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학교교육에서 기술중심적 사고의 확산과 대책 = The Proliferation and Solution of Technopoly in School Educ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학교교육은 기술체계의 비약적 발전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우리의 학교교육은 교육적 원리에 의해서라기보다 컴퓨터와 인터넷, 휴대폰 등을 포함하는 기술중심적 사고로 진행된다. 이러한 기술중심적 사고는 일상생활에서 학교구성원들의 행동과 태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 논문에서 먼저, 우리는 기술중심적 사고가 어떻게 형성 · 발전되었는가에 대해 검토한다. 그리고 우리는 학교교육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기술중심적 사고의 구체적 사례들에 대해 대량생산적 표준화, 통제기제(파놉티콘), 성적지상주의 등으로 다루어본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학교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비판적 사색가의 양성을 통해 제시해본다.
      번역하기

      오늘날 학교교육은 기술체계의 비약적 발전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우리의 학교교육은 교육적 원리에 의해서라기보다 컴퓨터와 인터넷, 휴대폰 등을 포함하는 기술중심적 사고로 진행된...

      오늘날 학교교육은 기술체계의 비약적 발전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우리의 학교교육은 교육적 원리에 의해서라기보다 컴퓨터와 인터넷, 휴대폰 등을 포함하는 기술중심적 사고로 진행된다. 이러한 기술중심적 사고는 일상생활에서 학교구성원들의 행동과 태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 논문에서 먼저, 우리는 기술중심적 사고가 어떻게 형성 · 발전되었는가에 대해 검토한다. 그리고 우리는 학교교육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기술중심적 사고의 구체적 사례들에 대해 대량생산적 표준화, 통제기제(파놉티콘), 성적지상주의 등으로 다루어본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학교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비판적 사색가의 양성을 통해 제시해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wadays school education has a very close relationship to the fast development of technology. School education in korean society is chiefly determined by techno-centered thoughts, including computer and internet, mobile communication rather than educational principles. These techno-centered thoughts have influenced the behavior and the attitude of school members in everyday life.
      In this paper, I examine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technopoly. And I deal with cases of technopoly like mass productive standardization, control mechanism (panopticon), learning by heart just for scores in school education. Finally, I propose the necessity of cultivating critical thinkers as a core of the new educational system.
      번역하기

      Nowadays school education has a very close relationship to the fast development of technology. School education in korean society is chiefly determined by techno-centered thoughts, including computer and internet, mobile communication rather than educ...

      Nowadays school education has a very close relationship to the fast development of technology. School education in korean society is chiefly determined by techno-centered thoughts, including computer and internet, mobile communication rather than educational principles. These techno-centered thoughts have influenced the behavior and the attitude of school members in everyday life.
      In this paper, I examine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technopoly. And I deal with cases of technopoly like mass productive standardization, control mechanism (panopticon), learning by heart just for scores in school education. Finally, I propose the necessity of cultivating critical thinkers as a core of the new educational syste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찬원, "환경문제의 새로운 출구" 철학과 현실사 1998

      2 김장호, "한국노동경제론" 한길사 1999

      3 정용교, "학교현장에서 바라본 우리교육현실과 청소년 문화" 문음사 2003

      4 홍성욱, "파놉티콘 : 정보사회 정보감옥" 책세상 2002

      5 Illich,I, "탈학교 사회" 삼성문화문고 1978

      6 Milbrath, "지속가능한 사회" 인간사랑 2001

      7 황윤환, "제6차 교육과정과 구성주의적 교육" 한국교육학연구학회 33 : 1995

      8 박병기, "인터넷의 교육적 해석" 3 (3): 1998

      9 Turkle,S, "스크린 위의 삶" 민음사 2003

      10 Rifkin,J, "소유의 종말" 민음사 2001

      1 윤찬원, "환경문제의 새로운 출구" 철학과 현실사 1998

      2 김장호, "한국노동경제론" 한길사 1999

      3 정용교, "학교현장에서 바라본 우리교육현실과 청소년 문화" 문음사 2003

      4 홍성욱, "파놉티콘 : 정보사회 정보감옥" 책세상 2002

      5 Illich,I, "탈학교 사회" 삼성문화문고 1978

      6 Milbrath, "지속가능한 사회" 인간사랑 2001

      7 황윤환, "제6차 교육과정과 구성주의적 교육" 한국교육학연구학회 33 : 1995

      8 박병기, "인터넷의 교육적 해석" 3 (3): 1998

      9 Turkle,S, "스크린 위의 삶" 민음사 2003

      10 Rifkin,J, "소유의 종말" 민음사 2001

      11 Capra,F, "새로운 과학과 문명의 전환" 범양사출판사 1994

      12 Postman,N, "사라지는 어린이" 분도출판사 1987

      13 Berman,M, "미국문화의 몰락" 황금가지 2002

      14 이진우, "멀티미디어 정보시대의 정신과 육체「21세기 정보화사회와 사회과학」" 1999

      15 강종열 외, "대안적 생산체계와 노사관계" 한울아카데미 2001

      16 김경희, "교육의 현대성과 탈현대성" 한국교육연구소 1995

      17 Postman,N, "교육의 종말" 문예출판사 1999

      18 이영희, "과학기술의 사회학" 한울 2000

      19 Smith,D, "Zygmunt Bauman -Prophet of Postmodernity" Polity Press 1999

      20 Nancy, "What Neil Postman has to say" 1995

      21 Nico Stehr, "The Techno-structures of Society The Culture and Power of Knowledge" ger (ger): 1992

      22 McKee, "The Impact of Internet Virtual Reality on Global Capacity" 1 : 1995-1997

      23 William, "The Idols of Technology The Culture and Power of Knowledge" 1992

      24 William, "The Idols of Technology The Culture and Power of Knowledge" 1992

      25 Lewis, "Technik und Macht" 1977

      26 Murray, "Society, Cyberspace and the Future" 1995

      27 Parsons,T, "Social Structure and Personality" The Free Press 1964

      28 Robert, "Introduction to Critical Thinking"

      29 Bauman,Z, "Intimations of Postmodernity" Routledge 1992

      30 Georges, "Einfhrung in die politische Wissenschaft" 1964

      31 Clark, L. S, "Cybersociety" Sage Publications Inc 2003

      32 Todd,C.R, "Critical Thinking" 2004

      33 Wilbur, "An Archaeology of Cyberspaces" 2002

      34 Nico Stehr, "A Critical View of Modernity The Culture and Power of Knowledge"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3-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3 1.63 1.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8 1.27 1.78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