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공간 내 디지털 증거 데이터는 수정 및 삭제되기 쉬우며 실시간으로 변경사항이 반영되므로 사건 발생 시점 이후 증거 데이터의 빠른 획득이 필요하다. 클라이언트 측에서의 증거 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062903
서울 :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19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 정보보호학과 , 2019. 2
2019
한국어
서울
v, 40장 : 삽화 ; 26 cm
지도교수: 이상진
참고문헌: 장 39-40
I804:11009-00000008262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사이버 공간 내 디지털 증거 데이터는 수정 및 삭제되기 쉬우며 실시간으로 변경사항이 반영되므로 사건 발생 시점 이후 증거 데이터의 빠른 획득이 필요하다. 클라이언트 측에서의 증거 수...
사이버 공간 내 디지털 증거 데이터는 수정 및 삭제되기 쉬우며 실시간으로 변경사항이 반영되므로 사건 발생 시점 이후 증거 데이터의 빠른 획득이 필요하다. 클라이언트 측에서의 증거 수집은 별도의 행정절차로 인한 시간 지연 없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대용량 데이터의 수집에 있어서는 마찬가지로 수집 시간 지연 문제에 취약하다. 증거 수집 이후에도, 증거 수집부터 법정제출 시점까지 수집된 증거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았음 또한 보일 수 있어야한다.
사이버 공간 내 데이터의 수집 및 보존을 위해서 기존의 잘 알려진 웹 크롤링과 Open API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수집을 위해 사용되거나, 웹 기록 아카이브를 통한 데이터 보존에 주된 목적이 있었고, 이를 통한 증거화 그 자체에는 목적을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디지털 포렌식 관점에서 사이버 공간 내 데이터의 수집과 보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 공간 내 주요 웹 기반 서비스를 중심으로, 클라이언트 측면에서의 자동화 된 증거 수집 방식을 제안하여 대용량 데이터에 대한 효율적인 증거 수집이 가능하도록 한다. 나아가 제안한 방식을 사용하고 수집한 디지털 증거의 법정제출시점까지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사이버 공간 내 디지털 증거 수집 시스템을 제안하고, 시스템을 구현하여 실제 서비스에서 제안한 증거 수집 방식을 활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