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코로나19 팬데믹 이전과 이후 관광객의 관광 공간 행동 비교 연구: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tourism spatial behavior of tourist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a case of Daegu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049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시점인 2019년과 코로나 팬데믹 이후 시점인 2021년 대구 관광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대구광역시를 방문하는 관광객의 관광 공간 행동에 대해 지리학적 접근을 통해 관광객이 실제로 방문했던 관광 공간 간의 관계에 존재하는 특성을 사회연결망 분석을 적용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밀도 분석(density analysis)을 통해 두시점 간 관광객의 관광 공간 행동 패턴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둘째, 내향/외향 연결정도 중심성 분석(in/out-degree centrality analysis)과 매개 중심성 분석(betweenness centrality analysis)을 통해 두 시점 간에 있어 관광 공간의 역할 및 특징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첫째,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 비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 더욱 다양한 관광 공간을 이용하는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 팬데믹 이전과 이후의 관광 공간의 정규화된 내향 연결정도 중심성 지수의 순위는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고, 외향 연결성 중심성 지수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보다 이후 시점에 실내 공간이 아닌 실외 공간이 개방적인 역할 하는 관광 공간의 역할이 더욱 중요함을 파악하였다. 셋째, 매개 연결성 중심성 지수를 보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시점에 대구광역시 관광에 있어 대구수목원이라는 관광 공간의 영향력은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 팬데믹 이전과 이후 관광 공간의 동시 방문 유형과 순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과 이후 관광객의 관광 행동에 대해 객관적인고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할 수 있으며, 코로나19에로 인한 관광객의 관광 행동 변화를 바탕으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시점인 2019년과 코로나 팬데믹 이후 시점인 2021년 대구 관광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대구광역시를 방문하는 관광객의 관광 공간 행동에 대해 지리학...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시점인 2019년과 코로나 팬데믹 이후 시점인 2021년 대구 관광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대구광역시를 방문하는 관광객의 관광 공간 행동에 대해 지리학적 접근을 통해 관광객이 실제로 방문했던 관광 공간 간의 관계에 존재하는 특성을 사회연결망 분석을 적용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밀도 분석(density analysis)을 통해 두시점 간 관광객의 관광 공간 행동 패턴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둘째, 내향/외향 연결정도 중심성 분석(in/out-degree centrality analysis)과 매개 중심성 분석(betweenness centrality analysis)을 통해 두 시점 간에 있어 관광 공간의 역할 및 특징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첫째,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 비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 더욱 다양한 관광 공간을 이용하는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 팬데믹 이전과 이후의 관광 공간의 정규화된 내향 연결정도 중심성 지수의 순위는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고, 외향 연결성 중심성 지수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보다 이후 시점에 실내 공간이 아닌 실외 공간이 개방적인 역할 하는 관광 공간의 역할이 더욱 중요함을 파악하였다. 셋째, 매개 연결성 중심성 지수를 보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시점에 대구광역시 관광에 있어 대구수목원이라는 관광 공간의 영향력은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 팬데믹 이전과 이후 관광 공간의 동시 방문 유형과 순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과 이후 관광객의 관광 행동에 대해 객관적인고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할 수 있으며, 코로나19에로 인한 관광객의 관광 행동 변화를 바탕으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민정 ; 오문향, "코로나19 확산에 대한 국내 잠재 관광객의 감정 반응 연구: 의미론적 네트워크 분석의 활용" 대한관광경영학회 35 (35): 47-65, 2020

      2 박득희,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이후의 관광 활동 참여 패턴 분석: 경기도를 사례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31 (31): 115-128, 2022

      3 박득희, "코로나19 발병 전⋅후로 나타난 안동관광에 대한 변화된 여론 및 관광 니즈의 분석: 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텍스트 마이닝과 의미연결망 분석"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30 (30): 231-246, 2021

      4 이훈, "코로나(COVID-19)팬더믹, 관광여행의 변화와 전망" Future Horizon Focus

      5 김재현 ; 이형룡,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코로나19 발생 전후 관광객의 캠핑 인식 변화 비교: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30 (30): 117-134, 2021

      6 박득희 ; 강상훈 ; 이계희,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관광객들의 관광정보 탐색 행동의 구조적 특징 : 메르스(MERS)발생 이전과 이후 비교" 서울연구원 18 (18): 145-158, 2017

      7 박득희, "사회연결망 분석 기법을 활용한 중국인과 일본인 개별 식도락 관광객의 공간 행동 연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30 (30): 71-84, 2021

      8 한국관광 데이터랩, "빅데이터를 활용한2023년 관광트렌드 “일상의 모든 순간이 여행”" 한국관광공사

      9 한국관광 데이터랩, "빅데이터를 활용한2022년 관광 트렌드 분석" 한국관광공사

      10 한국은행, "대구지역 관광산업 현황 및 시사점"

      1 홍민정 ; 오문향, "코로나19 확산에 대한 국내 잠재 관광객의 감정 반응 연구: 의미론적 네트워크 분석의 활용" 대한관광경영학회 35 (35): 47-65, 2020

      2 박득희,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이후의 관광 활동 참여 패턴 분석: 경기도를 사례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31 (31): 115-128, 2022

      3 박득희, "코로나19 발병 전⋅후로 나타난 안동관광에 대한 변화된 여론 및 관광 니즈의 분석: 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텍스트 마이닝과 의미연결망 분석"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30 (30): 231-246, 2021

      4 이훈, "코로나(COVID-19)팬더믹, 관광여행의 변화와 전망" Future Horizon Focus

      5 김재현 ; 이형룡,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코로나19 발생 전후 관광객의 캠핑 인식 변화 비교: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30 (30): 117-134, 2021

      6 박득희 ; 강상훈 ; 이계희,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관광객들의 관광정보 탐색 행동의 구조적 특징 : 메르스(MERS)발생 이전과 이후 비교" 서울연구원 18 (18): 145-158, 2017

      7 박득희, "사회연결망 분석 기법을 활용한 중국인과 일본인 개별 식도락 관광객의 공간 행동 연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30 (30): 71-84, 2021

      8 한국관광 데이터랩, "빅데이터를 활용한2023년 관광트렌드 “일상의 모든 순간이 여행”" 한국관광공사

      9 한국관광 데이터랩, "빅데이터를 활용한2022년 관광 트렌드 분석" 한국관광공사

      10 한국은행, "대구지역 관광산업 현황 및 시사점"

      11 박득희, "대구를 방문한 첫방문객과 재방문객 간 다목적지 여행 패턴 비교: 사회연결망 분석을 적용하여" 재단법인 경북연구원 20 (20): 67-86, 2021

      12 백경열, "대구관광 성적표 ‘낙제점’…“지갑 닫고 당일치기 방문 대부분”"

      13 박득희 ; 이계희 ; 강상훈, "다목적지 여행에서 관광 목적지 순위의 결정 요인 -앵커 포인트 이론의 적용-" 한국관광학회 44 (44): 97-115, 2020

      14 박득희, "다(多) 관광활동 행동에서 관광활동 간의 연결 패턴 조사 : 경기도를 사례로"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3 (23): 31-54, 2021

      15 김영남 ; 홍성화, "뉴노멀(New Normal) 2.0 시대의 관광: 코로나19 유행 기간 제주 방문 관광객 IPA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마이스관광학회 20 (20): 143-161, 2020

      16 박득희,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코로나19 발생 전⋅후 안동의 관광공간 구조 파악"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31 (31): 113-126, 2022

      17 Jin, C., "Using user-generated content to explore the temporal heterogeneity in tourist mobility" 57 (57): 779-791, 2018

      18 Caldeira, A. M., "Tourists'spatial behaviour in urban destinations : The effect of prior destination experience" 24 (24): 247-260, 2018

      19 Han, H., "Spatial movement patterns among intra-destination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23 (23): 806-822, 2018

      20 Prell, C., "Social network analysis: history, theory & methodology" SAGE 2012

      21 Warn N. Lekfuangfu, "On Covid-19: New Implications of Job Task Requirements and Spouse's Occupational Sorting" Elsevier BV 2020

      22 Shih, H. Y., "Network characteristics of drive tourism destinations : an application of network analysis in tourism" 27 (27): 1029-1039, 2006

      23 Kang, S., "Identifying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tourist attraction system in South Korea using GIS and network analysis : an application of anchor-point theory" 9 : 358-370, 2018

      24 Park, D., "Does distance matter? examining the distance effect on tourists’ multi-attraction travel behaviors" 36 (36): 692-709, 2019

      25 Lee, H., "Do online information sources really make tourists visit more diverse places? based on the social networking analysis" 56 (56): 1376-1390, 2019

      26 Ruan, W., "Applying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to understand international tourists’ behavioural intentions under the threat of air pollution : a case of Beijing, China" 23 (23): 2027-2041, 2020

      27 Park, D., "Application of social media analytics in tourism crisis communication" 22 (22): 1810-1824, 2019

      28 대구통계, "2021 대구관광 실태조사"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