秀, "일본의 미들파워 외교: 전후 일본의 선택과 구상" 오름 2006

      2 이수형,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와 유럽안보" 한울 2004

      3 박건영, "미국의 동북아 동맹전략과 동맹의 안보딜레마,그리고 한국의 국가안보전략에 대한 함의" 극동문제연구소 18 (18): 2-67, 2002

      4 Kalevi J. Holsti, "국제정치학: 분석의틀" 박영사 1990

      5 김치욱, "국제정치의 분석단위로서 중견국가(Middle Power) : 그 개념화와 시사점" 한국국제정치학회 49 (49): 7-36, 2009

      6 Hoffmann, Stanley, "What Should We Do in the World?" 264 (264): 84-96, 1989

      7 Handel, Michael, "Weak States in the International System" FRANK CASS & CO. LTD 1993

      8 Vital, David, "The Survival of Small States: Studies in Small Power/Great Power Conflict" Oxford University Press 1971

      9 Wood, Bernard, "The Middle Powers and the General Interest" North-South Institute 1990

      10 Vital, David, "The Inequality of States: A Study of the Small Power in International Relations" Greenwood Press 1980

      11 Kanner, Aimee T., "The Impact of Regional Integration on the Foreign Policy Options of Small and Middle Power States: The Cases of Argentina, Portugal, Spain, and Uruguay" University of Miami 2001

      12 Paul, T. V., "Soft Balancing in the Age of U.S. Primacy" 30 (30): 46-71, 2005

      13 Pape, Robert A., "Soft Balancing Against the United States" 30 (30): 7-45, 2005

      14 Webber, Mark, "Security Governance and the Excluded States of Postcommunist Europe in New Security Challenges in Postcommunist Europe: Securing Europe’s East" Manchester University Press 43-67, 2002

      15 Valki, Laszlo, "Security Concerns in Central Europe" Jacob Kipp 1-14, 1993

      16 Cooper, Andrew F., "Relocating Middle Powers: Australia and Canada in a Changing World Order" UBC Press 1993

      17 Skubiszewski, Krzysztof, "Poland and European Security"

      18 Chase, Robert S., "Pivotal States and U.S. Strategy" 75 (75): 33-51, 1996

      19 Asmus, Ronald D., "Opening NATO’s Door: How The Alliance Remade Itself for a New Era"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2

      20 NATO, "NATO Handbook" NATO Office Information and Press 1995

      21 Holbraad, Carsten, "Middle Powers in International Politics" Macmillan 1984

      22 Belanger, Louis, "Middle Powers and Regionalism in the Americas: The Case of Argentina and Mexico in Niche Diplomacy: Middle Powers After the Cold War" St. Martin’s Press 1997

      23 Schroeder, Paul, "Historical Reality vs. Neo-Realist Theory" 19 (19): 108-148, 1994

      24 Hurrell, Andrew, "Hegemony, Liberalism and Global Order: What Space for Would-be Great Powers?" 82 (82): 1-19, 2006

      25 Hyde-Price, Adrian, "European Security in the Twenty-first Century: Towards a Stable Peace Order? in New Security Challenges in Postcommunist Europe: Securing Europe’s East"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0-212, 2002

      26 Larrabee, F. Stephen, "East European Security After the Cold War" RAND 1993

      27 Spero, Joshua B., "Deja Vu All Over Again? Poland’s Attempt to Avoid Entrapment Between Two Belligerents" Jacob Kipp 92-117, 1993

      28 Schweller, Randall I., "Deadly Imbalances: Tripolarity and Hitler’s Strategy of World Conquest"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8

      29 Dougherty, James E., "Contending Theori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A Comprehensive Survey" Harper and Row 1990

      30 Konovalov, Alexander, "Central European Security: A View from Moscow" Jacob Kipp 65-79, 1993

      31 Kipp, Jacob, "Central European Security Concerns: Bridge, Buffer or Barrier?" FRANK CASS & CO. LTD 1993

      32 Winkler, Theodor, "Central Europe and the Post-Cold War European Security Order" Jacob Kipp 15-40, 1993

      33 Spero, Joshua B., "Bridging the European Divide: Middle Power Politics and Regional Security Dilemmas" Rowman & Littlefield 2004

      34 Steinberg, James B., "An Ever Closer Union: European Integra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of U.S.-European Relations" RAND 1993

      35 Ozkan, Mehmet, "A New Approach to Global Security: Pivotal Middle Powers and Global Politics" 11 (11): 77-95, 2006

      36 진장철, ""신유럽 안보체제와 러시아의 역할" in 유럽통합과 신유럽안보질서" 민음사 111-190,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7-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and World Politics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95 1.32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