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망막앞막 박피 시 제거된 조직의 내경계막 유무가 수술 결과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73683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 2009. 8. 졸업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 26 p. : 삽화,챠트.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정희
        참고문헌: p.22-24

      • 소장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piretinal membrane (ERM) is an avascular cellular membrane over the macular area occasionally causes metamorphopsia or visual disturbance. Since the 1970s, pars plana vitrectomy has been performed to remove the membranes and good visual outcome can be achieved in many cases.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evaluated the clinical outcomes after ERM peeling.
      The surgical specimens following ERM surgery were examin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were classified only ERM (ERM group) and ERM contained ILM (internal limiting membrane) fragments (ERM+ILM group). Change in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and central macular thickness were measured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Twelve of the 22 specimens had only ERM (ERM group) and ten of the 22 specimens had the proportion of ILM within ERM (ERM+ILM group). In both groups,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was improved and central macular thickness was decreased postoperative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values of preoperative and las26t follow-up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and central macular thickness in group A. Recurrent ERM developed in each one case of both groups.
      In conclusion, ERM peeling without a damaged ILM appears to have favorable visual and anatomic outcomes.
      번역하기

      Epiretinal membrane (ERM) is an avascular cellular membrane over the macular area occasionally causes metamorphopsia or visual disturbance. Since the 1970s, pars plana vitrectomy has been performed to remove the membranes and good visual outcome can b...

      Epiretinal membrane (ERM) is an avascular cellular membrane over the macular area occasionally causes metamorphopsia or visual disturbance. Since the 1970s, pars plana vitrectomy has been performed to remove the membranes and good visual outcome can be achieved in many cases.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evaluated the clinical outcomes after ERM peeling.
      The surgical specimens following ERM surgery were examin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were classified only ERM (ERM group) and ERM contained ILM (internal limiting membrane) fragments (ERM+ILM group). Change in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and central macular thickness were measured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Twelve of the 22 specimens had only ERM (ERM group) and ten of the 22 specimens had the proportion of ILM within ERM (ERM+ILM group). In both groups,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was improved and central macular thickness was decreased postoperative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values of preoperative and las26t follow-up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and central macular thickness in group A. Recurrent ERM developed in each one case of both groups.
      In conclusion, ERM peeling without a damaged ILM appears to have favorable visual and anatomic outcom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망막앞막은 망막 뒤틀림으로 인하여 변형시와 시력 저하를 야기 시킬 수 있는 질환으로 망막의 여러 층의 단면 모습을 보여주는 빛간섭단층촬영기의 발전으로 인해 보다 정확한 진단이 내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망막앞막제거술 시 박피된 조직의 내경계막 유무가 수술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망막앞막제거술 시 박피한 생검조직을 투사전자현미경 검사를 통하여 망막앞막만 제거된 군과 망막앞막과 함께 동시에 내경계막도 일부 제거된 군으로 분류한 후, 술 후 최대교정시력의 변화 및 중심황반두께의 변화 등을 분석하였다.
      망막앞막제거술 시 망막앞막만 제거된 군은, 술 전 최대교정시력 logMAR 0.454±0.28에서 술 후 1개월째 logMAR 0.354±0.15, 3개월째 logMAR 0.264±0.17, 마지막 내원 시 logMAR 0.246±0.15로 술 전과 비교하여 각각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호전되었다(p<0.05). 중심황반두께도 술 전 359.64±97.96 ㎛에서 술 후 1개월, 3개월, 마지막 내원 시 각각 292.17±72.71 ㎛, 269.75±46.79 ㎛, 272.57±53.80 ㎛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망막앞막과 함께 내경계막의 일부가 동시에 제거된 군에서는 술 전과 비교하여 술 후 최대교정시력의 호전과 중심황반두께의 감소를 보였으나 그 정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두 군 모두에서 망막앞막이 재발한 경우는 각각 1명씩으로 재발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망막앞막제거술 시 내경계막의 손상 없이 망막앞막만 제거된 것이 술 후 예후가 좋다.
      번역하기

      망막앞막은 망막 뒤틀림으로 인하여 변형시와 시력 저하를 야기 시킬 수 있는 질환으로 망막의 여러 층의 단면 모습을 보여주는 빛간섭단층촬영기의 발전으로 인해 보다 정확한 진단이 내...

      망막앞막은 망막 뒤틀림으로 인하여 변형시와 시력 저하를 야기 시킬 수 있는 질환으로 망막의 여러 층의 단면 모습을 보여주는 빛간섭단층촬영기의 발전으로 인해 보다 정확한 진단이 내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망막앞막제거술 시 박피된 조직의 내경계막 유무가 수술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망막앞막제거술 시 박피한 생검조직을 투사전자현미경 검사를 통하여 망막앞막만 제거된 군과 망막앞막과 함께 동시에 내경계막도 일부 제거된 군으로 분류한 후, 술 후 최대교정시력의 변화 및 중심황반두께의 변화 등을 분석하였다.
      망막앞막제거술 시 망막앞막만 제거된 군은, 술 전 최대교정시력 logMAR 0.454±0.28에서 술 후 1개월째 logMAR 0.354±0.15, 3개월째 logMAR 0.264±0.17, 마지막 내원 시 logMAR 0.246±0.15로 술 전과 비교하여 각각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호전되었다(p<0.05). 중심황반두께도 술 전 359.64±97.96 ㎛에서 술 후 1개월, 3개월, 마지막 내원 시 각각 292.17±72.71 ㎛, 269.75±46.79 ㎛, 272.57±53.80 ㎛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망막앞막과 함께 내경계막의 일부가 동시에 제거된 군에서는 술 전과 비교하여 술 후 최대교정시력의 호전과 중심황반두께의 감소를 보였으나 그 정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두 군 모두에서 망막앞막이 재발한 경우는 각각 1명씩으로 재발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망막앞막제거술 시 내경계막의 손상 없이 망막앞막만 제거된 것이 술 후 예후가 좋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Ⅱ. 연구대상 및 방법 = 3
      • A. 연구대상 = 3
      • B. 연구방법 = 4
      • C. 수술방법 = 5
      • Ⅰ. 서론 = 1
      • Ⅱ. 연구대상 및 방법 = 3
      • A. 연구대상 = 3
      • B. 연구방법 = 4
      • C. 수술방법 = 5
      • D. 투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미세구조 관찰 = 6
      • E. 통계분석 = 6
      • Ⅲ. 연구 결과 = 7
      • A. 임상양상 분석 = 7
      • B. 최대교정시력 변화 분석 = 9
      • C. 중심황반두께 변화 분석 = 12
      • D. 투사전자현미경 소견 = 14
      • Ⅳ. 고찰 = 17
      • Ⅴ. 결론 = 21
      • 참고문헌 = 22
      • ABSTRACT = 2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