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에서의 스포츠법 비교연구의 과제 = Agenda for the Comparative Studies of  Sports Law in Kore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sports is up and coming, the different aspects of sports law are focusing. Korea, China and Japan are giving more attention to this ever increasing phenomenon. As a result, these countries are recognizing, discussing and coping with the inevitably arising dissonances that are and will continue to occur as the field of sports law makes its way into the Korean scene.
      The development of new legal system in Asia based on traditional Asian norms is necessary especially when the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are accelerating. The Asian Sports Law should be studied by various groups cooperating in order to establish laws based on Asian identity that harmonizes with world's Sports Law.
      The interchange of sports has been acknowledged as an effective means of exchange regardless the differences between politics, language, and religion among the world. The 2002 Korea Japan World cup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sport; the games influenced the both countries’ sports industry, laws and policies. The enormous cooperation and promotion of mutual understandings among Asian nations during the Asian Games also demonstrate the influence of sports.
      Now that there is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these events, it is essential that we begin to develop a more concrete legal framework for how they should be managed. To advance from this grassroots level of understanding in the area of sport law in Korea, it is vital that we take a look at various legal systems that have more sports laws in place and analyze them to see what aspects of those systems might be suitable or adaptable to our own needs.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show you necessities and directions for the comparative studies of sports law. First, regarding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y do we need comparative studies of sports law?” I have demonstrated the reasons: interchange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sports; the study of the legal system; settlement of the Asian law and legal system and unification and harmony in Asian sports law. Second, I would like to explain the situation of the comparative studies for sports law in Korea. Third, I have examined, “What is the agenda for comparison of sports law?
      I would expect a lot of achievement from activations of an Asian Sports Law Association formed at this time. Lastly, I suggest founding a research and education institute to study Asian sports law and to cultivate specialists of it. I recommend establishing a college or research institute by national policy. But the first consideration is a support system for funding and human resources. In addition, an Asian sport law information center are required. We should prepare for not only a “united Asia” or an “Asian economic social community” but also private and governmental organizations for interchange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sports.
      As we stand at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in the flow of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western” law invades into Asia. Asia needs in particular new Asian law based on traditional Asian religion, ethics and morals. Asian sports law should be enacted in the direction of unification and harmonization all over the world based on Asia’s autonomy and by academic, regional and national links and cooperation.
      It is required for the Asian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Asian law through introspection and rediscovery of Asia in the world. Despite the pluralistic circumstances in Asia, it seems to be easy to create comparatively consistent norms in sports field. It is because sports, the subject of sports law, have been formed as a part of general and universal culture of human being. Most of Autonomic Sports Law is world widely consistent; Fundamental Rights of Sports consists of the right of pursuit of happiness which is one of the fundamental rights of human. It is necessary to broaden interchange and cooperation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
      번역하기

      As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sports is up and coming, the different aspects of sports law are focusing. Korea, China and Japan are giving more attention to this ever increasing phenomenon. As a result, these countries are recognizing, discussing an...

      As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sports is up and coming, the different aspects of sports law are focusing. Korea, China and Japan are giving more attention to this ever increasing phenomenon. As a result, these countries are recognizing, discussing and coping with the inevitably arising dissonances that are and will continue to occur as the field of sports law makes its way into the Korean scene.
      The development of new legal system in Asia based on traditional Asian norms is necessary especially when the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are accelerating. The Asian Sports Law should be studied by various groups cooperating in order to establish laws based on Asian identity that harmonizes with world's Sports Law.
      The interchange of sports has been acknowledged as an effective means of exchange regardless the differences between politics, language, and religion among the world. The 2002 Korea Japan World cup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sport; the games influenced the both countries’ sports industry, laws and policies. The enormous cooperation and promotion of mutual understandings among Asian nations during the Asian Games also demonstrate the influence of sports.
      Now that there is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these events, it is essential that we begin to develop a more concrete legal framework for how they should be managed. To advance from this grassroots level of understanding in the area of sport law in Korea, it is vital that we take a look at various legal systems that have more sports laws in place and analyze them to see what aspects of those systems might be suitable or adaptable to our own needs.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show you necessities and directions for the comparative studies of sports law. First, regarding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y do we need comparative studies of sports law?” I have demonstrated the reasons: interchange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sports; the study of the legal system; settlement of the Asian law and legal system and unification and harmony in Asian sports law. Second, I would like to explain the situation of the comparative studies for sports law in Korea. Third, I have examined, “What is the agenda for comparison of sports law?
      I would expect a lot of achievement from activations of an Asian Sports Law Association formed at this time. Lastly, I suggest founding a research and education institute to study Asian sports law and to cultivate specialists of it. I recommend establishing a college or research institute by national policy. But the first consideration is a support system for funding and human resources. In addition, an Asian sport law information center are required. We should prepare for not only a “united Asia” or an “Asian economic social community” but also private and governmental organizations for interchange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sports.
      As we stand at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in the flow of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western” law invades into Asia. Asia needs in particular new Asian law based on traditional Asian religion, ethics and morals. Asian sports law should be enacted in the direction of unification and harmonization all over the world based on Asia’s autonomy and by academic, regional and national links and cooperation.
      It is required for the Asian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Asian law through introspection and rediscovery of Asia in the world. Despite the pluralistic circumstances in Asia, it seems to be easy to create comparatively consistent norms in sports field. It is because sports, the subject of sports law, have been formed as a part of general and universal culture of human being. Most of Autonomic Sports Law is world widely consistent; Fundamental Rights of Sports consists of the right of pursuit of happiness which is one of the fundamental rights of human. It is necessary to broaden interchange and cooperation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스포츠의 국제교류와 협력이 활발해지면서 스포츠법의 비교연구가 중요한 문제로 되었다. 아시아에서는 한, 중, 일 3국을 중심으로 2005년도 한국 서울에서 <아시아스포츠법학회>를 결성하여 각국의 스포츠법 硏究現況에 대한 情報交換과 交流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른 아시아 국가들 간의 스포츠에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한 대처 방안도 다양하게 모색되고 있으며, 아시아스포츠법학의 연구가 새로운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아시아국가들 간의 빈번한 스포츠교류의 현상에서 이제 아시아 국가 간의 스포츠교류와 협력을 뒷받침할 법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스포츠법제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스포츠법의 조화와 통일을 이루는 길을 모색하고 건전한 스포츠문화를 진흥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스포츠법 비교연구의 필요성을 살펴본 후에 한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스포츠법의 비교연구의 성과를 정리하여 보기로 한다. 그 다음으로 스포츠법의 비교연구가 앞으로 어떠한 과제를 안고 있는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대하여는 스포츠법학연구자들의 협력과 연대를 통하여 새로운 스포츠법학을 정립하고 아시아 또는 세계의 스포츠법의 조화와 통일을 이루어 가는데 공헌할 수 생각한다. 매년 학술대회를 개최하면서 교류와 협력을 하는 <아시아스포츠법학회>를 좀더 활성화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시아스포츠법학을 연구하고 연구자를 양성하는 연구․교육기관이 필요하다고 본다. 대학이나 국책 연구소 등이 설립되어야 한다. 물론 스포츠법학 비교연구를 위한 인적․물적인 支援體系가 확립되어야 할 것이다. 스포츠법령정보센타의 구축도 필요하다. 아시아와 국제 스포츠의 교류와 협력을 위한 분쟁해결기구, 민간기구와 국가 간 기구 등에 대한 법적인 문제를 연구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21세기에 접어들어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세계화, 국제화의 흐름 속에서 스포츠법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아시아의 종교, 윤리, 도덕 등의 전통적인 규범을 바탕으로 아시아법의 새로운 체계 정립이 필요한 것이다. 아시아스포츠법도 이러한 아시아의 정체성에 바탕을 두어 세계적인 스포츠규범과의 조화와 통일을 이루는 방향으로 학제적, 지역적, 국가적 연대와 협력으로 연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최근 스포츠의 국제교류와 협력이 활발해지면서 스포츠법의 비교연구가 중요한 문제로 되었다. 아시아에서는 한, 중, 일 3국을 중심으로 2005년도 한국 서울에서 <아시아스포츠법학회>를...

      최근 스포츠의 국제교류와 협력이 활발해지면서 스포츠법의 비교연구가 중요한 문제로 되었다. 아시아에서는 한, 중, 일 3국을 중심으로 2005년도 한국 서울에서 <아시아스포츠법학회>를 결성하여 각국의 스포츠법 硏究現況에 대한 情報交換과 交流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른 아시아 국가들 간의 스포츠에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한 대처 방안도 다양하게 모색되고 있으며, 아시아스포츠법학의 연구가 새로운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아시아국가들 간의 빈번한 스포츠교류의 현상에서 이제 아시아 국가 간의 스포츠교류와 협력을 뒷받침할 법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스포츠법제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스포츠법의 조화와 통일을 이루는 길을 모색하고 건전한 스포츠문화를 진흥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스포츠법 비교연구의 필요성을 살펴본 후에 한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스포츠법의 비교연구의 성과를 정리하여 보기로 한다. 그 다음으로 스포츠법의 비교연구가 앞으로 어떠한 과제를 안고 있는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대하여는 스포츠법학연구자들의 협력과 연대를 통하여 새로운 스포츠법학을 정립하고 아시아 또는 세계의 스포츠법의 조화와 통일을 이루어 가는데 공헌할 수 생각한다. 매년 학술대회를 개최하면서 교류와 협력을 하는 <아시아스포츠법학회>를 좀더 활성화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시아스포츠법학을 연구하고 연구자를 양성하는 연구․교육기관이 필요하다고 본다. 대학이나 국책 연구소 등이 설립되어야 한다. 물론 스포츠법학 비교연구를 위한 인적․물적인 支援體系가 확립되어야 할 것이다. 스포츠법령정보센타의 구축도 필요하다. 아시아와 국제 스포츠의 교류와 협력을 위한 분쟁해결기구, 민간기구와 국가 간 기구 등에 대한 법적인 문제를 연구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21세기에 접어들어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세계화, 국제화의 흐름 속에서 스포츠법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아시아의 종교, 윤리, 도덕 등의 전통적인 규범을 바탕으로 아시아법의 새로운 체계 정립이 필요한 것이다. 아시아스포츠법도 이러한 아시아의 정체성에 바탕을 두어 세계적인 스포츠규범과의 조화와 통일을 이루는 방향으로 학제적, 지역적, 국가적 연대와 협력으로 연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두현, "현대스포츠법과 안전" 한울 2009

      2 최종고, "한국법과 세계법" 교육과학사 1989

      3 김상용, "아시아법제연구의 필요성과 방법론" (1) : 2004

      4 임대희, "아시아법사" 서경 2000

      5 한국스포츠법학회, "스포츠와 법 창간호(2000)~20호" 2009

      6 류동균, "스포츠법학" 대경북스 2006

      7 노덕선, "스포츠법학" 진영사 2009

      8 손석정, "스포츠법학" 태근문화사 2000

      9 손석정, "스포츠법 이론과 실제" 태근문화사 2007

      10 신희준, "스포츠법" 법률서원 2004

      1 김두현, "현대스포츠법과 안전" 한울 2009

      2 최종고, "한국법과 세계법" 교육과학사 1989

      3 김상용, "아시아법제연구의 필요성과 방법론" (1) : 2004

      4 임대희, "아시아법사" 서경 2000

      5 한국스포츠법학회, "스포츠와 법 창간호(2000)~20호" 2009

      6 류동균, "스포츠법학" 대경북스 2006

      7 노덕선, "스포츠법학" 진영사 2009

      8 손석정, "스포츠법학" 태근문화사 2000

      9 손석정, "스포츠법 이론과 실제" 태근문화사 2007

      10 신희준, "스포츠법" 법률서원 2004

      11 김상용, "비교계약법" 법영사 2002

      12 손경한, "문답 스포츠법" 법영사 2002

      13 五十嵐淸, "現代比較法学の諸相" 信山社 2002

      14 五十嵐淸, "比較法学の歴史と理論" 一粒社 1977

      15 五十嵐淸, "比較法入門" 日本評論社 1968

      16 五十嵐淸, "比較民法学の諸問題" 一粒社 1976

      17 島田正郎, "東洋法史" 東京教学社 1976

      18 井上洋一, "導入対話によるスポーツ法学" 不磨書房 2005

      19 濱野吉生, "体育・スポーツ法学の諸問題" 前野書店 1983

      20 伊藤尭, "体育・スポ‐ツ事故判例の研究" 道和書院 1995

      21  A.J.シュヴァルツ, "ポーランドの刑法とスポーツ法" 成文堂 2000

      22 川井圭司, "プロスポーツ選手の法的地位" 成文堂 2003

      23 千葉正士, "スポーツ法学入門" 体育施設出版 1995

      24 菅原哲朗, "スポーツ法危機管理学 : スポーツ施設/スポーツ管理者/スポーツ指導者のための" エイデル研究所 2005

      25 神谷宗之介, "スポーツ法" 三省堂 2005

      26 入澤充, "スポーツの法律入門 : 現場のトラブルにQ&Aで答える 知らないと損をする指導者のリスクマネジメント" 山海堂 2004

      27 山崎利男, "アジア諸国の法制度" アジア経済研究所 1980

      28 千葉正士, "アジア法の多元的構造" 成文堂 1988

      29 安田信之, "アジアの法と社会" 三省堂 1987

      30 安田信之, "アジアの法と社会" 三省堂 1987

      31 Schnitzer, "Vergleichende Rechtslehre I" Aufl 1961

      32 スポーツ問題研究会, "Q&Aスポーツの法律問題 : プロ選手から愛好者までの必修知識" 民事法研究会, 2003

      33 Jochen Taupitz, "Europäische Privatrechtscereinheitlichung heute und morgen" Mohr, 1993

      34 Konard Zweigert, "Einführung in die Rechtsverglieichung" auf Gebiete des Privatrechts 1971

      35 Rudolf Schlesinger, "Comparative Law"

      36 安田信之, "ASEAN法 : An introduction to ASEAN law" 日本評論社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6-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스포츠와 법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9-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스포츠법학회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Law ->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 Entertainment Law
      KCI등재후보
      2007-09-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orts and Law -> The Journal of Sports and Entertainment Law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8 0.741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