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하근찬 소설에 나타나는 신체의 표상이 갖는 의미를 밝히고 그 변화 양상을 고찰 것이다. 하근찬 소설의 여러 신체 표상을 전쟁과 불구, 훈육과 노동, 예술과 죽음이라는 세 항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965568
2014
Korean
하근찬 ; 신체 ; 한국 전쟁 ; 불구 ; 훈육 ; 배설 ; Ha ; Geun-chan ; body ; Korean War ; disability ; discipline ; excretion
KCI등재
학술저널
225-246(22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하근찬 소설에 나타나는 신체의 표상이 갖는 의미를 밝히고 그 변화 양상을 고찰 것이다. 하근찬 소설의 여러 신체 표상을 전쟁과 불구, 훈육과 노동, 예술과 죽음이라는 세 항목...
이 논문은 하근찬 소설에 나타나는 신체의 표상이 갖는 의미를 밝히고 그 변화 양상을 고찰 것이다. 하근찬 소설의 여러 신체 표상을 전쟁과 불구, 훈육과 노동, 예술과 죽음이라는 세 항목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첫째, 전쟁과 불구에서는 전쟁으로 인해 절단되고 훼손되어 불구가 된 신체를 다룬 것의 경우, 그 신체는 전통사회로의 회귀에 대한 열망을 표상하고 있었다. 둘째, 훈육과 노동에서는 일제 교육 현장에서 교과 교육보다는 노동과 군사 훈련이 중심이었음을 확인하였다. 학생시절의 신체를 회고하는 소설들은 일제 교육에 고분고분 응하지 않고 저항하려는 태도를 강조함으로써 그에 동조하지 않은 자의 결백과 애국지심을 드러내기 위한 표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셋째 예술과 죽음에서는 하근찬의 후기 소설을 포함해 논하였는데 예술 행위 및 예술가의 경우 옛것에 대한 그리움이나 전통을 지키고자 하는 의지의 표상으로 나타났고 죽음을 다루는 경우 그에 저항하고자 하는 거부감이 역으로 더욱 죽음에 관심을 갖도록 만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기에 의사(擬似) 죽음의 상태를 의미하는 배설의 모티프를 덧붙여 논하였는데 이 또한 죽음의 경우와 같이 금기에 대한 저항의 표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clarify the meaning representation of the body appear to have Ha Geun-chan"s novel. And we consider aspects of the change it. In Ha Geun-chan"s novel, the representation of body were considered separately to three items. It"s the war...
In this paper, we clarify the meaning representation of the body appear to have Ha Geun-chan"s novel. And we consider aspects of the change it. In Ha Geun-chan"s novel, the representation of body were considered separately to three items. It"s the war and disability, labor and discipline, art and death. First, in the case of war and disability appear to Ha Geun-chan"s novel were analyzed body was that representation and eager to return to traditional societies do. Second, labor and discipline, it was confirmed that the military training and labor was the center than in the education curriculum education of Japanese colonial rule. By highlighting an attitude which is not follow the education of Japanese colonial, and to resist, novel looks back body school days, was used as a representation for exposing the Patriotism and his innocence. Third, death and art was including later works of Ha Geun-chan, but in the case of art and artists act, appears as a symbol of the will to protect the tradition and nostalgia of the old days. then when dealin g with death, and resistance to it.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resistance is further increased enough to if you try to resist to the death. In addition analyzed motifs excretion, this was also used as a symbol of the resistance to taboo.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하근찬, "현대한국문학전집 13" 신구문화사 1967
2 천이두, "현대한국문학전집 13" 신구문화사 1967
3 김병익, "한의 세계와 비극의 발견" (봄) : 1972
4 하근찬, "한국현대문학전집 34" 삼성출판사 1981
5 유종호, "한국현대문학전집 34" 삼성출판사 1978
6 하정일, "한국전쟁의 시공간성과 1960년대 소설의 새로움" 40 : 1998
7 이혜령, "한국소설과 골상학적 타자들" 소명 2007
8 최현주, "하근찬의 ‘수난이대’에 드러난 거리의 양상" 1 : 1997
9 장현, "하근찬 소설의 모티프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26) : 457-489, 2008
10 변화영, "하근찬 소설에 나타난 식민교육담론 연구" 현대문학이론학회 (27집) : 169-196, 2006
1 하근찬, "현대한국문학전집 13" 신구문화사 1967
2 천이두, "현대한국문학전집 13" 신구문화사 1967
3 김병익, "한의 세계와 비극의 발견" (봄) : 1972
4 하근찬, "한국현대문학전집 34" 삼성출판사 1981
5 유종호, "한국현대문학전집 34" 삼성출판사 1978
6 하정일, "한국전쟁의 시공간성과 1960년대 소설의 새로움" 40 : 1998
7 이혜령, "한국소설과 골상학적 타자들" 소명 2007
8 최현주, "하근찬의 ‘수난이대’에 드러난 거리의 양상" 1 : 1997
9 장현, "하근찬 소설의 모티프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26) : 457-489, 2008
10 변화영, "하근찬 소설에 나타난 식민교육담론 연구" 현대문학이론학회 (27집) : 169-196, 2006
11 김유순, "하근찬 소설에 나타난 모티프 연구" 창원대 2009
12 송주현, "하근찬 소설 연구 - 1960년대 단편을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68 (68): 1-26, 2013
14 하정일, "하근찬 선집" 현대문학 2011
15 곽민혜, "하근찬 문학에 나타난 상징성 연구 : 『흰 종이수염』, 『수난이대』를 중심으로" 목원대 2013
16 장윤준, "하근찬 문학에 나타나는 서발턴 양상 연구" 원광대 2012
17 서동욱, "차이와 타자" 문학과지성사 2003
18 하근찬, "정통한국문학대계" 어문각 1988
19 황국명, "젊은 느티나무/수난이대 외" 동아출판사 1995
20 린다 노클린, "절단된 신체와 모더니티" 조형교육 2001
21 서승희, "전후 작가의 식민지 기억과 민족주의 ―하근찬 소설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53) : 181-200, 2013
22 이정숙, "전쟁을 기억하는 두 가지 방식 -하근찬의 전쟁서사 연구-" 한국현대소설학회 (42) : 397-436, 2009
23 정희모, "일상과 역사의 만남, 그 서사적 상황의 힘" 3 : 1997
24 피터 브룩스, "육체와 예술" 문학과지성사 2003
25 하근찬, "야호 1-3" 지식산업사 1987
26 류동규, "식민지 학교의 기억과 그 재현 - 하근찬의 경우 -" 우리말글학회 51 : 249-272, 2011
27 오연희, "슬픔을 밀어내는 서사의 힘" 인문과학연구소 41 (41): 73-89, 2012
28 하근찬, "수난이대" 정음사 1972
29 하근찬, "수난이대" 일신서적출판사 1994
30 제라르 즈네뜨, "서사 담론" 교보문고 1992
31 하근찬, "산울림" 한겨레 1988
32 천이두, "산울림" 한겨레 1988
33 유종호, "비극추구의 민요시인" 신구문화사 13 : 1967
34 오창은, "분단 상처와 치유의 상상력- 하근찬 소설을 중심으로 -" 우리말글학회 52 : 375-403, 2011
35 강진호, "민중의 근원적 힘과 ‘유우머’" 수원대 국어국문학회 10 (10): 1996
36 허명숙, "민족 수난사의 환유와 신화적 사고의 표상 - 하근찬 소설을 중심으로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6) : 81-108, 2008
37 브라이언 터너, "몸과 사회" 몸과 마음 2002
38 이미라, "매체의 상이함에 따른 각색 사례 연구 : 소설 <여제자>; 영화 <내 마음의 풍금>; 뮤지컬 <내 마음의 풍금>의 비교를 통해" 한양대 2011
39 한수영, "관전사(貫戰史)의 관점으로 본 한국전쟁 기억의 두 가지 형식 -선우휘의「불꽃」과 하근찬의「수난이대」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113 (113): 431-459, 2011
40 줄리아 크리스케바, "공포의 권력" 동문선 2001
채만식 소설에 나타난 상품세계와 소비주체의 갈등 양상 연구
이창래의 『생존자』에 재현된 전쟁으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와 그 치유
신경숙 소설의 창작방법 연구- 90년대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8 | 0.68 | 0.6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9 | 0.68 | 1.285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