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정상안에서 우세안과 비우세안 사이의 시신경유두주위 빛간섭단층혈관조영 측정치의 대칭성 = Symmetry of Peripapillary-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Parameters between Dominant and Non-dominant Eyes in Normal Ey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189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주시안과 비주시안이 빛간섭단층촬영 및 시신경유두주위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 측정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안과 질환이 없는 성인을 대상으로 촬영...

      목적: 주시안과 비주시안이 빛간섭단층촬영 및 시신경유두주위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 측정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안과 질환이 없는 성인을 대상으로 촬영한 빛간섭단층촬영 및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을 분석하였다. ‘Hole-in-the-card test’를 시행하여 주시안을 확인하였다. 시신경유두주위에 4.5 x 4.5 mm scan을 시행하여 시신경유두주위 관류밀도 및 플럭스 지수를 측정하였으며, 중심황반두께 및 신경절세포층 및 내망상층,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역시 측정하였다. 주시안과 비주시안의 빛간섭단층촬영,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 측정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42명 84안이 포함되었다. 대상군의 평균 나이는 27.3 ± 5.63세였으며, 주시안은 우안 28안(66.7%), 좌안이 14안(33.3%)이었다. 빛간섭단층촬영검사에서 주시안과 비주시안 간의 중심황반두께(260.00 ± 14.16 μm, 258.71 ± 15.18 μm, p=0.183), 신경절세포층 및내망상층 복합체두께(82.02 ± 5.07 μm, 82.43 ± 5.60 μm, p=0.460), 망막신경섬유층 두께(99.36 ± 9.27 μm, 97.90 ± 9.46 μm, p=0.091)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검사의 시신경 주위 표층모세혈관망의 관류 밀도(44.62 ± 5.25%, 45.60 ± 2.27%, p=0.221), 플럭스 지수(0.455 ± 0.020, 0.449 ± 0.028, p=0.060)에서도 통계적인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결론: 빛간섭단층촬영 및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의 측정치는 주시안과 비주시안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따라서 주시안을 확인하는 데 이용할 수 있는 인자로서의 의미는 찾을 수 없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assess whethe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measurements and peripapillary microvascular parameters measured via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OCTA) were similar between the dominant and non-dominant eyes of normal subjec...

      Purpose: To assess whethe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measurements and peripapillary microvascular parameters measured via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OCTA) were similar between the dominant and non-dominant eyes of normal subject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spectral domain OCT and OCTA data on healthy Koreans. The “hole-in-the-card” technique was used to determine ocular dominance. The perfusion density (PD) and flux index (FI) of the peripapillary 4.5 × 4.5-mm area were measured via OCTA. Central macular,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and macular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thicknesses were measured with the aid of spectral-domain OCT. The OCT and OCTA data of dominant and non-dominant eyes were compared. Results: A total of 84 eyes of 42 healthy subjects were analyzed. The average age was 27.3 ± 5.63 years. Twenty-eight subjects (66.7%) were right eye-dominant and 14 (33.3%) left eye-dominant. None of the central macular (260.00 ± 14.16 μm, 258.71 ± 15.18 μm, p = 0.183), macular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82.02 ± 5.07 μm, 82.43 ± 5.60 μm, p = 0.460), or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99.36 ± 9.27 μm, 97.90 ± 9.46 μm, p = 0.091) differed between the eyes; neither did any OCTA-assessed microvascular parameter. Conclusions: No OCT or OCTA parameter differed between dominant and non-dominant eyes. No parameter identified ocular domina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민, "한국인 정상안에서 우세안과 비우세안 사이의 빛간섭단층혈관조영 측정치의 대칭성" 대한안과학회 61 (61): 1057-1064, 2020

      2 송용주, "주시안과 비주시안의 망막신경섬유층, 황반 및 황반신경절세포층 두께 비교" 대한안과학회 55 (55): 1687-1692, 2014

      3 장무환,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시신경유두 형태 비교" 대한안과학회 54 (54): 784-788, 2013

      4 Mapp AP, "What does the dominant eye dominate? A brief and somewhat contentious review" 65 : 310-317, 2003

      5 Fink WH, "The dominant eye : its clinical significance" 19 : 555-582, 1938

      6 Porac C, "The dominant eye" 83 : 880-897, 1976

      7 Robbins CB, "Repeatability of peripapillar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parameters in older adults" 5 : 239-246, 2021

      8 Choi JA, "Ocular dominance is associated with the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thickness profile in the macula" 11 : e0150035-, 2016

      9 Samarawickrama C, "Macular thickness, retinal thickness, and optic disk parameters in dominant compared with nondominant eyes" 13 : 142-147, 2009

      10 Cevher S, "Macular thickness and retinal nerve fiber thickness analysis in ocular dominance" 77 : 316-319, 2018

      1 김경민, "한국인 정상안에서 우세안과 비우세안 사이의 빛간섭단층혈관조영 측정치의 대칭성" 대한안과학회 61 (61): 1057-1064, 2020

      2 송용주, "주시안과 비주시안의 망막신경섬유층, 황반 및 황반신경절세포층 두께 비교" 대한안과학회 55 (55): 1687-1692, 2014

      3 장무환,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시신경유두 형태 비교" 대한안과학회 54 (54): 784-788, 2013

      4 Mapp AP, "What does the dominant eye dominate? A brief and somewhat contentious review" 65 : 310-317, 2003

      5 Fink WH, "The dominant eye : its clinical significance" 19 : 555-582, 1938

      6 Porac C, "The dominant eye" 83 : 880-897, 1976

      7 Robbins CB, "Repeatability of peripapillar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parameters in older adults" 5 : 239-246, 2021

      8 Choi JA, "Ocular dominance is associated with the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thickness profile in the macula" 11 : e0150035-, 2016

      9 Samarawickrama C, "Macular thickness, retinal thickness, and optic disk parameters in dominant compared with nondominant eyes" 13 : 142-147, 2009

      10 Cevher S, "Macular thickness and retinal nerve fiber thickness analysis in ocular dominance" 77 : 316-319, 2018

      11 Davey PG, "Macular pigment optical density : repeatability, intereye correlation, and effect of ocular dominance" 10 : 1671-1678, 2016

      12 Lee SY, "Macular ganglion cell imaging study : interocular symmetry of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thickness in normal healthy eyes" 159 : 315-323, 2015

      13 Pekel G, "Macular asymmetry analysis in sighting ocular dominance" 30 : 531-536, 2014

      14 Touwen BC, "Laterality and dominance" 14 : 747-755, 1972

      15 Liu G, "Interocular symmetry of vascular density and association with central macular thickness of healthy adults b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7 : 16297-, 2017

      16 Zhou M, "Interocular symmetry of macular ganglion cell complex thickness in young chinese subjects" 11 : e0159583-, 2016

      17 Waheed K, "Disease laterality, eye dominance, and visual handicap in patients with unilateral full thickness macular holes" 87 : 626-628, 2003

      18 Jeoung JW, "B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versus unilateral recess-resect procedure for exotropia with a dominant eye" 141 : 683-688,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2 0.22 0.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366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