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국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통번역 수업 연구 : 다중문식성에 기반한 교수․학습 활동을 중심으로 = Study o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lass Model for Multinational Korean Learn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336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Korea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lasses for multinational Korean language learners based on the theory of multiliteracy and to present specific examples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ctivitie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demand survey on Korea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lasses targeting 42 multinational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presented a model of Korea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classes by dividing them into ‘basic building’ and ‘translation practice by genr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asks for observation, learning, criticism, and application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classes. In the Korea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lass, Korean language learners interpreted and translated original materials of various genres such as dramas, songs, fairy tales, and poetry. Furthermore, the significance of these classes can be found in that they were able to take an interest in the language and culture of learners of other nationalities. In addition, the result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was reconstructed by inputting subtitles or dubbing in the media, and in this process, learners were able to experience multilingual and multicultural literacy and practice media literacy. However, it is regrettable that this study presents a class case of one semester and does not deal with the effect of class or specific interaction examples of learn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Korea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lasses for multinational Korean language learners based on the theory of multiliteracy and to present specific examples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Korea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lasses for multinational Korean language learners based on the theory of multiliteracy and to present specific examples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ctivitie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demand survey on Korea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lasses targeting 42 multinational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presented a model of Korea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classes by dividing them into ‘basic building’ and ‘translation practice by genr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asks for observation, learning, criticism, and application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classes. In the Korea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lass, Korean language learners interpreted and translated original materials of various genres such as dramas, songs, fairy tales, and poetry. Furthermore, the significance of these classes can be found in that they were able to take an interest in the language and culture of learners of other nationalities. In addition, the result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was reconstructed by inputting subtitles or dubbing in the media, and in this process, learners were able to experience multilingual and multicultural literacy and practice media literacy. However, it is regrettable that this study presents a class case of one semester and does not deal with the effect of class or specific interaction examples of learn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다국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통번역 수업을 다중문식성의 이론에근거하여 설계하고, 통번역 활동의 구체적인 예를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위해 본 연구는 42명의 다국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통번역 수업에 대한요구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문헌 연구를 통해 한국어 통번역 수업의 모형을 ‘기초 다지기’와 ‘장르별 번역 연습’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또한 각 단계에서 관찰과 학습, 비평, 적용이 종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번역 과제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하였다.
      한 학기에 걸쳐 이루어진 한국어 통번역 수업에서 한국어 학습자들은 드라마, 가요, 동화, 시 등 다양한 장르의 원본 자료를 통번역하였으며 이를 통해 한국어와 한국 문화뿐만 아니라 모국어와 모국 문화에 대해서도 깊이 있게 성찰할 수 있었다. 또한 나아가다른 국적 학습자의 언어와 문화에 대해 관심을 가질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이러한 수업의 의의를 발견할 수 있다. 또한 통번역한 결과물은 미디어 내에 자막을 입력하거나 더빙하는 방식으로 재구성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다중언어와 다중문화에 대한 문식성을 경험하고, 미디어 문식성을 실천할 수 있었다. 다만 이 연구는 한 학기의수업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 수업의 효과나 학습자의 구체적인 상호작용 예를 다루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다국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통번역 수업을 다중문식성의 이론에근거하여 설계하고, 통번역 활동의 구체적인 예를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위해 본 연구는 42...

      이 연구는 다국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통번역 수업을 다중문식성의 이론에근거하여 설계하고, 통번역 활동의 구체적인 예를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위해 본 연구는 42명의 다국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통번역 수업에 대한요구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문헌 연구를 통해 한국어 통번역 수업의 모형을 ‘기초 다지기’와 ‘장르별 번역 연습’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또한 각 단계에서 관찰과 학습, 비평, 적용이 종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번역 과제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하였다.
      한 학기에 걸쳐 이루어진 한국어 통번역 수업에서 한국어 학습자들은 드라마, 가요, 동화, 시 등 다양한 장르의 원본 자료를 통번역하였으며 이를 통해 한국어와 한국 문화뿐만 아니라 모국어와 모국 문화에 대해서도 깊이 있게 성찰할 수 있었다. 또한 나아가다른 국적 학습자의 언어와 문화에 대해 관심을 가질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이러한 수업의 의의를 발견할 수 있다. 또한 통번역한 결과물은 미디어 내에 자막을 입력하거나 더빙하는 방식으로 재구성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다중언어와 다중문화에 대한 문식성을 경험하고, 미디어 문식성을 실천할 수 있었다. 다만 이 연구는 한 학기의수업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 수업의 효과나 학습자의 구체적인 상호작용 예를 다루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PHAM HOA MA I, "한베 통번역 과정 고찰 및 개선 방안 연구 : 베트남 대학 내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2019

      2 TOKTAROVA ZHANSAYA, "한국어-카자흐어/러시아어 통번역 학습자의 요구 분석과 번역 입문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외국어교육연구소 32 (32): 295-320, 2018

      3 김소영 ; 최권진, "한국어 번역 교육의 실제 : 불가리아 소피아대학교 한국학과 번역 수업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6 (26): 805-824, 2020

      4 최권진, "통역을 위한 한국어 교수-학습 방법 연구" 이중언어학회 (32) : 351-381, 2006

      5 장애리, "통번역을 위한 문화능력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11

      6 곽중철 ; 홍설영, "통번역대학원의 통역 수업 모형 - 협력학습 중심의 영한 순차통역 강의 연구" 통번역연구소 16 (16): 85-114, 2012

      7 유정숙, "터키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번역 수업 개발 연구 - 에르지예스 대학교 한국어문학과 “터키어 - 한국어 번역 연습”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통역번역학회 18 (18): 73-97, 2016

      8 김월휘 ; 전미화, "중국 대학 한국어 통역 교육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 연구" 인문사회 21 13 (13): 1865-1874, 2022

      9 임형재 ; 송은정, "외국인을 위한 통번역 목적 한국어 교육 연구 -중국어 화자의 한국어 통번역 교육현황과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2 : 303-332, 2015

      10 이민우,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통번역과정 개발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233-259, 2012

      1 PHAM HOA MA I, "한베 통번역 과정 고찰 및 개선 방안 연구 : 베트남 대학 내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2019

      2 TOKTAROVA ZHANSAYA, "한국어-카자흐어/러시아어 통번역 학습자의 요구 분석과 번역 입문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외국어교육연구소 32 (32): 295-320, 2018

      3 김소영 ; 최권진, "한국어 번역 교육의 실제 : 불가리아 소피아대학교 한국학과 번역 수업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6 (26): 805-824, 2020

      4 최권진, "통역을 위한 한국어 교수-학습 방법 연구" 이중언어학회 (32) : 351-381, 2006

      5 장애리, "통번역을 위한 문화능력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11

      6 곽중철 ; 홍설영, "통번역대학원의 통역 수업 모형 - 협력학습 중심의 영한 순차통역 강의 연구" 통번역연구소 16 (16): 85-114, 2012

      7 유정숙, "터키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번역 수업 개발 연구 - 에르지예스 대학교 한국어문학과 “터키어 - 한국어 번역 연습”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통역번역학회 18 (18): 73-97, 2016

      8 김월휘 ; 전미화, "중국 대학 한국어 통역 교육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 연구" 인문사회 21 13 (13): 1865-1874, 2022

      9 임형재 ; 송은정, "외국인을 위한 통번역 목적 한국어 교육 연구 -중국어 화자의 한국어 통번역 교육현황과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2 : 303-332, 2015

      10 이민우,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통번역과정 개발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233-259, 2012

      11 안젤라 리-스미스, "외국어교육표준(The 5Cs)에 기반을 둔 한국어 다중 문식성 교수학습 자료 설계 방안 - TV 방송 공익광고를 중심으로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7 (27): 143-192, 2016

      12 황은하, "온라인 도구를 활용한 한국어 상호작용 프로젝트 수업 사례 연구–멀티리터러시 접근법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8 (18): 345-372, 2022

      13 장정윤, "번역 교육 모형설계를 위한 고찰 : 고급수준이상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4 이정, "메타인지 전략을 활용한 한국어 번역 교육 연구-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 학습자를중심으로-" 부산외국어대학교 2019

      15 서진석, "맥락 파악 강화를 활용한 대학원 통번역 연계 수업 연구 :라트비아대학교 대학원 동양학과정 한국학 전공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5 (25): 421-441, 2019

      16 민춘기, "디지털 시대에 독일어 수업의 재설계 방향 탐색 - 멀티리터러시와 역량 함양 병행"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78 (78): 7-27, 2020

      17 윤여탁, "다중언어문화 한국어 학습자의 문식성 교육" 국어교육연구소 (42) : 231-256,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