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60~70년대 한국 정신분석학의 반공·냉전적 재편과 젠더·섹슈얼리티 낙인의 형성 - 정신의학자 백상창을 중심으로 = The Anti-Communist and Cold War Reshaping of Korean Psychoanalysis and the Formation of Gender and Sexuality Stigma in the 1960-1970s - centered on psychiatrist Paik Sang-chang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1950s, Korean military psychiatry actively embraced American military psychiatry and developed its own specialty. Meanwhile, from the 1960s onward, Korean psychoanalysis embraced a general school of psychoanalysis that omitted Marxist psychoanalysis and feminist psychoanalysis. Psychoanalysis also had a certain academic authority in clinical practice in the 1950s and 1960s. Thus, psychiatrist Baek Sang-chang(白尙昌) analyzed the homosexual tendencies of a soldier who committed suicide in 1960 while he was still a medical officer, attributing them to an Oedipus complex, disrupted parental gender roles, and regression to a childhood developmental “stage.” Paik, who served as an investigator for the Seoul Family Court and as a mediator for the same court for more than 40 years, attributed divorced women, the women's movement, and homosexuality in the 1960s and 70s to “gender role dysphoria.” His conservative view of gender was linked to his anti-Communist and Cold War perceptions of society in general. This was the result of a politically and gender conservative form of the broad spectrum of psychoanalysis being selected and applied in Korea. It represented an anti-Communist and Cold War reorganization of Korean psychoanalysis, but also an instance of psychoanalysis being used as a knowledge system to further reproduce the rule of social minorities in Korea
      번역하기

      In the 1950s, Korean military psychiatry actively embraced American military psychiatry and developed its own specialty. Meanwhile, from the 1960s onward, Korean psychoanalysis embraced a general school of psychoanalysis that omitted Marxist psychoana...

      In the 1950s, Korean military psychiatry actively embraced American military psychiatry and developed its own specialty. Meanwhile, from the 1960s onward, Korean psychoanalysis embraced a general school of psychoanalysis that omitted Marxist psychoanalysis and feminist psychoanalysis. Psychoanalysis also had a certain academic authority in clinical practice in the 1950s and 1960s. Thus, psychiatrist Baek Sang-chang(白尙昌) analyzed the homosexual tendencies of a soldier who committed suicide in 1960 while he was still a medical officer, attributing them to an Oedipus complex, disrupted parental gender roles, and regression to a childhood developmental “stage.” Paik, who served as an investigator for the Seoul Family Court and as a mediator for the same court for more than 40 years, attributed divorced women, the women's movement, and homosexuality in the 1960s and 70s to “gender role dysphoria.” His conservative view of gender was linked to his anti-Communist and Cold War perceptions of society in general. This was the result of a politically and gender conservative form of the broad spectrum of psychoanalysis being selected and applied in Korea. It represented an anti-Communist and Cold War reorganization of Korean psychoanalysis, but also an instance of psychoanalysis being used as a knowledge system to further reproduce the rule of social minorities in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마사 C. 누스바움, "혐오에서 인류애로 : 성적 지향과 헌법" 뿌리와이파리 2016

      2 "현대해양"

      3 엄무광, "향심기도" 성바오로출판사 1998

      4 "해군군의단잡지"

      5 "해군"

      6 "항공의학"

      7 백상창, "한국정치와 사회병리 : 정신분석학적 어프로우치" 한국사회병리연구소 1987

      8 이정민, "한국의 프로이트 이론 수용 양상 연구 : 일반 이론과 특수 이론 개념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2017

      9 이정민, "한국의 초기 정신분석학 수용에서 일본의 영향 - 김성희와 고사와 헤이사쿠의 이론적 유사점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54) : 219-248, 2019

      10 이정민, "한국 정신분석의 두 가지 입장에 대한 고찰: 정신의학과 인문학의 사이에서"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58) : 229-253, 2021

      1 마사 C. 누스바움, "혐오에서 인류애로 : 성적 지향과 헌법" 뿌리와이파리 2016

      2 "현대해양"

      3 엄무광, "향심기도" 성바오로출판사 1998

      4 "해군군의단잡지"

      5 "해군"

      6 "항공의학"

      7 백상창, "한국정치와 사회병리 : 정신분석학적 어프로우치" 한국사회병리연구소 1987

      8 이정민, "한국의 프로이트 이론 수용 양상 연구 : 일반 이론과 특수 이론 개념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2017

      9 이정민, "한국의 초기 정신분석학 수용에서 일본의 영향 - 김성희와 고사와 헤이사쿠의 이론적 유사점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54) : 219-248, 2019

      10 이정민, "한국 정신분석의 두 가지 입장에 대한 고찰: 정신의학과 인문학의 사이에서"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58) : 229-253, 2021

      11 권김현영, "한국 남성을 분석한다" 교양인 2017

      12 엘리 자레스키, "프로이트와 20세기 : 정신분석의 사회문화적 역사" 문학과지성사 2022

      13 이정민, "프로이트 저작의 초기 한국어 번역 연구 -백상창의 『성욕론』과 이용호의 『선집』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65) : 219-248, 2017

      14 이정민, "프로이트 이론의 번역어에 대한 고찰: Verdrängung(억압)을 중심으로" 한국비교문학회 (69) : 229-263, 2016

      15 빌헬름 라이히, "파시즘의 대중심리" 그린비 2006

      16 "통일세계"

      17 켄지 요시노, "커버링 : 민권을 파괴하는 우리 사회의 보이지 않는 폭력" 민음사 2017

      18 루인, "캠프 트랜스 : 이태원 지역 트랜스젠더의 역사 추적하기, 1960~1989" 1 (1): 2012

      19 "최신의학"

      20 "종합의학"

      21 존 볼비, "존 볼비의 안전기지 : 애착이론의 치료적 적용" 학지사 2014

      22 "조선일보"

      23 김대현, "정신의학자 한동세(韓東世)의 문화정신의학과 여성 및 비규범적 성애・성별 배제의 성격" 국학연구원 (183) : 271-309, 2018

      24 에밀 크레펠린, "정신의학 : 의대생과 의사를 위한 교과서 – 제1권정신의학 총론" 아카넷 2021

      25 "정신분석"

      26 미셸 푸코, "정신병과 심리학" 문학동네 2002

      27 로이 리처드 그린커, "정상은 없다 : 문화는 어떻게 비정상의 낙인을 만들어내는가" 메멘토 2022

      28 "임상의학"

      29 김대현, "일본의 우생학에서 미국의 우생학으로 - 해방 이후~1950년대 한국의 소년범죄 담론 -" 역사문제연구소 26 (26): 301-339, 2022

      30 백상창, "이 어둠에 빛이 있다면" 등대출판사 1979

      31 "육군의무장교단잡지"

      32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원로와의 대화" 하나의학사 1991

      33 백상창, "영혼세계 : 죽었다 깨어난 사람들의 이야기" 내외출판사 1981

      34 베티 프리단, "여성성의 신화" 갈라파고스 2018

      35 존 볼비, "애착" 연암서가 2019

      36 질 들뢰즈, "안티 오이디푸스 : 자본주의와 분열증" 2014

      37 "아시아여성연구"

      38 심경 윤태림 박사 화갑기념 심리·교육논총 편집위원회, "심리·교육 논총 : 심경 윤태림 박사 화갑기념" 숙명여자대학교 출판부 1968

      39 "신동아"

      40 "세브란스"

      41 "세대"

      42 해블록 엘리스, "성의 역전" 아모르문디 2022

      43 도널드 위니캇, "성숙과정과 촉진적 환경"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0

      44 케이트 밀렛, "성 정치학" 쌤앤파커스 2020

      45 "서울의대정신의학"

      46 "사상계"

      47 "사법행정"

      48 백상창, "부부사랑학 : 가정의 화목을 위한 정신분석서" 흥문각 1977

      49 정성조 ; 이나영, "보이지 않는 군인들: 한국 군대 내 동성애혐오와 성소수자 정체성" 한국문화사회학회 26 (26): 83-145, 2018

      50 "법륜"

      51 백상창, "백상창 박사의 부부사랑학" 한국사회병리연구소 2019

      52 백상창, "민족의 한 : 김일성 정신분석과 우리의 길" 성원안전연구소 1978

      53 디디에 에리봉, "미셸 푸코, 1926~1984" 그린비 2012

      54 미셸 푸코, "말과 사물" 민음사 2012

      55 "동아일보"

      56 더 케어 컬렉티브, "돌봄선언 : 상호의존의 정치학" 니케북스 2021

      57 김희강, "돌봄민주국가 : 돌봄민국을 향하여" 박영사 2022

      58 노먼 빈센트, "노먼 빈센트 필의 긍정적 사고방식 : 어떻게 자신의 행복을창조할 것인가" 세종서적 2020

      59 조한욱, "노먼 브라운의 사상" 중앙사학연구소 (42) : 353-369, 2015

      60 허윤, "남성성의 각본들 : 민족국가의 탄생과 남자-되기" 오월의봄 2021

      61 "기독교사상"

      62 강준만, "긍정·낙관·확신하면 꿈꾼 대로 이루어지는가 : 노먼 빈센트 필의 ‘적극적 사고방식’" 190 : 2014

      63 이정민, "군진의학으로서의 정신분석과 반공주의로의 이행: 유석진과 백상창을 중심으로"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50) : 223-242, 2019

      64 "군진의학"

      65 문승숙, "군사주의에 갇힌 근대" 또 하나의 문화 2007

      66 "국민논단"

      67 "경향신문"

      68 서울가정법원, "가정법원 50년사" 2013

      69 홍정완, "1950∼60년대 한국 정치학계의 미국 정치학 수용 양상 -‘행태주의(behavioralism)’ 정치학 수용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73) : 361-402, 2019

      70 김대현, "1950~60년대 성교육 담론의 재구성" 연세사학연구회 48 : 547-596,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