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플랫폼 기반 그림책 만들기를 활용한 『월인석보』 높임 표현 교육 방안 = “Worinseokbo”: Honorific Expressions Education Plan Using a Digital Platform-Based Picture Book Activ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934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어사 수업의 일환으로 “『월인석보』 원문을 강독하고 내용 이해를 토대로 높임 표현을 설명할 수 있다.”라는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학습자 중심의 국어사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학습자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고 생소한 언어를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국어사 교육 방안으로 디지털 플랫폼 기반 그림책 만들기 활동을 제안하였다. 국어의 역사성을 이해하기 위한 언어적 특성으로 높임 표현에 주목하였으며, 높임 표현의 통시적 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국어사 자료로 『월인석보』에 주목하였다. 논의를 위해 2장에서는 그림을 활용한 언어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국어사 교육내용으로서 높임 표현과 국어사 자료로서 월인석보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2021~2023년에 걸쳐 연구자가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인 수업을 구성하기 위하여 ‘국어학강독’ 수업에 적용했던 디지털 플랫폼 기반 그림책 만들기 수업 사례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국어사 수업의 일환으로 “『월인석보』 원문을 강독하고 내용 이해를 토대로 높임 표현을 설명할 수 있다.”라는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학습자 중심의 국어사 교육 방안...

      본 연구는 국어사 수업의 일환으로 “『월인석보』 원문을 강독하고 내용 이해를 토대로 높임 표현을 설명할 수 있다.”라는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학습자 중심의 국어사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학습자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고 생소한 언어를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국어사 교육 방안으로 디지털 플랫폼 기반 그림책 만들기 활동을 제안하였다. 국어의 역사성을 이해하기 위한 언어적 특성으로 높임 표현에 주목하였으며, 높임 표현의 통시적 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국어사 자료로 『월인석보』에 주목하였다. 논의를 위해 2장에서는 그림을 활용한 언어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국어사 교육내용으로서 높임 표현과 국어사 자료로서 월인석보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2021~2023년에 걸쳐 연구자가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인 수업을 구성하기 위하여 ‘국어학강독’ 수업에 적용했던 디지털 플랫폼 기반 그림책 만들기 수업 사례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 learner-centered approach to teaching Korean language history, with the goal of enabling students to read the original text of the “Worinseokbo” and explain honorific expressions based on content understanding." This study suggests incorporating a digital platform-based picture book-making activity so that learners can actively participate and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often unfamiliar materials in Korean Language history. The study focuses on honorable expressions in the Worinseokbo so as to explor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by comparing medieval and modern Korean. The Worinseokbo serves as a very valuable material for examining diachronic changes in Korean language history.
      Chapter 2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language education through the use of pictures. In addition, studies on honorific expressions within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and the Worinseokbo as Korean history data were examined. In Chapter 3, the researcher analyzed the implementation of a digital platform-based picture book-making class, applied in the “Korean Language Reading” course from 2021 to 2023, and presented key implications.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 learner-centered approach to teaching Korean language history, with the goal of enabling students to read the original text of the “Worinseokbo” and explain honorific expressions based on content understanding." This ...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 learner-centered approach to teaching Korean language history, with the goal of enabling students to read the original text of the “Worinseokbo” and explain honorific expressions based on content understanding." This study suggests incorporating a digital platform-based picture book-making activity so that learners can actively participate and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often unfamiliar materials in Korean Language history. The study focuses on honorable expressions in the Worinseokbo so as to explor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by comparing medieval and modern Korean. The Worinseokbo serves as a very valuable material for examining diachronic changes in Korean language history.
      Chapter 2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language education through the use of pictures. In addition, studies on honorific expressions within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and the Worinseokbo as Korean history data were examined. In Chapter 3, the researcher analyzed the implementation of a digital platform-based picture book-making class, applied in the “Korean Language Reading” course from 2021 to 2023, and presented key implication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