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조나단 스위프트의 초기 풍자 3부작과 후기 대표작 <걸리버 여행기> 3권 라뷰터 편에 나타난 당대 ‘신학문’ 비판을 분석하는 연구로, 두 편의 연구논문을 산출하였다. C.P. 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8783
-
2016년
Korean
조너던 스위프트 ; 신학문 ; Jonathan Swift ; new science ; natural philosophy ; Robert Boyle ; Isaac Newton ; John Locke ; matter ; (material/immaterial) substance ; consciousness ; 자연철학 ; 통 이야기 ; 책들의 전쟁 ; 정신의 기계적 운행 ; 걸리버 여행기 ; 라퓨터 ; 공중 장치물 ; 기획가 ; 왕립협회 ; 윌리엄 길버트 ; 르네 데카르트 ; 토마스 홉스 ; 로버트 보일 ; 아이작 뉴턴 ; 리바이어던 ; 프린키피아 ; 물질 ; 운동 ; 실체 ; 소용돌이 ; 기계론 ; 진공논쟁 ; 충만론 ; 에피큐로스 원자론 ; 소체론 ; 공기펌프 ; 지구자기론 ; 중력 ; 달세계픽션 ; 비행기계 ; 제국주의 기획 ; 풍자적 상상력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나단 스위프트의 초기 풍자 3부작과 후기 대표작 <걸리버 여행기> 3권 라뷰터 편에 나타난 당대 ‘신학문’ 비판을 분석하는 연구로, 두 편의 연구논문을 산출하였다. C.P. 스...
본 연구는 조나단 스위프트의 초기 풍자 3부작과 후기 대표작 <걸리버 여행기> 3권 라뷰터 편에 나타난 당대 ‘신학문’ 비판을 분석하는 연구로, 두 편의 연구논문을 산출하였다. C.P. 스노우가 진단한 인문학과 자연과학 ‘두 문화’ 분열이 일어나기 훨씬 전 시대의 독특하고도 역동적인 지적 토양에 뿌리를 둔 풍자가 스위프트는, 당시 대부분 지식인과 마찬가지로 자연철학의 핵심 논쟁에 끊임없는 관심을 가지고 탐구하며 문제의식을 벼려냈다. 17세기와 18세기 초 자연철학의 핵심 논쟁은 근본적으로 ‘물질’(matter)과 ‘운동’(motion)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둘러싼 것으로, 이것이 다시 감각경험, 정신, 의식 등을 둘러싼 철학 논쟁과 신의 존재와 본성에 관한 신학적 논쟁과 맞물려있었기에, 스위프트를 비롯한 당대 지식인들은 이러한 논쟁을 적극적으로 소비, 생산하고 개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학 작품 중심의 기존 접근법에서 벗어나 르네 데카르트, 로버트 보일, 토머스 홉스, 아이작 뉴턴 등 당대 주요 자연철학자들의 물질에 논쟁을 당시 맥락에서 재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스위프트의 신학문 비판에 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함으로써, 관련 연구의 외연과 깊이를 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두 편의 연구논문은 각각 초기 풍자 3부작(1704)과 <걸리버 여행기>(1726) 라퓨터 편을 분석하였다. <통 이야기>를 비롯한 초기 풍자 3부작은 17세기 중후반 범유럽적으로 벌어진 진공 논쟁의 핵심 철학자 데카르트, 홉스, 보일을 주요 풍자 대상으로 삼았다. 이 3부작에서 스위프트는 보일의 공기 펌프 실험을 비롯하여 이 세 자연철학자들의 주요 주장과 거기에 동원된 언어, 이미지, 상상력 등을 절묘히 뒤섞어 풍자적으로 전유한 ‘정신의 기계적 운행’이라는 개념과 그를 구현하는 다양한 표상들을 만들어냈다. 이 지극히 스위프트적인 패러디가 그들의 진공 및 물질 논쟁과 그것이 불러일으킨 철학적, 신학적 논쟁에 대한 스위프트의 비판적 통찰을 담아낸다는 것이 첫번째 논문의 주장이다. 두번째 논문은 <걸리버 여행기> 라퓨터 편을 뉴턴 이론과의 연관성 속에서 탐구한다. 라퓨터 편은 1720년대 중반까지 여전히 주류이던 데카르트의 기계론적 우주론을 대체하는 <프린키피아>를 써서 당시 가장 각광받는 철학자로 등장한 뉴턴을 정면으로 풍자의 대상으로 삼았다. 초기 풍자가 그랬듯이 후기 풍자에서도 스위프트는 당대 최고의 철학자를 겨냥했으며, 그것은 새로운 자연철학 지식을 탐독하며 문제의식을 획득하는 데 게으르지 않았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 논문은 뉴턴에 대한 풍자가 라퓨터라는 일종의 인공 달 자체에 절묘하게 구현되어 있다고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Jonathan Swift’s satire at the ‘new science’ or contemporary natural philosophy as it appears in the his early satire and the Voyage to Laputa in Gulliver’s Travels respectively and produced two journal articles. Sw...
This study aimed to analyze Jonathan Swift’s satire at the ‘new science’ or contemporary natural philosophy as it appears in the his early satire and the Voyage to Laputa in Gulliver’s Travels respectively and produced two journal articles. Swift was a ‘pre-disciplinary’ intellectual who belonged to the unique dynamic intellectual milieu of his time, long before it diverged irreparably into what C. P. Snow called the ‘two cultures’. As such, he sustained a keen interest in the controversial issues of the new philosophy and engaged critically with them in his satiric fiction. The major controversies in seventeenth- and early eighteenth-century natural philosophy revolved around new understandings and accounts of ‘matter’ and ‘motion’ and led to further controversies in metaphysics and theology, thereby embroiling Swift and his contemporaries, intellectuals and general public alike, into the essential debates.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s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Swift’s satire at the new science, by reconstructing its close interaction with the ideas and theories of Rene Descartes, Robert Boyle, Thomas Hobbes, and Isaac Newton. The two articles analyze the Tale trilogy (1704) and Gulliver’s Travels (1726) respectively. Swift’s early satire targets Descartes, Hobbes,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