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봉급생활자의 은퇴설계 : 노후 부양유형으로서 유료노인시설 선호 및 요구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290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ferences and needs of middle-aged salary workers' to make silver town their future care type. The sample of this study cansisted of 837 middle-aged salary workers living in Seoul, Gyoungi-do, Daejeon, Daegu, Jeonju, and Jeju-do. Statistic values that were used for the analysis were frequencies, means, and logistic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91.5% of the middle-age salary workers needed silver town as their future care type and 63.2% of all workers wanted to live in the silver town. Second, the most frequent reason for choosing silver town as their care type was the convenience of their daily life. For the most part, salary workers answered that they would be moving to a silver town when they have some problems with mobility. Also, they wanted to pay for a deposit of 54,620,000 won and a monthly payment of 870,000 won. Third,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salary workers' preferences to silver town were the respondent's sex and job, possession a first child or not, real estate asset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subjective recognition for their economic status, having savings for their future, and the preparation for elderly lif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ferences and needs of middle-aged salary workers' to make silver town their future care type. The sample of this study cansisted of 837 middle-aged salary workers living in Seoul, Gyoungi-do, Daejeon, D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ferences and needs of middle-aged salary workers' to make silver town their future care type. The sample of this study cansisted of 837 middle-aged salary workers living in Seoul, Gyoungi-do, Daejeon, Daegu, Jeonju, and Jeju-do. Statistic values that were used for the analysis were frequencies, means, and logistic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91.5% of the middle-age salary workers needed silver town as their future care type and 63.2% of all workers wanted to live in the silver town. Second, the most frequent reason for choosing silver town as their care type was the convenience of their daily life. For the most part, salary workers answered that they would be moving to a silver town when they have some problems with mobility. Also, they wanted to pay for a deposit of 54,620,000 won and a monthly payment of 870,000 won. Third,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salary workers' preferences to silver town were the respondent's sex and job, possession a first child or not, real estate asset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subjective recognition for their economic status, having savings for their future, and the preparation for elderly lif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년층 봉급생활자의 미래 유료노인시설에 대한 요구와 유료노인시설 입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목적을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 대전광역시 및 대구광역시, 전주시 및 제주시에 거주하는 40대 이상 봉급생활자 837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PC SAS Program(Ver. 8.1)을 이용하여 인구통계적 특성, 가계재정관련변수, 심리적 변수, 노후준비실태 파악을 위한 빈도, 백분율, 평균을 산출하였고, 실버타운 입주의 관련변수를 위해 Logistic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봉급생활자들의 91.6%가 대표적 유료노인시설인 실버타운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63.2%는 실버타운의 입주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또 실버타운 입주이유는 생활 및 시설의 편리성과 독립적 생활 등이 주된 이유이며, 실버타운에 입주를 원하지 않는 이유는 경제적 문제, 우치 및 이동의 불편성, 공동체 생활에 대한 거부감 등이었다, 실버타운 입주시 고려사항으로는 경제적 비용, 내부시설 및 외부환경, 운영기관 등을 들었다.
      둘째, 봉급생활자들의 실버타운 입주시기는 건강상태와 배우자와의 의견합치, 그리고 배부자의 존재여부가 중요한 영향을 미쳤고, 조사대상자의 대부분이 100세대 이하의 단지규모를 원했으며, 교통이나 가족과의 접촉성을 위해 도시근교에 위치하기를 원하고 있었다. 실버타운 운영기관으로는 민간업체보다 정부 및 의료기관을 선호하였고 입주비용으로는 5,500만원 정도, 월평균 거주 및 유지비용으로 90만원 정도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버타운 입주여부는 성별, 직업, 장남장녀여부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주택자산과 월평균 가계소득이 많을수록, 노후를 대비한 저축을 한 경우에 실버타운 입주의사가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할 수 있다.
      첫째, 중년기 봉급생활자의 연령집단에 따른 장기적 유료노인시설 건설대책이 필요하며, 이러한 대책에서 독립공간 및 공동공간의 효율적 배치와 편의성 시설 및 집기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실버타운 입주비용을 준비하기 위한 장기 재무설계교육 및 상담서비스 제공, 은퇴금융을 위한 제도 및 상품개발, 독립성과 사회성을 공유하는 공간 및 편의시설 다양화, 여가활동을 위한 프로그램 제공, 교통 및 환경적 문제에 대한 정책 등이 해결되어야 할 과제이다.
      둘째, 건강상태 및 배우자와의 동거여부에 따른 입주규모 및 단지규모, 교통편의 및 지역서비스 수혜가능한 위치선정, 합목적적인 운영기관과 저렴한 입주비용 및 월평균 유지비 등에 있어서 실버타운 산업의 세분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실버타운 입주시기의 입주비용과 여명 월평균 유지비를 산정하기 위한 은퇴비용준비 경제교육이 단계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셋째, 객관적인 경제수준과 주관적 인지수준을 함께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 중년층 봉급생활자의 실버타운 입주의사를 심층적으로 밝히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년층 봉급생활자의 미래 유료노인시설에 대한 요구와 유료노인시설 입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목적을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 대전광역시...

      본 연구는 중년층 봉급생활자의 미래 유료노인시설에 대한 요구와 유료노인시설 입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목적을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 대전광역시 및 대구광역시, 전주시 및 제주시에 거주하는 40대 이상 봉급생활자 837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PC SAS Program(Ver. 8.1)을 이용하여 인구통계적 특성, 가계재정관련변수, 심리적 변수, 노후준비실태 파악을 위한 빈도, 백분율, 평균을 산출하였고, 실버타운 입주의 관련변수를 위해 Logistic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봉급생활자들의 91.6%가 대표적 유료노인시설인 실버타운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63.2%는 실버타운의 입주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또 실버타운 입주이유는 생활 및 시설의 편리성과 독립적 생활 등이 주된 이유이며, 실버타운에 입주를 원하지 않는 이유는 경제적 문제, 우치 및 이동의 불편성, 공동체 생활에 대한 거부감 등이었다, 실버타운 입주시 고려사항으로는 경제적 비용, 내부시설 및 외부환경, 운영기관 등을 들었다.
      둘째, 봉급생활자들의 실버타운 입주시기는 건강상태와 배우자와의 의견합치, 그리고 배부자의 존재여부가 중요한 영향을 미쳤고, 조사대상자의 대부분이 100세대 이하의 단지규모를 원했으며, 교통이나 가족과의 접촉성을 위해 도시근교에 위치하기를 원하고 있었다. 실버타운 운영기관으로는 민간업체보다 정부 및 의료기관을 선호하였고 입주비용으로는 5,500만원 정도, 월평균 거주 및 유지비용으로 90만원 정도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버타운 입주여부는 성별, 직업, 장남장녀여부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주택자산과 월평균 가계소득이 많을수록, 노후를 대비한 저축을 한 경우에 실버타운 입주의사가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할 수 있다.
      첫째, 중년기 봉급생활자의 연령집단에 따른 장기적 유료노인시설 건설대책이 필요하며, 이러한 대책에서 독립공간 및 공동공간의 효율적 배치와 편의성 시설 및 집기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실버타운 입주비용을 준비하기 위한 장기 재무설계교육 및 상담서비스 제공, 은퇴금융을 위한 제도 및 상품개발, 독립성과 사회성을 공유하는 공간 및 편의시설 다양화, 여가활동을 위한 프로그램 제공, 교통 및 환경적 문제에 대한 정책 등이 해결되어야 할 과제이다.
      둘째, 건강상태 및 배우자와의 동거여부에 따른 입주규모 및 단지규모, 교통편의 및 지역서비스 수혜가능한 위치선정, 합목적적인 운영기관과 저렴한 입주비용 및 월평균 유지비 등에 있어서 실버타운 산업의 세분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실버타운 입주시기의 입주비용과 여명 월평균 유지비를 산정하기 위한 은퇴비용준비 경제교육이 단계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셋째, 객관적인 경제수준과 주관적 인지수준을 함께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 중년층 봉급생활자의 실버타운 입주의사를 심층적으로 밝히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