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서울시내 4개 여자대학교 학생들의 체중 조절 실태와 Diet에 대한 의식구조 조사 = A Survey on State of Body Weight Control and Viewpoint about Diet of Four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229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 4개 여자대학교 재학생 933명을 대상으로 하여 여대생의 식습관, 비만 정도, 체중 조절 실태, 영양지식을 얻는 매체, 다이어트 식품에 관한 견해 등을 조사하였다. 본인의 체형에 관한 질문에는 "통통한 편", "보통", "마른편"이 각각 40.5%, 39.1%, 12.9%로 나타났으나, 브로카의 비만도 측정 법으로 계산한 결과에 의해서는 4.2%만이 "과체중"이었고, 53.2%가 "정상", 34.8%가 "저체중"이었다. 체중관리의 관심정도에 대한 질문에는 답변자의 33.5%가 "높다", 44.1%가 "보통"이라 답하였다. 그러나 답변자의 60.1%가 건강을 위해 특별히 하고 있는 것은 없었다. 답변자의 65.1%가 체중조절 경험이 있었고, 체중 조절을 하는 이유로는 답변자의 34.8%가 "비만 또는 과체중이어서", 44.3%가 "정상체중이지만 미용상"이라고 답했다. 주로 이용하는 체중 조절 방법으로는 답변자의 37.9%가 "꾸준하게 식사량을 조절" 26.8%가 "운동과 다이어트를 병행", 18.9%가 "운동"이었다. 영양에 관한 지식을 주로 얻는 매체로는 "친구나 주위사람"이 37.7%, "신문이나 월간지"가 27.9%, "TV나 방송 매체"가 27.8%로 나타났다. 답변자의 12.0%가 시중 판매 다이어트 식품 또는 약품을 섭취해 본 경험이 있다고 답했고, 그 중 33.0%는 섭취기간에만 효과를 보았고, 31.3%는 효과를 보지 못했고, 25.9%는 약간의 효과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 4개 여자대학교 재학생 933명을 대상으로 하여 여대생의 식습관, 비만 정도, 체중 조절 실태, 영양지식을 얻는 매체, 다이어트 식품에 관한 견해 등을 조사하였다. 본...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 4개 여자대학교 재학생 933명을 대상으로 하여 여대생의 식습관, 비만 정도, 체중 조절 실태, 영양지식을 얻는 매체, 다이어트 식품에 관한 견해 등을 조사하였다. 본인의 체형에 관한 질문에는 "통통한 편", "보통", "마른편"이 각각 40.5%, 39.1%, 12.9%로 나타났으나, 브로카의 비만도 측정 법으로 계산한 결과에 의해서는 4.2%만이 "과체중"이었고, 53.2%가 "정상", 34.8%가 "저체중"이었다. 체중관리의 관심정도에 대한 질문에는 답변자의 33.5%가 "높다", 44.1%가 "보통"이라 답하였다. 그러나 답변자의 60.1%가 건강을 위해 특별히 하고 있는 것은 없었다. 답변자의 65.1%가 체중조절 경험이 있었고, 체중 조절을 하는 이유로는 답변자의 34.8%가 "비만 또는 과체중이어서", 44.3%가 "정상체중이지만 미용상"이라고 답했다. 주로 이용하는 체중 조절 방법으로는 답변자의 37.9%가 "꾸준하게 식사량을 조절" 26.8%가 "운동과 다이어트를 병행", 18.9%가 "운동"이었다. 영양에 관한 지식을 주로 얻는 매체로는 "친구나 주위사람"이 37.7%, "신문이나 월간지"가 27.9%, "TV나 방송 매체"가 27.8%로 나타났다. 답변자의 12.0%가 시중 판매 다이어트 식품 또는 약품을 섭취해 본 경험이 있다고 답했고, 그 중 33.0%는 섭취기간에만 효과를 보았고, 31.3%는 효과를 보지 못했고, 25.9%는 약간의 효과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urvey on state of dietary habit, degree of obesity, body weight control, medium of nutritional knowledge and viewpoint of diet food and drug for 933 female students in 4 women's universities in Seoul was undertak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In response to the question about body shape, 40.5%, 39.1% and 12.9% of the subjects answered "plump", "normal", and "thin", respectively. However the results calculated from subjects' height and weight by Broca's method were that 4.2% of the subjects were "overweight", 53.2% were "normal", and 34.8% were "underweight". (2) Interest of body weight control was relatively high as 33.5% of the subjects answered "high", and 44.1% did "normal". But 60.1% of the subjects did not practice any particular activity for health 65.1% of the subjects had experience of body weight control. The reasons of body weight control were "obese or overweight" (34.8% of the subjects), "normal weight but for beauty" (44.3% of the subjects). In order to control body weight, 37.9% of the subjects practiced "control of eating volume constantly", 26.8% of the subjects practiced "exercise and diet together" and 18.9% of the subjects practiced "exercise". (3) Nutritional knowledge was obtained "from friends or neighboring persons" (37.7%), "from newspapers or magazines" (27.9%) and "from TV or broadcasting" (27.8%). (4) 12.0% of the subjects had experience of diet food or drug intake. 33.0% of the taken subjects had effect only during taking period. 31.3% had no effect, and 25.9% had some effect.
      번역하기

      A survey on state of dietary habit, degree of obesity, body weight control, medium of nutritional knowledge and viewpoint of diet food and drug for 933 female students in 4 women's universities in Seoul was undertak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A survey on state of dietary habit, degree of obesity, body weight control, medium of nutritional knowledge and viewpoint of diet food and drug for 933 female students in 4 women's universities in Seoul was undertak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In response to the question about body shape, 40.5%, 39.1% and 12.9% of the subjects answered "plump", "normal", and "thin", respectively. However the results calculated from subjects' height and weight by Broca's method were that 4.2% of the subjects were "overweight", 53.2% were "normal", and 34.8% were "underweight". (2) Interest of body weight control was relatively high as 33.5% of the subjects answered "high", and 44.1% did "normal". But 60.1% of the subjects did not practice any particular activity for health 65.1% of the subjects had experience of body weight control. The reasons of body weight control were "obese or overweight" (34.8% of the subjects), "normal weight but for beauty" (44.3% of the subjects). In order to control body weight, 37.9% of the subjects practiced "control of eating volume constantly", 26.8% of the subjects practiced "exercise and diet together" and 18.9% of the subjects practiced "exercise". (3) Nutritional knowledge was obtained "from friends or neighboring persons" (37.7%), "from newspapers or magazines" (27.9%) and "from TV or broadcasting" (27.8%). (4) 12.0% of the subjects had experience of diet food or drug intake. 33.0% of the taken subjects had effect only during taking period. 31.3% had no effect, and 25.9% had some effec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서론
      • Ⅱ.연구방법
      • Ⅲ.결과 및 고찰
      • Ⅳ.요약 및 결론
      • Ⅰ.서론
      • Ⅱ.연구방법
      • Ⅲ.결과 및 고찰
      • Ⅳ.요약 및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