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용』에 있어서의 성(誠)사상과 천인(天人)관계 연구 = A Study on Cheng(誠) Though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en and Man in Zhongyong(中庸)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중용』에 있어서의 성(誠)사상과 천인(天人)관계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중용』은 원래 『대학』과 함께 유학의 철학적 기반이 풍부하게 담겨져 있는 경전이다. 『중용』은...

      이 논문은 『중용』에 있어서의 성(誠)사상과 천인(天人)관계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중용』은 원래 『대학』과 함께 유학의 철학적 기반이 풍부하게 담겨져 있는 경전이다. 『중용』은 유학의 성(誠)사상을 천인관계의 입장에서 그 위상을 보다 철학적으로 확립시켜 놓았다. 『중용』은 33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전반부에서는 주로 중화(中和) 또는 중용사상을 말하고, 후반부에서는 성(誠)사상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중용』에 있어서 ‘성(誠)’은 진실무망(眞實無妄)하여 천리(天理)의 본연으로 천도(天道)이며, 만물의 존재의미를 끊임없이 완성해가는 우주적 원리이다. 천도인 성(誠)으로부터 밝아진 것이 성(性)이므로, 인간에게 내재된 성(性) 역시 성(誠)을 본질로 하고 있다. 즉 이 인간 본유의 천부적인 덕성으로서의 성(性)은 하늘로부터 부여 받은 천리의 본연인 성(誠)의 특성을 지니게 된다. 따라서 성(誠)은 인간존재의 본질이자 우주 만물의 존재 원리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誠)은 천리의 본연으로 하늘과 사람이 조화할 수 있는 천인합일의 원리가 되는 것이다.
      인간이 천인합일의 원리인 성(誠)을 인식하는 길은 ‘성으로 말미암아 밝아짐으로 나아가는 것〔자성명(自誠明)〕’과 ‘명으로 말미암아 성실해짐으로 나아가는 것〔자명성(自明誠)〕’이다. 전자는 스스로 완성하고 실행하는 성인(聖人)의 수양 공부라 할 수 있고, 후자는 배우고 노력하는 군자(君子)의 수양 공부라 할 수 있다.
      군자가 성(誠)을 체득하는 ‘성지(誠之)’의 주체적인 수양 공부는 ‘택선(擇善)’과 ‘고집(固執)’의 두 과정이 된다. ‘택선’은 모든 이치를 분별하고 분석해서 이른바 착함을 찾는 것이므로, 앎을 지극히 하는〔치지(致知)〕 공부이며, ‘고집’은 선을 택하여 그 도덕적 본성의 선함을 굳건히 지켜 실천하는 것이므로, 힘써 실행하는〔역행(力行)〕 공부이다. ‘택선’은 ‘지(知)’의 일이고 ‘고집’은 ‘행(行)’의 일이므로, ‘택선’의 결과는 ‘고집’에 있고, ‘고집’의 근거는 ‘택선’에 기인한다. 따라서 ‘택선’으로 드러나는 ‘명선(明善)’의 결과는 ‘고집’으로 나타나는 ‘성신(誠身)’에 있으며, ‘성신’의 근거는 ‘명선’에 있다. 결국 ‘택선’과 ‘고집’의 일은 둘이 아니고, 또한 ‘명선’과 ‘성신’의 일도 하나의 차원인 것이다. 따라서 ‘고집’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택선’을 알아야 하고, ‘성신’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또한 ‘명선’을 깨달아야 한다.
      또한 ‘박학(博學)·심문(審問)·신사(愼思)·명변(明辨)’은 ‘택선’으로서 선을 깨닫는 앎〔지(知)〕의 영역이 되며, ‘독행(篤行)’은 ‘고집’으로서 인(仁)을 실천하는 행위〔행(行)〕의 영역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행일치의 ‘성지’의 수양 공부를 통하여 도덕적 인간상인 군자로서 인간 완성의 길로 나아가게 된다.
      인간이 부단한 ‘성(誠)’의 주체적 체득을 통하여 인간의 ‘지(知)·인(仁)·용(勇)’의 도덕성을 얻게 되고, 그것으로 또한 사람이 지켜야 할 떳떳한 인륜(人倫)으로서 인간의 사회관계에서의 행위 질서인 오륜(五倫)이 행해지며, 나아가서는 ‘구경(九經)’에 이르기까지 사회 완성이 실현되는 것이다.
      천하에 지극한 ‘성(誠)’이야말로 본성을 다할 수 있고, 사람의 본성을 다할 수 있으며, 사물의 본성을 다할 수 있다〔진기성(盡其性), 진인성(盡人性), 진물성(盡物性)〕고 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아가 천지의 화육을 돕고, 천지와 더불어 참여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천지와 인간이 조화를 이루는 천인합일의 구경적인 이상이 되는 것이다.
      『중용』에 나타난 성사상과 천인관계는 오늘날 인류가 겪고 있는 자연과 인간의 화해(和諧)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의미 있는 메시지라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the study on Cheng(誠) though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en and Man in Zhongyong. Zhongyong was originally called Daehak(大學) and is a sacred book that contain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Confucianism. Zhongyong philoso...

      This thesis is the study on Cheng(誠) though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en and Man in Zhongyong.
      Zhongyong was originally called Daehak(大學) and is a sacred book that contain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Confucianism. Zhongyong philosophically established Cheng thought in Daehak from the Confucianist pos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en and Man. Zhongyong consists of 33 chapters, while the former part mainly focuses on explaining Zhongyong(中庸) or Chinese philosophy, the last part explains Cheng thought. ‘Cheng’ in Zhongyong represents the original nature of the Heavenly Way’(天理之本然) in the form of ‘true realty and freedom mala fide’(眞實無妄) and also a cosmic principle, constantly aimed at perfecting the beauty of all beings in nature. Seong(性) comes from the original nature of the Heavenly: the Cheng. Seong, which is inherent to human beings, has the Cheng as its own essence. In this sense, the Cheng becomes the principle of the unity of Heaven and Man(天人合一) that the Heaven and Man create or form.
      The great man’s way of training ‘Chengji’(誠之) to learn Cheng refers to two processes, which are ‘choosing what is good’(擇善, i.e., knowing) and ‘holding on to it’(固執, i.e., action ). ‘Choosing what is good’ is to search for what is good by distinguishing and analyzing all kinds of principles. So it is a form of learning aimed at attaining knowledge or understanding wisdom. And ‘Holding on to it’ is a process of cultivation by practicing hard what we know. It is the process in which a person chooses some notions of what is good, firmly holds on to its moral essence, and strives to practice and realize what is good in his or her life.
      From this process of learning ‘Chengji’(誠之), a person who is a great man can fully foster human virtue and character(人間像) and can march towards the path leading to a better community. Thus, this is a significant ideal for ‘unity of Heaven and Man’(天人合一) that harmonizes between Heavens and Earth, and huma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중용장구"

      2 김태영, "중용에서의 성사상" 9 : 1990

      3 "중용"

      4 樓字㤠, "중국의 품격" (주)에버리치홀딩스 2011

      5 윤사순, "유학의 이상인 ‘성기성물’의 현대적 가치" 한국유교학회 (26) : 5-18, 2006

      6 성균관대학교 유학과 교재편찬위원회, "유학원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4

      7 "원본비지중용집주"

      8 杜維明, "뚜웨이밍의 유학 강의" 청계출판사 1999

      9 김충열, "논쟁으로 보는 중국철학" 예문서원 1996

      10 민황기, "남당 한원진의 『중용』관과 인성론적 근거" 유학연구소 31 : 245-276, 2014

      1 "중용장구"

      2 김태영, "중용에서의 성사상" 9 : 1990

      3 "중용"

      4 樓字㤠, "중국의 품격" (주)에버리치홀딩스 2011

      5 윤사순, "유학의 이상인 ‘성기성물’의 현대적 가치" 한국유교학회 (26) : 5-18, 2006

      6 성균관대학교 유학과 교재편찬위원회, "유학원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4

      7 "원본비지중용집주"

      8 杜維明, "뚜웨이밍의 유학 강의" 청계출판사 1999

      9 김충열, "논쟁으로 보는 중국철학" 예문서원 1996

      10 민황기, "남당 한원진의 『중용』관과 인성론적 근거" 유학연구소 31 : 245-276, 2014

      11 박현숙, "誠과 中을 통해 본 『중용』의 천인합일 사상 : 주희의 『중용장구』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1

      12 黃少甫, "學庸論文集" 黎明文化事業股份有限公司 1981

      13 "孟子"

      14 閔晃基, "先秦儒學에 있어서의 「中」思想에 관한 연구" 忠南大學校 大學院 1992

      15 이호형, "中庸을 중심한 誠의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59

      16 민황기, "中庸에 나타난 世界觀과 人間理解" 대한철학회 85 : 187-206, 2003

      17 林麗眞, "中庸論文資料彙編" 復文圖書出版社 1981

      18 鄭琳, "中庸翼" 文史哲出版社印行 1982

      19 高柏園, "中庸形上思想" 東大圖書股份公司 1988

      20 김병환, "中庸以前의 誠 개념 연구" 한국중국학회 (54) : 451-466, 2006

      21 牟宗三, "中國哲學的特質" 臺灣學生書局 1963

      22 정태연, "『중용』의 인도사상 연구-『중용장구』의 성리학적 해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5

      23 황종환, "『중용』의 성사상에 관한 역철학적 고찰"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0

      24 변종림, "『중용』의 誠사상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25 장열, "『중용』의 誠사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4

      26 이정복, "『중용』의 ‘誠’과 ‘原’과 ‘生’의 문제-주렴계의 태극도설과 통서를 중심으로-" 한중철학회 5 : 1999

      27 최한이, "『중용』의 '성'개념을 통해 본 인간관"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8 李永馥, "『中庸』誠의 哲學的 연구" 成均館大學校 儒學大學院 1990

      29 이장희, "<중용>의 誠 개념 — 로저 에임즈의 이해를 중심으로 —" 온지학회 (42) : 405-426,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3 0.736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