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SCIE

      혈액투석으로 치유된 대사성산증을 보인 에틸렌 글리콜 중독 1예 = A Case of Ethylene Glycol Poisoning with Metabolic Acidosis Treated with Hemodi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468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present a case of ethylene glycol poisoning with high anion gap metabolic acidosis. A 71 year- old female patient was transferred to our hospital after ingesting 450 mL of anti-freeze. At arrival she showed high anion gap metabolic acidosis with pH 7.035, PaCO2 7.2 mmHg, PaO2 117.5 mmHg, HCO3- 1.9 mmol/L and anion gap 32 mmol/L. Calcium oxalate crystals were identified on urine microscopy. Bicarbonate treatment did not improve her metabolic acidosis, and oliguric acute renal failure was developed. So she was treated with hemodialysis. After the hemodialysis treatment her metabolic acidosis was corrected and her renal function was improved. She was discharged on the 22nd day. (Korean J Nephrol 2005;24(6):1039-1043)
      번역하기

      We present a case of ethylene glycol poisoning with high anion gap metabolic acidosis. A 71 year- old female patient was transferred to our hospital after ingesting 450 mL of anti-freeze. At arrival she showed high anion gap metabolic acidosis with pH...

      We present a case of ethylene glycol poisoning with high anion gap metabolic acidosis. A 71 year- old female patient was transferred to our hospital after ingesting 450 mL of anti-freeze. At arrival she showed high anion gap metabolic acidosis with pH 7.035, PaCO2 7.2 mmHg, PaO2 117.5 mmHg, HCO3- 1.9 mmol/L and anion gap 32 mmol/L. Calcium oxalate crystals were identified on urine microscopy. Bicarbonate treatment did not improve her metabolic acidosis, and oliguric acute renal failure was developed. So she was treated with hemodialysis. After the hemodialysis treatment her metabolic acidosis was corrected and her renal function was improved. She was discharged on the 22nd day. (Korean J Nephrol 2005;24(6):1039-1043)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부동액으로 흔히 사용되는 에틸렌 글리콜은 무색, 무취, 수용성으로 단맛이 나고 구강 점막에 대한 자극감이 거의 없어 외국에서는 “Sweet Killer”라고 불리기도 한다1). 에틸렌 글리콜 그 자체는 낮은 독성을 나타내지만 대사물질인 글리콜산 (glycolic acid)과 옥살산 (oxalic acid) 그리고 다른 유기산에 의해 독성이 발생한다2). 이 대사물은 경련과 혼수를 포함하는 심한 중추신경계 독성과 큰 음이온차를 가진 대사성산증, 그리고 심폐부전 및 급성 신부전으로 인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를 요한다. 이에 저자들은 치매가 있었던 71세 여자 환자에서 부동액 섭취 후 발생한 심한 대사성산증 및 급성 신부전이 합병된 에틸렌 글리콜 중독환자를 혈액투석으로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부동액으로 흔히 사용되는 에틸렌 글리콜은 무색, 무취, 수용성으로 단맛이 나고 구강 점막에 대한 자극감이 거의 없어 외국에서는 “Sweet Killer”라고 불리기도 한다1). 에틸렌 글리콜 그 자...

      부동액으로 흔히 사용되는 에틸렌 글리콜은 무색, 무취, 수용성으로 단맛이 나고 구강 점막에 대한 자극감이 거의 없어 외국에서는 “Sweet Killer”라고 불리기도 한다1). 에틸렌 글리콜 그 자체는 낮은 독성을 나타내지만 대사물질인 글리콜산 (glycolic acid)과 옥살산 (oxalic acid) 그리고 다른 유기산에 의해 독성이 발생한다2). 이 대사물은 경련과 혼수를 포함하는 심한 중추신경계 독성과 큰 음이온차를 가진 대사성산증, 그리고 심폐부전 및 급성 신부전으로 인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를 요한다. 이에 저자들은 치매가 있었던 71세 여자 환자에서 부동액 섭취 후 발생한 심한 대사성산증 및 급성 신부전이 합병된 에틸렌 글리콜 중독환자를 혈액투석으로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의식저하로 내원 한 에틸렌 글리콜 중독환자 1예" 2 : 129-132, 2004

      2 "부동액 섭취후 급성 신부전 및 후기 신경병증이 발생한 1예" 61 : 64-70, 2001

      3 "급성신부전이 합병된 에틸렌 글라이콜 중독의 성공적인 치험 1예" 8 : 611-616, 1997

      4 "in clinical management of poisoning and drug overdose edited by Haddad LM" Winchester JF Winchester JF Philadelphia WB Saunders Company -699, 1990

      5 "Urinalysis and body fluids" Mosby 152-154, 1995

      6 "Treatment of ethylene glycol poisoning" 6 : 807-812, 2002

      7 "Recurrent severe anion gap metabolic acidosis secondary to episodic ethylene glycol intoxication" 60 : 205-210, 2003

      8 "New treatment for ethylene glycol poisoning" 340 : 879-881, 1999

      9 "Fomepizole for the treatment of ethylene glycol poisoning" 340 : 832-838, 1999

      10 "Extracoporeal techniques in the treatment of exogenous intoxications" 33 : 735-754, 1988

      1 "의식저하로 내원 한 에틸렌 글리콜 중독환자 1예" 2 : 129-132, 2004

      2 "부동액 섭취후 급성 신부전 및 후기 신경병증이 발생한 1예" 61 : 64-70, 2001

      3 "급성신부전이 합병된 에틸렌 글라이콜 중독의 성공적인 치험 1예" 8 : 611-616, 1997

      4 "in clinical management of poisoning and drug overdose edited by Haddad LM" Winchester JF Winchester JF Philadelphia WB Saunders Company -699, 1990

      5 "Urinalysis and body fluids" Mosby 152-154, 1995

      6 "Treatment of ethylene glycol poisoning" 6 : 807-812, 2002

      7 "Recurrent severe anion gap metabolic acidosis secondary to episodic ethylene glycol intoxication" 60 : 205-210, 2003

      8 "New treatment for ethylene glycol poisoning" 340 : 879-881, 1999

      9 "Fomepizole for the treatment of ethylene glycol poisoning" 340 : 832-838, 1999

      10 "Extracoporeal techniques in the treatment of exogenous intoxications" 33 : 735-754, 1988

      11 "Ethylene glycol 음독 후 발생한 급성 신부전증 1예" 15 : 110-115, 1996

      12 "Ethylene glycol toxicity" 169 : 660-663, 2004

      13 "Ethylene glycol poisoning:Case report of a record high level and a review" 15 : 653-667, 1997

      14 "Ethylene glycol poisoning" 37 : 332-338, 1982

      15 "Current management of ethylene glycol poisoning" 61 : 979-988, 2001

      16 "Clinical toxicologic implications of ethylene glycol and glycolic acid poisoning" 24 : 232-238, 2002

      17 "American Academy of Clinical Toxicology Practice Guidelines on the Treatment of Ethylene Glycol Toxicity" 37 : 537-560, 1999

      18 "2001 annual report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Poison Control Centers:Toxic Exposure Surveillance System" 20 : 391-452, 2002

      19 "2000 annual report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Poison Control Centers:Toxic Exposure Surveillance System" 19 : 337-395,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1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외국어명 : 미등록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2-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KCI등재
      2007-02-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4 0.1 0.42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