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교육철학과 교육철학하기: 한국교육철학의 정체성과 공동담론 탐색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hilosophy of education as a discipline in Korea has diverse sources for its disciplinary formation from three different traditions. The British/American influence helped us develop a more rigorous philosophical method and the German influence provide...

      Philosophy of education as a discipline in Korea has diverse sources for its disciplinary formation from three different traditions. The British/American influence helped us develop a more rigorous philosophical method and the German influence provided us with a rich sense of ‘being educational’ (or ‘being educative’); the traditional Korean thoughts contributed to our being keen to Korean contexts or Korean identity in developing educational theories. However, the sheer diversity in its sources can lead philosophy of education in Korea as an academic discipline to suffer from the lack of disciplinary integrity. Some Korean scholars from older generations tend to think that the current coexistence of three different schools is something to celebrate on rather than to complain about, which seems congenial to a post-modern spirit. But to many young scholars in the field, who want to seek indigenous educational theories, this cerebration of the older generation looks like a pre-modern naivete because the celebration is not the consequence of their thorough examination of and criticism on the way they were doing philosophy of education, i.e., their own philosophical method. To these young scholars, what seems lacking with Korean philosophers of education is a philosophical rigor in their works, as well as a set of educational questions to be worth tackling with over generations. Without these two requisites, the mere coexistence of three different traditions in philosophy of education cannot be led into creative diversity, but to destructive fragmentation in our disciplinary identity.
      Then, what sort of move do we need to make to overcome this fragmentation in our disciplinary identity How should we reorient the competing three different traditions of philosophical studies of education in Korea Since we use different philosophical languages and have different priorities in educational questions to pursue across the three different schools, it is almost impossible for u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us, it seems quite urgent to create a shared disciplinary space where we sort out together differences across the three schools and see if the differences can be bridged or acknowledged by one another. This approach would not demand us to abandon our own philosophical language and tradition into which each of us has already been initiated; it would rather demand us to be more aware of what and how we are doing philosophy of education in our own philosophical language by being challenged and contested by the other philosophical languages. This will obviously help Korean philosophers of education to work on their own philosophical method in a more rigorous way.
      On the other hand, this process would also demand us to re-think about what role philosophy of education as an academic discipline today is supposed to play in relation to educational practice and other educational studies. Is it supposed to provide ‘conceptual tools’ through which educational reality in Korea can be better described, or ‘reasonable solutions’ or ‘better judgment’ in response to complicated practical matters of education in Korea, or ‘self-understanding’ of our educational culture and practice No matter which one we are led to agree on, what seems common among these candidates, I think, is their relation to the educational contexts in Korea. In this sense, what distinguishes a good work from a bad work in philosophy of education may have to do not so much with a mastery of philosophical methodology, which we usually consider internal to the academic discipline, as with its relevance to the educational contexts in Korea, which is external to the discipline. Yet, the educational relevance of a work is more likely to be carved out sharply in a uniquely form, only in the work where the disciplinary nature of the work is distinctively manif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에서의 교육철학은 세 가지 상이한 전통을 기반으로 하여 하나의 근대 학문으로 정립되었다. 엄격한 '철학적' 방법을 제공한 영미분석철학이 그 하나이고, '교육적'의 의미를 풍요롭게 ...

      한국에서의 교육철학은 세 가지 상이한 전통을 기반으로 하여 하나의 근대 학문으로 정립되었다. 엄격한 '철학적' 방법을 제공한 영미분석철학이 그 하나이고, '교육적'의 의미를 풍요롭게 하는 것을 도와준 독일철학이 다른 하나이며, 한국의 맥락에 맞는 '한국적' 교육이론의 개발에 고나심을 기울인 전통적 한국 사상이 나머지 하나이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사상적 원천들은 교육철학이라는 학문이 학문적 통합성을 갖는 데에 방해가 되어 왔다. 어떤 학자들은 이러한 다양한 학파의 공존이 포스트모던이즘이라는 오늘날 정신에 더 맞는 것이라며 긍정적 측면을 바라보는 경향이 있지만, 본연구자들은 이러한 경향을 우리가 하고 있는 교육철학하기에 대한 보다 엄격한 반성과 비판의 부재의 결과로 본다. 현재 한국의 교육철학자들에게 부족한 것은 바로 이러한 학문적 엄격성과 교육철학하기의 세대를 넘어선 일련의 핵심적 질문이다. 세가지 상이한 교육철학적 전통이 그저 공존하기만 하는 것은 담론의 창의적 다양성으로 나아가기 보나는 파괴적인 파편화로 치닫고 있는 것 같이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이러한 학문적 파편화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 어떻게 하면 서로 경쟁하는 이러한 세 학파의 학문적 논의를 보다 발전적으로 상호 소통하게 할 수 있을 것인가 각 학파는 상이한 학문적 탐구 방법과 상이한 교육적 질문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 이들간의 소통은 거의 불가능한 것 같이 보인다. 그러므로 서로 상이한 언어를 사용하는 이들 학파간의 소통, 즉 서로의 차이점을 분명하게 하고 그 차이를 인정하며 서로 소통하게 하는 작업이 시급해 보인다. 이것은 어떤 한 전통에 속하는 우리 자신의 철학적 언어를 포기하도록 요구한다기 보다는 오히려 우리 자신의 철학적 언어를 보다 의식하도록 하고 다른 철학적 언어에 의한 도전을 받아들이도록 요구한다. 즉, 교육철학자들은 이러한 소통을 통하여 자신의 철학적 방법을 보다 더 엄격하고 비판적으로 다루게 될 것이다. 한편 이러한 과정은 학문으로서의 교육철학하기의 역할에 대해, 특히 교육현실이나 다른 교육이론과의 관계라는 관점에서 다시 생각하게 할 것이다. 교육철하은 한국의 교육현실을 보다 잘 기술하는 개념적 도구를 제공하는 것인가, 아니며 한국의 교육에서 나타나는 실제적 문제들에 대한 합리적 해결책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는가, 아니면 우리의 교육문화와 교육실천에 대한 자기 이해를 돕도록 되어 있는가 어느 것을 그 답으로 채하도라도 이들 답 간의 공동점은 바로 한국이라는 교육적 맥락이다. 이런 의미에서 교육철학적 작업은 우수한 작업과 그렇지 못한 작업을 구분짓는 것은 철학적 밥방법론을 잘 구사하느냐 않느냐의 문제라기보다는 그 작업이 한국의 교육적 맥락에 얼마나 관련되는 것이냐 하는 점이다. 물론 한 작업의 교육적 관련성은 그 작업의 학문적 특성이 두드러지게 보이는 방식으로 드러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이것이 바로 교육철학적 작업이, 교육사회학적 작업이나 교육심리학적 작업과 차별되는 방식으로, 의미있게 존재하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