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각된 모바일쇼핑몰 특성이 감성, 가치 그리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erceived Characteristics of Mobile Shopping Mall on Emotion, Shopping-Value and Purchase Inten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724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study is to derive the results that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mobile shopping malls by finding solutions to improve the characteristics of use(usability) effect on Perceived Positive emotion, Shopping value and Purchase Intent through Mobile of mobile shopping using smartphone.
      The questionnaire was advanced by using the expanded, modified and supplementary questions based on the preceding mobile shopping usability model.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were tested conduc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hen participants divided has results of SEM analyses showed that Other factors have been adopted bu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from Design to Positive Emotions, Design to shopping value and accessibility to shopping value were rejected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Conclusions -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overall structural model of this study, it was judged that all of the fitness indexes were satisfactory. First, the hypothes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obile 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such as design, logic, and accessibility on Perceived Positive emotion and shopping value was examined. As a result, logic and accessibility factor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affect on perceived positive emotions and the logic also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hopping value. In addition, perceived positivity emotion tend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hopping value, and perceived positive emotion and shopping value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study is to derive the results that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mobile shopping malls by finding solutions to improve the characteristics of use(usability) effect on Perceived Positive emotion, Shopping value and Purchase Intent t...

      The purpose of study is to derive the results that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mobile shopping malls by finding solutions to improve the characteristics of use(usability) effect on Perceived Positive emotion, Shopping value and Purchase Intent through Mobile of mobile shopping using smartphone.
      The questionnaire was advanced by using the expanded, modified and supplementary questions based on the preceding mobile shopping usability model.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were tested conduc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hen participants divided has results of SEM analyses showed that Other factors have been adopted bu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from Design to Positive Emotions, Design to shopping value and accessibility to shopping value were rejected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Conclusions -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overall structural model of this study, it was judged that all of the fitness indexes were satisfactory. First, the hypothes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obile 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such as design, logic, and accessibility on Perceived Positive emotion and shopping value was examined. As a result, logic and accessibility factor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affect on perceived positive emotions and the logic also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hopping value. In addition, perceived positivity emotion tend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hopping value, and perceived positive emotion and shopping value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모바일 쇼핑몰 이용특성이 인지된 긍정적 감정과 쇼핑가치를 매개로 구매 의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인과관계를 탐색하고자 진행되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를 통해 쇼핑을 즐기는 유저들에게 있어 모바일 디바이스가 갖는 제한성은 결국 모바일 쇼핑을 즐기려는 수많은 유저들에게 제약 요인으로 작용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쇼핑몰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과 이용 관심에 대한 특징적 요인들 중 디자인 구성, 내용 논리성 그리고 콘텐츠 접근성에 대한 부분을 각각 디자인, 논리성, 접근성으로 정의하고 매개변수를 통해 구매의도에 미치는 관계를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대해 모바일 쇼핑 이용자들에게 제약성을 개선하기 위한 솔루션을 찾고 모바일 쇼핑몰 이용의 한계성을 찾아 개선시킬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연구 설계, 데이터 및 방법론에 있어서 선행된 모바일 쇼핑 유용성 모델을 바탕으로 연구의 전반적인 구성개념을 확장, 개선하였다.
      한편 모형에 대한 SEM분석을 통한 연구결과 다른 모든 요인들 간의 관계에 있어서 긍정적인 인과관계를 나타냈지만 이용 특성인 디자인 요인에서 긍정적 감정과 더불어 쇼핑 가치와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음이 입증되었다. 또한 이용특성인 접근성과 쇼핑 가치와의 인과관계 또한 유의하지 않음이 입증되었다. 이처럼 소비자가 지각한 쇼핑몰 이용특성에 대한 특성을 파악함으로 인해 귀결되는 긍정적 쇼핑지각과 구매의도에 대한 해법을 찾음으로서 모바일 쇼핑몰 운영의 효율화와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모바일 쇼핑몰 이용특성이 인지된 긍정적 감정과 쇼핑가치를 매개로 구매 의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인과관계를 탐색하고자 진행되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를 통해 쇼핑을...

      본 연구는 모바일 쇼핑몰 이용특성이 인지된 긍정적 감정과 쇼핑가치를 매개로 구매 의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인과관계를 탐색하고자 진행되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를 통해 쇼핑을 즐기는 유저들에게 있어 모바일 디바이스가 갖는 제한성은 결국 모바일 쇼핑을 즐기려는 수많은 유저들에게 제약 요인으로 작용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쇼핑몰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과 이용 관심에 대한 특징적 요인들 중 디자인 구성, 내용 논리성 그리고 콘텐츠 접근성에 대한 부분을 각각 디자인, 논리성, 접근성으로 정의하고 매개변수를 통해 구매의도에 미치는 관계를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대해 모바일 쇼핑 이용자들에게 제약성을 개선하기 위한 솔루션을 찾고 모바일 쇼핑몰 이용의 한계성을 찾아 개선시킬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연구 설계, 데이터 및 방법론에 있어서 선행된 모바일 쇼핑 유용성 모델을 바탕으로 연구의 전반적인 구성개념을 확장, 개선하였다.
      한편 모형에 대한 SEM분석을 통한 연구결과 다른 모든 요인들 간의 관계에 있어서 긍정적인 인과관계를 나타냈지만 이용 특성인 디자인 요인에서 긍정적 감정과 더불어 쇼핑 가치와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음이 입증되었다. 또한 이용특성인 접근성과 쇼핑 가치와의 인과관계 또한 유의하지 않음이 입증되었다. 이처럼 소비자가 지각한 쇼핑몰 이용특성에 대한 특성을 파악함으로 인해 귀결되는 긍정적 쇼핑지각과 구매의도에 대한 해법을 찾음으로서 모바일 쇼핑몰 운영의 효율화와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경섭,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한빛아카데미 2014

      2 최무진, "인터페이스디자인이 모바일 상거래 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8 (8): 1-22, 2008

      3 정원진, "스마트폰을 통한 모바일 쇼핑 시 모바일 쇼핑몰의 이용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25 (25): 1769-1791, 2012

      4 이철선, "쇼핑가치가 온라인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매개변수로서의 제품속성 중요도" 한국마케팅학회 19 (19): 41-70, 2004

      5 김창수, "모바일 쇼핑의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가치인식과 긍정적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 12 (12): 141-148, 2014

      6 정원진, "모바일 쇼핑몰의 지각된 정보품질이 스마트폰 사용자의 쇼핑몰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1 (21): 71-97, 2012

      7 김종락, "리테일마케팅" 학현사 2016

      8 Babin, B. J., "Work and/or fun: measuring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20 (20): 644-656, 1994

      9 Chevalier, A., "Web designers and web users: Influence of the ergonomic quality of the web site on the information search" 64 (64): 1031-1048, 2006

      10 Seffah, A., "Usability measurement and metrics: A consolidated model" 14 (14): 159-178, 2006

      1 노경섭,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한빛아카데미 2014

      2 최무진, "인터페이스디자인이 모바일 상거래 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8 (8): 1-22, 2008

      3 정원진, "스마트폰을 통한 모바일 쇼핑 시 모바일 쇼핑몰의 이용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25 (25): 1769-1791, 2012

      4 이철선, "쇼핑가치가 온라인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매개변수로서의 제품속성 중요도" 한국마케팅학회 19 (19): 41-70, 2004

      5 김창수, "모바일 쇼핑의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가치인식과 긍정적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 12 (12): 141-148, 2014

      6 정원진, "모바일 쇼핑몰의 지각된 정보품질이 스마트폰 사용자의 쇼핑몰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1 (21): 71-97, 2012

      7 김종락, "리테일마케팅" 학현사 2016

      8 Babin, B. J., "Work and/or fun: measuring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20 (20): 644-656, 1994

      9 Chevalier, A., "Web designers and web users: Influence of the ergonomic quality of the web site on the information search" 64 (64): 1031-1048, 2006

      10 Seffah, A., "Usability measurement and metrics: A consolidated model" 14 (14): 159-178, 2006

      11 Blandford, A., "Usability for Digital Libraries. Proceedings of the Second ACM/IEEE-CS Joint Conference on Digital Libraries" U.S.A., ACM Press 424-, 2002

      12 Thuring, M., "Usability aesthetics and emotions in human technology interaction" 42 (42): 253-264, 2007

      13 Pavlou, P. A., "Understanding and predicting electronic commerce adoption: An extens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30 (30): 115-143, 2006

      14 Dahlberg, T., "Trust enhanc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consumer acceptance of mobile payment solutions:Tentative evidence" 22 (22): 2003

      15 Petty, R. E., "The role of affect in attitude change" Handbook of affect and social cognition 212-233, 2001

      16 Holbrook, M. B., "The experiential aspects of consumption: Consumer fantasies, feelings, and fun" 9 (9): 132-140, 1982

      17 Chen, J. V., "The acceptance and diffusion of the innovative smart phone use: A case study of a delivery service company in logistics" 46 (46): 241-248, 2009

      18 Tractinsky, S., "The HEP test for grading web site usability" 22 (22): 115-122, 1987

      19 정명희, "The Effects of SNS Characteristics on Purchase Intention" 한국유통과학회 4 (4): 19-25, 2014

      20 Shin, D. H., "Smartphones as smart pedagogical tools: Implications for smartphones as u-learning devices" 27 (27): 2207-2214, 2011

      21 Ofir, T., "Satisfaction with mobile services in Canada: An empirical investigation" 30 (30): 314-331, 2006

      22 Crosby, L. A., "Relationship quality in services selling: An interpersonal influence perspective" 54 (54): 68-81, 1990

      23 Rucker, D. D., "Ready for action? Anger, sadness, and preference for activity" Ohio State University 2004

      24 Mayer, J. D., "Mood-congruent judgment is a general effect" 63 (63): 119-, 1992

      25 Schwarz, N., "Mood, misattribution, and judgments of well-being: Informative and directive functions of affective states" 45 (45): 513-, 1983

      26 Wegener, D. T., "Mood management across affective states:the hedonic contingency hypothesis" 66 (66): 1034-, 1994

      27 Bless, H., "Mood and persuasion: A cognitive response analysis" 16 (16): 331-345, 1990

      28 Everard, A., "How presentation flaws affect perceived site quality, trust, and intention to purchase from an online store" 22 (22): 56-95, 2005

      29 Choi, J. H., "Facets of simplicity for the smartphone interface:A structural model" 70 (70): 129-142, 2012

      30 Yong-Min Kim, "Effects of SNS Characteristics upon Consumers’ Awareness, 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한국유통과학회 5 (5): 27-37, 2014

      31 주윤황, "Effects of Relational Benefits and Shopping Orientation on Customer Loyalty in Mobile Shopping Malls: With Emphasis on Moderating Effects of M-VALS"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9 (9): 23-62, 2016

      32 Teo, T. S. H., "Consumer trust in e-commerce in the United States, Singapore and China" 35 (35): 22-38, 2007

      33 Young-Man Kwon, "Beacon-Based O2O Marketing for Financial Institutions" 한국유통과학회 5 (5): 23-29, 2014

      34 Kurosu, M., "Apparent usability vs. inherent usability: experimental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the apparent usability" ACM 292-293, 1995

      35 O'Hara, B. S., "An examination of the relative effects of source expertise, trustworthiness, and likeability" 19 (19): 305-314, 1991

      36 Johnson, E. J., "Affect, generalization, and the perception of risk" 45 (45): 20-, 1983

      37 Bloch, H., "A Theoretical Model for the Study of Product Importance Perceptions" 47 (47): 69-81, 19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51 0.694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