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한국의 교단들이 복음적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대답을 추적한다. 이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서는 일단의 평가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었다. 여기에 적절한 것이 선교적 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82448
2014
-
230
KCI등재
학술저널
205-236(3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한국의 교단들이 복음적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대답을 추적한다. 이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서는 일단의 평가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었다. 여기에 적절한 것이 선교적 교...
이 글은 '한국의 교단들이 복음적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대답을 추적한다. 이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서는 일단의 평가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었다. 여기에 적절한 것이 선교적 교회론의 관점에서 교단주의 혹은 교단들에 대한 평가들이었다. 그래서 먼저 2장에서 밴 겔더의 연구 성과물을 중심으로 북미 교단들의 현실과 나아가야 할 방향을 살펴보았다. 북미교단들의 평가가 중요한 것은 한국의 교단들 대부분이 북미로부터 수입되었고, 그 성쇠 패턴이 유사하기 때문이다. 그 평가들에 따르면 북미교단들은 역사적으로 시대적인 상황 속에서 변화, 발전되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그리고 현재 각 교단들은 철저히 성서적인 기반 위에 성립되어야 하고, 역사적으로 상황을 중시해야 하며, 사회적으로 다양한 계층들이 복합적으로 모이는 공동체가 되어야 하고, 조직적으로는 통전적인 선교적 교단으로 발전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때 선교적 교단은 교회를 해체하자는 운동이 아니다.
3장에서 우리는 앞서 추출된 기준과 방향성을 잣대로 삼아 한국교단을 평가해 보았다. 그 결과 한국 교단들의 통제시스템, 미래예측, 선교자원 활용이 상당히 부족함을 지적하였다.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 성경적인 선교적 교단들을 추구해야 하고, 여전히 각 교단들의 상호예의가 필요하며, 사회변화에 따른 다양한 선교대상들을 접근해야 하고, 각 교단들의 선교적 연계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특히 사회적 영향력을 상실하여 교단들의 교세가 감소되는 위기적 상황에서 복음 속에서 그 극복의 단서를 찾고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는 교단의 모습과 선교적 리더십을 가진 목회자, 선교적 교회 마인드로 무장된 교인들이 많이 양육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시스템이 갖추어져야 할 것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tries to provide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 Korean Church is missional. This quest needs a tool for the evaluation. This paper believes that the evaluation of denomin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missional ecclesiology is app...
This paper tries to provide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 Korean Church is missional. This quest needs a tool for the evaluation. This paper believes that the evaluation of denomin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missional ecclesiology is appropriate. Therefore, the chapter two examined the North American churches based on Craig Van Gelder research. The evaluation of the North American church is crucial because most of Korean churches have their roots in the North American churches, and their rise and falls are quite similar to them. The research tells that the North American churches have developed and changed in accordance to their contemporary situations. It also tells that each denomination should have its basis on the Bible, be sensitive to its contemporary situations, be a community that is formed with various social classes, and grow to be a holistic missional denomination. Being a missional denomination, however, does not mean to disorganize church.
In chapter three, we examined the Korean church on the basis of the standard previously mentioned, and we pointed out that the Korean church has a problem with the control system, predicting the future, and the use of mission resources. Therefore, this chapter made a few suggestion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hurch should be biblical mission oriented church; each denomination should respect each other; various approach to the mission targets in accordance to the social change should be made; and each denomination should be missional networked. It especially suggested that a system to produce many pastors with missional leadership and mission minded lay persons. It also suggested that the church should try to find ways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contemporary churches that have lost their social influence and accordingly encounter the minus growth.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수, "해외선교 정책과 현황" 생명나무, 2011
2 한국일, "한국적 상황에서 본 선교적 교회: 지역교회를 중심으로" 선교와신학 (30) : 75 ~ 115, 2012
3 이후천, "한국적 상황에서 “선교적 교회(missional church)”가 갖는 의미 연구" 선교신학 21 (21) : 81 ~ 107, 2009
4 이후천, "한국에서 선교적 교회의 사례와 그 기준지표에 대한 고찰" 선교신학 34 (34) : 141 ~ 165, 2013
5 이후천, "한국에서 선교적 교회론의 접근방법들에 대한 선교학적 성찰" 선교와신학 (30) : 49 ~ 74, 2012
6 한국기독교사연구회, "한국기독교의 역사 I" 기독교문사, 1989
7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 "한국기독교분석리포트. 2013 한국인의 종교생활과의식조사 보고서" 도서출판 URD, 2013
8 최형근, "한국교회를 위한 선교적 교회론" 한국선교 KMQ 3 : 26 ~ 41, 2003
9 홍영기, "한국 초대형 교회와 카리스마 리더십" 교회성장연구소, 2002
10 교회성장연구소, "한국 교회 경쟁력 보고서" 교회성장연구소, 2006
1 김은수, "해외선교 정책과 현황" 생명나무, 2011
2 한국일, "한국적 상황에서 본 선교적 교회: 지역교회를 중심으로" 선교와신학 (30) : 75 ~ 115, 2012
3 이후천, "한국적 상황에서 “선교적 교회(missional church)”가 갖는 의미 연구" 선교신학 21 (21) : 81 ~ 107, 2009
4 이후천, "한국에서 선교적 교회의 사례와 그 기준지표에 대한 고찰" 선교신학 34 (34) : 141 ~ 165, 2013
5 이후천, "한국에서 선교적 교회론의 접근방법들에 대한 선교학적 성찰" 선교와신학 (30) : 49 ~ 74, 2012
6 한국기독교사연구회, "한국기독교의 역사 I" 기독교문사, 1989
7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 "한국기독교분석리포트. 2013 한국인의 종교생활과의식조사 보고서" 도서출판 URD, 2013
8 최형근, "한국교회를 위한 선교적 교회론" 한국선교 KMQ 3 : 26 ~ 41, 2003
9 홍영기, "한국 초대형 교회와 카리스마 리더십" 교회성장연구소, 2002
10 교회성장연구소, "한국 교회 경쟁력 보고서" 교회성장연구소, 2006
11 한국일, "하나님 나라를 위한 성도의 은사 및사역 개발" 한국교회 성인 양육. 제13회 소망신학포럼, 2013
12 류대영, "초기 미국선교사 연구(1884-1910) - 선교사들의 중산층적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1
13 이길표, "전통적 교회에서 선교적 교회로‒북미 한인 디아스포라 교회를 위한 전환과정 연구" 선교신학 28 (28) : 149 ~ 176, 2011
14 도날드 E. 밀러, "왜 그들의 교회는 성장하는가? 새 천년의 교회 패러다임" kmc, 2008
15 이종명, "송악교회와 송악지역의 마을 만들기: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선교사업" 선교와신학 (30) : 147 ~ 160, 2012
16 조주희, "성암교회의 사회봉사 프로그램: 동네교회" 선교와신학 (30) : 161 ~ 196, 2012
17 박영환, "선교정책과 전략 : 한국 교회 교단별" 바울, 2006
18 최형근, "선교적 교회론의 실천에 관한 연구" 선교신학 26 (26) : 241 ~ 271, 2011
19 최동규, "선교적 교회개척의 의미와 신학적 근거" 선교신학 28 (28) : 263 ~ 290, 2011
20 대럴 구더, "선교적 교회: 북미 교회의 파송을 위한 비전" 주안대학원대학교출판부, 2013
21 리 로우즈, "선교적 교회 만들기. 성공적인 교회 변혁을 위한 지침서" 한국교회선교연구소, 2013
22 폴 히버트, "선교와 문화인류학" 죠이선교회, 1996
23 한국일, "선교 패러다임의 비교연구―교회의 선교와 선교회의 선교" 선교신학 33 (33) : 231 ~ 266, 2013
24 정승현, "서구에서 선교적 교회론의 태동 및 발전" 선교와신학 (30) : 13 ~ 48, 2012
25 알랭 바디유, "사도 바울 - ‘제국’에 맞서는 보편주의 윤리를 찾아서" 새물결, 2008
26 로드니 스타크, "미국 종교 시장에서의 승자와 패자 1776-2005" 서로사랑, 2009
27 최형근, "레슬리 뉴비긴의 선교적 교회론(Missional Ecclesiology of Lesslie Newbigin)" 신학과 선교 31 : 369 ~ 389, 2005
28 에른스트 트릴취, "기독교 사회윤리" 한국신학연구소, 2003
29 알리스터 맥그라스, "그들은 어떻게 이단이 되었는가" 포이에마, 2011
30 리챠드 니버, "교회 분열의 사회적 배경" 종로서적, 1983
31 Kelly, Dean M, "Why Conservative Churches are Growing" Harper & Row, 1972
32 Van Gelder, Craig, "The Missional Church in Context: Helping Congregations Develop Contextual Ministry" William B. Eerdmans, 2007
33 Van Gelder, Craig, "The Missional Church and Denominations : Helping Congregations Develop a Missional Identity" Eerdmans, 2008
34 Mullen, Robert B, "Reimagining Denomination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35 Guder, Darrell L, "Missional Church : A Vision for the Sending of the Church in North America" William B. Eerdmans, 1998
36 최동규, "GOCN의 선교적 교회론과 교회성장학적 평가" 선교신학 25 (25) : 233 ~ 263, 2010
37 Boshart, David W, "Becoming Missional : Denominations and New Church Development in Complex Social Context" Wipf & Stock, 2011
38 최윤식, "2020 2040 한국교회 미래지도" 생명의 말씀사,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