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음식 해설이 방한 외래관광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현장실험을 통한 교훈 = The effect of food interpretation on the satisfaction of foreign tourists to Korea: implications through a field experi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049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음식관광의 중요성은 각 국가 및 도시의 정책과 연결된다. 국내에서도 음식관광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관련 예산이 투입되고 있으나, 국가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음식관광의 만족도를 높이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방한 외래관광객에게 음식을해설해주면 그들의 음식관광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현장실험을 하였다. 방한 외래 관광객 100명을 대상으로약 3주간에 걸쳐서 진행하였으며, 한국을 방문한 외래 관광객 중 한국음식에 대한 만족도가 낮으며 정책적 논의의 핵심인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은 무작위 처치방법으로 대상이 홀수날에 입국하면 한국음식의 해설을 실시하였으며, 짝수날에 입국하면 해설을 제공하지 않았다. 현장실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음식 해설만을 고려한 상황, 관광객 특성 변수를 추가한경우, 음식의 가격과 외래관광객의 한국 방문 특성을 추가로 통제한 상태, 가이드 특성을 추가한 각각의 경우에서 전부 만족도평균 점수의 향상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방한 외래관광객에게 한국 음식을 소개하는 것은 그들의 음식관광 만족도를 제고시키는 비용대비 매우 효율적인 정책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전 연구에서 시도하지 않은 음식관광에 있어 음식해설의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실증연구 방법론을 보완하는 현장실험 기법을 활용한 연구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이론적 의의가 있다. 또한 현재 수행되고 있는 정부의 한국음식 산업화 사업의 정책이 적절하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정책 수립에 있어 음식관광 해설의 중요성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번역하기

      음식관광의 중요성은 각 국가 및 도시의 정책과 연결된다. 국내에서도 음식관광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관련 예산이 투입되고 있으나, 국가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음식관광의 만족도를 높이...

      음식관광의 중요성은 각 국가 및 도시의 정책과 연결된다. 국내에서도 음식관광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관련 예산이 투입되고 있으나, 국가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음식관광의 만족도를 높이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방한 외래관광객에게 음식을해설해주면 그들의 음식관광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현장실험을 하였다. 방한 외래 관광객 100명을 대상으로약 3주간에 걸쳐서 진행하였으며, 한국을 방문한 외래 관광객 중 한국음식에 대한 만족도가 낮으며 정책적 논의의 핵심인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은 무작위 처치방법으로 대상이 홀수날에 입국하면 한국음식의 해설을 실시하였으며, 짝수날에 입국하면 해설을 제공하지 않았다. 현장실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음식 해설만을 고려한 상황, 관광객 특성 변수를 추가한경우, 음식의 가격과 외래관광객의 한국 방문 특성을 추가로 통제한 상태, 가이드 특성을 추가한 각각의 경우에서 전부 만족도평균 점수의 향상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방한 외래관광객에게 한국 음식을 소개하는 것은 그들의 음식관광 만족도를 제고시키는 비용대비 매우 효율적인 정책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전 연구에서 시도하지 않은 음식관광에 있어 음식해설의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실증연구 방법론을 보완하는 현장실험 기법을 활용한 연구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이론적 의의가 있다. 또한 현재 수행되고 있는 정부의 한국음식 산업화 사업의 정책이 적절하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정책 수립에 있어 음식관광 해설의 중요성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나은 ; 김해옥 ; 현성협, "한식 기내식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 방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8 (28): 325-339, 2019

      2 한국관광공사, "방한 외국인 음식관광 실태조사: 2010"

      3 주오이시디대한민국대표부, "미식산업 해외사례및 활성화 방안(음식관광을 중심으로)"

      4 Ellis, A., "What is food tourism?" 68 : 250-263, 2018

      5 Palmer, S. E., "Visual perception and world knowledge: notes on a model of sensory-cognitive interaction" 279-307, 1975

      6 Park, S., "Two factor model of consumer satisfaction : international tourism research" 67 : 82-88, 2018

      7 Lee, L., "Try it, you'll like it : the influence of expectation, consumption, and revelation on preferences for beer" 17 (17): 1054-1058, 2006

      8 Lee, K. H., "Travel lifestyle preferences and destination activity choices of Slow Food members and non-members" 46 : 1-10, 2015

      9 Quan, S., "Towards a structural model of the tourist experience : an illustration from food experiences in tourism" 25 (25): 297-305, 2004

      10 Kuo, N. W., "Tourism management and industrial ecology : s case study of food service in Taiwan" 26 (26): 503-508, 2005

      1 권나은 ; 김해옥 ; 현성협, "한식 기내식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 방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8 (28): 325-339, 2019

      2 한국관광공사, "방한 외국인 음식관광 실태조사: 2010"

      3 주오이시디대한민국대표부, "미식산업 해외사례및 활성화 방안(음식관광을 중심으로)"

      4 Ellis, A., "What is food tourism?" 68 : 250-263, 2018

      5 Palmer, S. E., "Visual perception and world knowledge: notes on a model of sensory-cognitive interaction" 279-307, 1975

      6 Park, S., "Two factor model of consumer satisfaction : international tourism research" 67 : 82-88, 2018

      7 Lee, L., "Try it, you'll like it : the influence of expectation, consumption, and revelation on preferences for beer" 17 (17): 1054-1058, 2006

      8 Lee, K. H., "Travel lifestyle preferences and destination activity choices of Slow Food members and non-members" 46 : 1-10, 2015

      9 Quan, S., "Towards a structural model of the tourist experience : an illustration from food experiences in tourism" 25 (25): 297-305, 2004

      10 Kuo, N. W., "Tourism management and industrial ecology : s case study of food service in Taiwan" 26 (26): 503-508, 2005

      11 Klaaren, K. J., "The role of affective expectations in subjective experience and decision-making" 12 (12): 77-101, 1994

      12 Reisinger, Y., "Reconceptualising interpretation : the role of tour guides in authentic tourism" 9 (9): 481-498, 2006

      13 Ariely, D., "Psychology and experimental economics : A gap in abstraction" 16 (16): 336-339, 2007

      14 Mynttinen, S., "Perceptions of food and its locality among Russian tourists in the South Savo region of Finland" 48 : 455-466, 2015

      15 Biederman, I., "Perceiving real-world scenes" 177 (177): 77-80, 1972

      16 Xu, Y., "Not eating is a loss : how familiarity influences local food consumption" 90 : 104479-, 2022

      17 McClure, S. M., "Neural correlates of behavioral preference for culturally familiar drinks" 44 (44): 379-387, 2004

      18 Kuramoto, H., "Measuring the Tourism Economy Using Local Gourmet Sales : Noto Area Tourism after COVID-19 with Noto Rice Bowl" 62 : 34-41, 2021

      19 Mason, M. C., "Investigating the role of festivalscape in culinary tourism : the case of food and wine events" 33 (33): 1329-1336, 2012

      20 Brief, A. P., "Integrating bottom-up and top-down theories of subjective well-being : the case of health" 64 (64): 646-653, 1993

      21 Allison, R. I., "Influence of beer brand identification on taste perception" 1 (1): 36-39, 1964

      22 Lee, K. H., "Habitus and food lifestyle : in-destination activity participation of Slow Food members" 48 : 207-220, 2014

      23 UNWTO, "Global Report on Food Tourism AM Reports"

      24 Ji, M., "Food-related personality traits and the moderating role of novelty-seeking in food satisfaction and travel outcomes" 57 : 387-396, 2016

      25 Henderson, J. C., "Food tourism reviewed" 111 (111): 317-326, 2009

      26 Rinaldi, C., "Food and gastronomy for sustainable place development : a multidisciplinary analysis of different theoretical approaches" 9 (9): 1748-, 2017

      27 Hall, C. M., "Food Tourism Around The World: Development, Management and Markets" Butterworth-Heinemann 2003

      28 Organ, K., "Festivals as agents for behaviour change : a study of food festival engagement and subsequent food choices" 48 : 84-99, 2015

      29 Zizzo, D. J., "Experimenter demand effects in economic experiments" 13 (13): 75-98, 2010

      30 Ting, H., "Ethnic food consumption intention at the touring destination : The national and regional perspectives using multi-group analysis" 71 : 518-529, 2019

      31 Wilson, T. D., "Emotion and social behavior" Sage Publications, Inc 1-31, 1992

      32 Björk, P., "Destination foodscape : A stage for travelers' food experience" 71 : 466-475, 2019

      33 Horng, J. S., "Culinary tourism strategic development : an Asia-Pacific perspective" 14 (14): 40-55, 2012

      34 Şahin, S., "Culinary tourism and the role of tourist guides in presenting kitchen and food culture"

      35 Allied Market Research, "Culinary Tourism Market by Activity Type, Age Group and Mode of Booking : Global Opportunity Analysis and Industry Forecast 2020–2027" 2020

      36 Hoch, S. J., "Consumer learning : Advertising and the ambiguity of product experience" 13 (13): 221-233, 1986

      37 Geers, A. L., "Affective assimilation and contrast : effects of expectations and prior stimulus exposure" 27 (27): 143-154, 2005

      38 Lai, M. Y., "A perception gap investigation into food and cuisine image attributes for destination branding from the host perspective : the case of Australia" 69 : 579-595, 2018

      39 Darley, J. M., "A hypothesis-confirming bias in labeling effects" 44 (44): 20-33, 1983

      40 Takahashi, D.,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Tourism in Utilization of Food Culture at Prefectural Borders Areas" 51 : 30-44, 2010

      41 문화체육관광부, "2019 외래관광객 조사"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