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榮山姜水系의 魚類相과 榮山潮內의 魚類相의 變化 = The Fish Fauna of Yongsan River System and the Change of Fish Fauna i Yongsan Lak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065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87年 10月과 1988年 4月부터 8月까지 榮山江本流와 支流 그리고 榮山湖內의 49個 調査地点에서 魚類相과 榮山湖의 淡水化에 따른 魚類相의 變化를 調査하였다.
      本 調査에서 採集된 魚類는 總 20科 44屬 64種 및 亞種 17,728個體로 그 가운데 Cyprinidae 31종, Gobiidae 7종, Cobitidae 4종, Bagridae 3종 등 이었으며, 본 조사에서 새로이 서식이 확인된 種은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Liobagrus obesus, Oncorhynchus masou, Hemiramphus kurumens, Gasteroteus aculeatus, Mugil cephalus, M . haematocheila, Rhinogobius giurinus, Acanthogobius flavimanus, A . hasta, Chaenogobius annularis, Tridentiger obscurus등 12종이었으며, 韓國特産種은 15種이었다.
      榮山江本流 및 榮山湖內에서는 총 59種의 魚類가 채집되었고 이들 水系로 流入되는 小河川들에서는 34種의 魚類가 그리고 支流인 黃龍江과 砥石江에서는 各各 43種과 29種의 魚類가 채집되었다.
      榮山湖內 水質의 淡水化에 따라 1次淡水魚 뿐만 아니라 汽水性 魚類의 出現種數가 전체적으로 增加하는 傾向을 보였다.
      번역하기

      1987年 10月과 1988年 4月부터 8月까지 榮山江本流와 支流 그리고 榮山湖內의 49個 調査地点에서 魚類相과 榮山湖의 淡水化에 따른 魚類相의 變化를 調査하였다. 本 調査에서 採集된 魚類는 ...

      1987年 10月과 1988年 4月부터 8月까지 榮山江本流와 支流 그리고 榮山湖內의 49個 調査地点에서 魚類相과 榮山湖의 淡水化에 따른 魚類相의 變化를 調査하였다.
      本 調査에서 採集된 魚類는 總 20科 44屬 64種 및 亞種 17,728個體로 그 가운데 Cyprinidae 31종, Gobiidae 7종, Cobitidae 4종, Bagridae 3종 등 이었으며, 본 조사에서 새로이 서식이 확인된 種은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Liobagrus obesus, Oncorhynchus masou, Hemiramphus kurumens, Gasteroteus aculeatus, Mugil cephalus, M . haematocheila, Rhinogobius giurinus, Acanthogobius flavimanus, A . hasta, Chaenogobius annularis, Tridentiger obscurus등 12종이었으며, 韓國特産種은 15種이었다.
      榮山江本流 및 榮山湖內에서는 총 59種의 魚類가 채집되었고 이들 水系로 流入되는 小河川들에서는 34種의 魚類가 그리고 支流인 黃龍江과 砥石江에서는 各各 43種과 29種의 魚類가 채집되었다.
      榮山湖內 水質의 淡水化에 따라 1次淡水魚 뿐만 아니라 汽水性 魚類의 出現種數가 전체적으로 增加하는 傾向을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reshwater fish fauna of Yongsan River stream and the change of fish fauna in Yongsan Lake were investigated from October, 1987, to August, 1988.
      total collected fishes were 20 families, 44 genera, 64 species and subspecies, 17,728 individuals including 31 species of Cyprinidae, 7 species of Gobiidae, 4 species of Cobitidae and 3 species of Bagridae, and among them 15 species were known as Korean endemic species.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Liobagrus obesus, Oncorhynchus masou, Hemiramphus kurumens, Gasteroteus aculeatus, Mugil cephalus, M. haematocheila, Rhinogobius giurinus, Acanthogobius flavimanus, A. hasta, Chaenogobius annularis, Tridentiger obscurus were observed in the present studied areas for the first time. In Yongsan River system and the total number of species including primary freshwater fishes and peripheral fishes increased as the water quality of Yongsan Lake changed into feshwater.
      번역하기

      The freshwater fish fauna of Yongsan River stream and the change of fish fauna in Yongsan Lake were investigated from October, 1987, to August, 1988. total collected fishes were 20 families, 44 genera, 64 species and subspecies, 17,728 individuals ...

      The freshwater fish fauna of Yongsan River stream and the change of fish fauna in Yongsan Lake were investigated from October, 1987, to August, 1988.
      total collected fishes were 20 families, 44 genera, 64 species and subspecies, 17,728 individuals including 31 species of Cyprinidae, 7 species of Gobiidae, 4 species of Cobitidae and 3 species of Bagridae, and among them 15 species were known as Korean endemic species.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Liobagrus obesus, Oncorhynchus masou, Hemiramphus kurumens, Gasteroteus aculeatus, Mugil cephalus, M. haematocheila, Rhinogobius giurinus, Acanthogobius flavimanus, A. hasta, Chaenogobius annularis, Tridentiger obscurus were observed in the present studied areas for the first time. In Yongsan River system and the total number of species including primary freshwater fishes and peripheral fishes increased as the water quality of Yongsan Lake changed into feshwater.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