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5 · 18 희곡에 나타난 환상 연구 -<오월의 신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antasy in 5 · 18 Play - Based on < The May Bride >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680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황지우 희곡, <오월의 신부>에 나타난 환상(fantasy or illusion)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캐스린 흄(Kathryn Hume)의 이론을 원용해 이 연극에서 환상이 환영(illusion)과 탈환...

      본고는 황지우 희곡, <오월의 신부>에 나타난 환상(fantasy or illusion)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캐스린 흄(Kathryn Hume)의 이론을 원용해 이 연극에서 환상이 환영(illusion)과 탈환영(disillusion)으로 사용되는 양상을 고찰할 것이다. 흄은 환상이 문학에서 사용되는 양상을 환영, 성찰(vision), 교정(revision), 탈환영의 네 가지로 세분화했는데 <오월의 신부>에서는 이중 환영과 탈환영이 두드러진다. 이 연극에서는 제례 의식을 통해 현실을 부정하는 환상이 드러나는데 이것은 흄의 사유로 보면 긍정적 환상으로 재해석된다. 이 연극에서 드러나는 현실 도피적 환상도 현실을 기피해 이상 세계로 옮겨가려는 시도가 아니라 현실의 모순이 치유된 세계를 만들자는, 적극적인 저항 의지를 드러내는 환상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이런 연구 목적에 따라 1장에서 츠베탕 토도로프, 캐스린 흄, 미셸 푸코를 중심으로 환상에 대한 기존의 연구사를 검토했고, 2장. 3장에서는 <오월의 신부> 희곡을 대상으로 환상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사용되는가를 고찰했다. 이 결과 이 연극에서는 흄이 정의한 현실 도피적 환상이 환영의 양상으로, 현실 부정적 환상은 탈환영의 양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런 방법으로 다른 작품을 분석해 보면 문학 텍스트에서 환상이 흄의 또 다른 개념인 성찰과 교정으로 나타나는 양상도 밝힐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문학 텍스트에서 환상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기능하는가를 알려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aspects of fantasy or illusion in Hwang Ji-woo’s play, < The May Bride >. To this end, Kathryn Hume's theory was used as a illusion and a disillusion in this play. Hume divided the aspects of fantasy used in lite...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aspects of fantasy or illusion in Hwang Ji-woo’s play, < The May Bride >. To this end, Kathryn Hume's theory was used as a illusion and a disillusion in this play. Hume divided the aspects of fantasy used in literature into four categories: illusion, vision, revision, and disillusion. Among those in < The May Bride >, illusion and disillusion stand out. In this play, the ritual reveals a fantasy of denying reality,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positive fantasy by Hume's reasons. The escapist fantasy revealed in the play is not an attempt to escape reality and move to an ideal world, but rather a fantasy that reveals the willingness to actively resist the reality to create a world where the contradiction of reality is cured.
      To this end, Chapter I reviewed the existing research on fantasy, focusing on Tsvetang Todorov and Hume. Then Chapter II and Chapter III examined how fantasy was specifically used for plays in < The May Bride >. As a result, the play showed that the escapist fantasy defined by Hume was a form of illusion and the negative fantasy of reality was a pattern of disillusion. By this method analyzing other works may reveal how fantasies in literary texts appear in Hume's other concepts of vision and revi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tells us how fantasy functions specifically in literary tex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란, "희곡과 연극의 담론" 연극과 인간 2003

      2 츠베탕 토도로프, "환상문학 서설" 일월서각 2013

      3 캐스린 흄, "환상과 미메시스" 푸른나무 2000

      4 엄경희,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의 장소성에 대한 시학적(詩學的) 탐구" 국어국문학회 (186) : 399-440, 2019

      5 미셸 푸코, "헤테로토피아" 문학과 지성사 2014

      6 양진영, "한강「채식주의자」에 구현된 헤테로토피아 공간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4 (24): 81-102, 2020

      7 박기순,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 - 문학적 기원에 기초한 미학적 해석" 한국미학회 83 (83): 105-141, 2017

      8 한희정,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헤테로토피아 적용에 대한 동향과 가능성: 여성주의적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32 (32): 267-304, 2017

      9 김분선, "자기 배려 주체의 공간, 헤테로토피아" 한국근대철학회 10 : 2017

      10 김영학, "오월희곡에 나타난 몸— <금희의 오월> <일어서는 사람들> <오월의 신부> <푸르른 날에>를 중심으로" 한국드라마학회 (44) : 129-156, 2014

      1 이상란, "희곡과 연극의 담론" 연극과 인간 2003

      2 츠베탕 토도로프, "환상문학 서설" 일월서각 2013

      3 캐스린 흄, "환상과 미메시스" 푸른나무 2000

      4 엄경희,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의 장소성에 대한 시학적(詩學的) 탐구" 국어국문학회 (186) : 399-440, 2019

      5 미셸 푸코, "헤테로토피아" 문학과 지성사 2014

      6 양진영, "한강「채식주의자」에 구현된 헤테로토피아 공간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4 (24): 81-102, 2020

      7 박기순,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 - 문학적 기원에 기초한 미학적 해석" 한국미학회 83 (83): 105-141, 2017

      8 한희정,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헤테로토피아 적용에 대한 동향과 가능성: 여성주의적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32 (32): 267-304, 2017

      9 김분선, "자기 배려 주체의 공간, 헤테로토피아" 한국근대철학회 10 : 2017

      10 김영학, "오월희곡에 나타난 몸— <금희의 오월> <일어서는 사람들> <오월의 신부> <푸르른 날에>를 중심으로" 한국드라마학회 (44) : 129-156, 2014

      11 아르코예술기록원, "오월의 신부VHS" 아르코예술기록원 2001

      12 황지우, "오월의 신부" 문학과 지성사 2000

      13 정과리, "오월의 신부" 문학과지성사 2000

      14 최정운, "오월의 사회과학" 오월의 봄 2012

      15 김길수, "오월극, 고백의 침잠미학, 보고의 성찰미학" 한국연극평론가협회 21 : 2000

      16 김지연, "오월 기억의 연극적 재현과 각색 ― 오월극 <애꾸눈 광대>를 중심으로 ―" 호남학연구원 (65) : 27-58, 2019

      17 우찬제, "애도의 심연" 문학과지성사 2018

      18 서강목, "시인이 희곡을 쓴 사유" 실천문학사 2 : 2004

      19 서강목, "시인이 희곡을 쓴 사연-황지우론" 실천문학사 2004

      20 허경, "미셸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 초기 공간 개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 도시인문학연구소 3 (3): 233-267, 2011

      21 정익순, "문학적 유토피아와 철학적 상상력" 한국비교문학회 (55) : 165-185, 2011

      22 미셸 푸코, "말과 사물" 민음사 2012

      23 이상란, "극단 연우무대 <오월의 신부>: 역사의 꽃, 오월의 신부" 한국연극협회 288 : 2000

      24 Davis, T, "Third Spaces or Heterotopias? Recreating and Negotiating Migrant Identity Using Online Spaces" 44 (44): 2010

      25 Tzvetan Todorov, "The Fantastic-A Structural Approach to a Literary Genre" Cornell University Press 1975

      26 Racière, Jacques, "The Aesthetic Heterotopia" 54 : 2010

      27 Hume, Kathryn, "Fantasy and mimesis: responses to reality in Western literature" Routledge 2015

      28 5월문학총서간행위원회, "5월문학총서3 ․희곡" 5 ․ 18기념재단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3 0.96 1.43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