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그릿, 시간관리, 우울 및 학업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Grit, Time Management, Depression, and Academic Adjustment among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336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roles of time management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cademic adjustment perceived by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A total of 546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143 males and 403 females) enrolled in universities in Seoul, South Korea,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grit, time management, and academic adjustment,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grit and depression. Additionally, graduat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s of grit and academic adjustment, particularly in motivation and performance, compared to undergraduate students. Finally, both time management and depress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cademic adjustment.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academic adjustment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roles of time management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cademic adjustment perceived by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A total of 546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143 ...

      This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roles of time management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cademic adjustment perceived by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A total of 546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143 males and 403 females) enrolled in universities in Seoul, South Korea,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grit, time management, and academic adjustment,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grit and depression. Additionally, graduat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s of grit and academic adjustment, particularly in motivation and performance, compared to undergraduate students. Finally, both time management and depress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cademic adjustment.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academic adjustment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한 그릿과 학업적응 간의 관계에서 시간관리 및 우울이 매개하는 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서울에 소재한 대학교 재학 중국인 유학생 총 546명(남학생: 143명, 여학생: 403명)을 최종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이 지각한 그릿, 시간관리 및 학업적응은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데 반해, 우울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학형태(학부생과 대학원생)에 따른차이 분석결과, 대학원생이 학부생에 비해 높은 수준의 그릿을 보였다. 또한, 대학원생이 학부생에 비해 높은 수준의 학업적응을 보였는데, 특히 ‘동기’와 ‘수행’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그릿과 학업적응 간의 관계에서 시간관리와 우울이각각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가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의 학업적응 증진 방안을 모색하는 데 교육 분야에서의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한 그릿과 학업적응 간의 관계에서 시간관리 및 우울이 매개하는 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서울에 소재한 대학교 ...

      본 연구에서는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한 그릿과 학업적응 간의 관계에서 시간관리 및 우울이 매개하는 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서울에 소재한 대학교 재학 중국인 유학생 총 546명(남학생: 143명, 여학생: 403명)을 최종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이 지각한 그릿, 시간관리 및 학업적응은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데 반해, 우울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학형태(학부생과 대학원생)에 따른차이 분석결과, 대학원생이 학부생에 비해 높은 수준의 그릿을 보였다. 또한, 대학원생이 학부생에 비해 높은 수준의 학업적응을 보였는데, 특히 ‘동기’와 ‘수행’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그릿과 학업적응 간의 관계에서 시간관리와 우울이각각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가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의 학업적응 증진 방안을 모색하는 데 교육 분야에서의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도희, "한․중 청소년의 행복감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학회 50 (50): 227-255, 2012

      2 하혜숙 ; 임효진 ; 황매향, "학업적응에서 끈기(Grit)와 목표의식, 성실성, 탄력성의 역할" 한국상담학회 18 (18): 371-388, 2017

      3 최아라, "코로나 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8 (28): 89-107, 2021

      4 홍세정 ; 오인수, "초등학생의 성장마인드셋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교육과학연구소 51 (51): 25-42, 2020

      5 안윤정 ; 현진희, "청소년의 우울 및 가족기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1 : 111-135, 2015

      6 김민정, "청소년 우울증상과 학교적응의 상호관계: 학대방임적 양육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6) : 53-86, 2019

      7 한수연 ; 박용한, "중학생의 그릿, 행동조절, 자기결정동기의 종단적 상호 인과관계" 한국교육학회 58 (58): 61-90, 2020

      8 임효진 ; 김재철, "중학교 학생들의 성취가치, 자기조절, 학업적응과 학업성취의 구조적 관계: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61-190, 2014

      9 김대현 ; 김아영 ; 강이화, "중국인 대학원 유학생들의 학업적응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연구" 교육연구소 8 (8): 159-187, 2007

      10 채동우 ; 진국화 ; 정군오, "중국 유학생의 학업성취 및 중도탈락 분석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데이터전략학회 27 (27): 37-54, 2020

      1 안도희, "한․중 청소년의 행복감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학회 50 (50): 227-255, 2012

      2 하혜숙 ; 임효진 ; 황매향, "학업적응에서 끈기(Grit)와 목표의식, 성실성, 탄력성의 역할" 한국상담학회 18 (18): 371-388, 2017

      3 최아라, "코로나 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8 (28): 89-107, 2021

      4 홍세정 ; 오인수, "초등학생의 성장마인드셋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교육과학연구소 51 (51): 25-42, 2020

      5 안윤정 ; 현진희, "청소년의 우울 및 가족기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1 : 111-135, 2015

      6 김민정, "청소년 우울증상과 학교적응의 상호관계: 학대방임적 양육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6) : 53-86, 2019

      7 한수연 ; 박용한, "중학생의 그릿, 행동조절, 자기결정동기의 종단적 상호 인과관계" 한국교육학회 58 (58): 61-90, 2020

      8 임효진 ; 김재철, "중학교 학생들의 성취가치, 자기조절, 학업적응과 학업성취의 구조적 관계: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61-190, 2014

      9 김대현 ; 김아영 ; 강이화, "중국인 대학원 유학생들의 학업적응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연구" 교육연구소 8 (8): 159-187, 2007

      10 채동우 ; 진국화 ; 정군오, "중국 유학생의 학업성취 및 중도탈락 분석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데이터전략학회 27 (27): 37-54, 2020

      11 Ma, Zeliang ; 김영현, "중국 유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이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인지된 적합성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동북아관광학회 16 (16): 173-201, 2020

      12 우영지 ; 김나래, "전문대생의 그릿(Grit)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657-674, 2020

      13 Xiao XiaoLi ; 안도희,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과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4 (34): 133-155, 2016

      14 임효진 ; 하혜숙, "원격대학 여성 성인학습자들의 끈기(Grit)와 목표인식, 학업-가정갈등 및 사회적 지지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31 (31): 59-81, 2017

      15 압둘라예바 닐루파르 ; 고장완, "우즈베키스탄 대학원 유학생들의 한국 대학생활 적응 분석"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10 (10): 67-86, 2019

      16 대학알리미, "외국학생 중도탈락 현황"

      17 JIN YUANYING ; XUNUO ; 안현선,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적응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2011∼2020)" 한국다문화교육학회 14 (14): 55-71, 2021

      18 이선영 ; 나윤주,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적응 실태조사- 교양교과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167-193, 2018

      19 주휘정,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대학 학습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교육문제연구소 (36) : 135-159, 2010

      20 김소연, "외국인 유학생 8만 5천여명… 심리 건강에 ‘비상’"

      21 주영주 ; 김동심, "영재학생의 그릿(꾸준한 노력, 지속적 관심), 교사지원, 부모지원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영재교육만족도에 대한 예측력 검증" 특수교육연구소 15 (15): 29-49, 2016

      22 신민 ; 안도희, "영재와 평재 고등학생들의 성공에 대한 인식, Grit, 열망 및 성취목적 비교" 한국영재학회 25 (25): 607-628, 2015

      23 안혜진, "부모의 학대 및 방임이 청소년의 우울과 학교적응 간의 종단연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475-493, 2016

      24 김은혜 ; 김민정, "부모의 부정적 양육행동이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그릿 및 학업적응을 매개로" 한국청소년학회 27 (27): 405-431, 2020

      25 조영미,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 학업몰입도, 시간관리 행동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289-297, 2020

      26 서미옥, "대학생의 학업지연 원인 탐색: 혼합연구" 한국교육학회 52 (52): 273-301, 2014

      27 강기창 ; 박성희,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그릿(Grit)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7 (27): 239-268, 2020

      28 송윤희 ; 박하은, "대학생의 성취가치, 자기효능감, 그릿 및 학업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8 (8): 319-334, 2021

      29 장혜승, "대학 중도포기 유학생, 10명 중 7명 불법체류자"

      30 장세용 ; 배환성 ; 지준철, "규칙적인 무도수련 참여 대학생들의 그릿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배경변인의 조절효과" 한국스포츠학회 18 (18): 355-364, 2020

      31 정유선, "국내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실태 조사 및 관리방안 연구" 중국어문논역학회 (34) : 447-466, 2014

      32 이안나 ; 강영신,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우울 영향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다문화교육학회 15 (15): 65-86, 2022

      33 이원휘, "고등학생의 시간 관리와 학업성취와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34 김현영 ; 김세영 ; 서향원 ; 소은혜, "간호대학생의 시간관리 행동유형과 자기효능감" 간호행정학회 17 (17): 293-300, 2011

      35 "研究⽣与本科⽣相⽐, 这些能⼒⽐较突出!"

      36 王乐同, "本科⽣与硕⼠研究⽣时间管理倾向的差异" 8 : 184-185, 2019

      37 范红霞, "时间管理训练对焦虑, 抑郁和主观幸福感的影响" 23 (23): 285-288, 2015

      38 杨敏齐, "时间管理倾向与成就动机对⼤学⽣适应性的影响" (3) : 86-90, 2014

      39 黄时华, "⾼职新⽣⽆聊倾向性, 时间管理倾向和学习适应的关系研究" 7 : 84-90, 2013

      40 张亚宁, "⼤学⽣时间管理倾向在⾃我意识和学习适应性之间的中介效应" 32 (32): 47-51, 2020

      41 Birleson, P., "The validity of depression disorders in childhood and the development of a self-rating scale : A research report" 22 (22): 73-88, 1981

      42 Sheng, L., "The impacts of academic adaptation on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adaptation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in China : The moderating role of friendship" 89 : 7989-, 2022

      43 쉐리 슬릭 ; 이창식, "The Relative Levels of Grit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otential Dropping-Out and University Adjustment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61-66, 2014

      44 West, S. 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Sage 56-75, 1995

      45 Byrne, B. 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Routledge 2010

      46 Datu, J. A. D., "Perseverance counts but consistency does not! Validating the short grit scale in a collectivist setting" 35 (35): 121-130, 2016

      47 Hair, J. F. J., "Multivariate data analysis: A global perspective" Pearson 2010

      48 Credé, M., "Much ado about grit : A meta-analytic synthesis of grit literature" 113 (113): 492511-, 2017

      49 Baker, R. W.,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31 (31): 178-183, 1984

      50 Verboom, C. E., "Longitudinal associations between depressive problems, academic performance, and social functioning in adolescent boys and girls" 50 (50): 247-257, 2014

      51 Sharkey, C. M., "Grit, illness-related distress, and psychosocial outcomes in college students with a chronic medical condition : A path analysis" 43 (43): 552-560, 2017

      52 Musumari, P. M., "Grit is associated with lower level of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Chiang Mai, Thailand : A cross-sectional study" 13 (13): 116-, 2018

      53 Datu, J. A. D., "Grit is associated with lower depression via meaning in life among Filipino high school students" 51 (51): 865876-, 2019

      54 Salles, A., "Grit as a predictor of risk of attrition in surgical residency" 213 (213): 288-291, 2017

      55 Duckworth, A. L., "Grit :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92 (92): 1087-1101, 2007

      56 Evans, T. M., "Evidence for a mental health crisis in graduate education" 36 (36): 282-284, 2018

      57 Fornell, C.,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18 (18): 39-50, 1981

      58 Britton, B. K., "Effects of time-management practices on college grades" 83 (83): 405-410, 1991

      59 Redmind, M. V., "Cultural distance as a mediating factor between stress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24 (24): 151-159, 2000

      60 Macan, T. H., "College students' time management : Correlations with academic performance and stress" 82 (82): 760-768, 1990

      61 陆静茹, "959名⼤⼀学⽣抑郁情绪状况与⼈际关系及学习适应⽔平的相关性分析" 35 (35): 721-724, 2021

      62 교육부, "2021년 국내 고등교육기관 내 외국인 유학생 통계"

      63 보건복지부, "2021년 2분기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 결과 발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