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신항만 건설과 21세기 부산의 미래(부산신항만 기공 기념 시민대토론회)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388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개회사
      • 김일곤(金日坤) / 부산발전연구원
      • 김상훈(金尙勳) / 부산일보
      • 격려사 / 조정제(趙正濟)(해양수산부)
      • 환영사 / 문정수(文正秀)(부산광역시)
      • 개회사
      • 김일곤(金日坤) / 부산발전연구원
      • 김상훈(金尙勳) / 부산일보
      • 격려사 / 조정제(趙正濟)(해양수산부)
      • 환영사 / 문정수(文正秀)(부산광역시)
      • 축사 / 이종만(李鍾萬)(부산광역시의회)
      • (발제I) Mega Hub Port 로서의 부산항 발전 방안: 부산 신항만을 중심으로 / 문성혁(文成赫)(한국해양대)
      • I. 머리말
      • II. 국제무역환경 및 해운환경의 변화
      • 1. 국제무역환경 및 해운환경의 변화에 따른 항만환경의 변화: 항만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
      • 2. 새로운 항만개발개념의 도입: 제3세대 항만(third generation port)의 출현
      • 3. 중심항만(Hub port)의 도래
      • III. 부산항 개발의 문제점: 컨테이너선석을 중심으로
      • IV. 부산항 개발의 발전 방향
      • V. 맺음말
      • (발제II) 부산신항만건설과 5포트 구축 / 박창호(朴彰鎬)(부산발전연구원)
      • I. 서론
      • II. 부산 신항만 건설의 현황 및 문제점
      • 1. 우리나라 항만물류 현황
      • 2. 부산항의 체선체화 실태
      • 3. 기존 부산항의 한계 및 신항만 개발의 필요성
      • 4. 부산신항만 및 배후지 개발계획 고찰
      • 5. 부산신항만 및 배후지 개발계획의 문제점 분석
      • III. 항만물류 개선을 위한 부산신항만의 역할 증대방안
      • 1. 항만물류 체계개선
      • 2. 항만배후 수송체계개선
      • 3. 수도권을 배후로한 부산-인천항의 광역항만물류시스템 구성
      • 4. 부산신항만 건설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한 새로운 개발 및 관리주체 확립
      • IV. 첨단해양도시 부산의 발전전략
      • 1. SMART부산21의 마스터 플랜 중 해양·항만 분야계획 개요
      • 2. 항만분야의 전략과제
      • 3. 부산 신항만 건설을 포함한 5포트전략
      • (발제III) 부산 신항만 건설과 부산발전 / 황호영(黃鎬塋)(부산신항만 주시회사)
      • 1. 부산 신항만 개발 배경
      • 1) 컨테이너 화물량의 증가 추세
      • 2) 기존 부산항 컨테이너 전용부두의 운영실태
      • 3) 부산 신항만 개발 필요성
      • 2. 부산 신항만 건설계획
      • 1) 정부와 민간의 역할
      • 2) 컨테이너부두 개발계획
      • 3) 항만배후부지 개발계획
      • 4) 항만주변지역 도시개발계획
      • 5) 배후수송망 계획
      • 3. 부산 신항만 건설과 부산지역의 발전
      • 1) 부산발전을 위한 신항만의 역할
      • 2) 환경과 공생하는 신항만 건설
      • 종합토론·제언
      • 신항만건설과 21세기 부산의 미래
      • 변상경(卞相景)(한국콘테이너부두공단)
      • 서의택(徐義澤)(부산대학교)
      • 부산항 개발 무엇이 문제인가! / 오거돈(吳巨敦)(부산광역시)
      • 항만개발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양항체제(Two Port System)를 중심으로 / 윤중걸(尹重傑)(부산상공회의소)
      • 이광호(李光虎)(부산해양수산청)
      • 이철영(李哲榮)(한국해양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