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전류 MAP을 이용한 전차선로 관리시스템 구축 연구: 철도급전계통 체계화구축 기술개발사업  :  (Development of Simulator for Managing and Planning the Catenary System Using Current Ma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366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e a simulation program to help managing and planning the catenary system. In this year, the second year of the research, the simulation program for AC traction power feeding system have been developed. Field test has been performed and the test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simulation in order to verify the progra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e a simulation program to help managing and planning the catenary system. In this year, the second year of the research, the simulation program for AC traction power feeding system have been developed. Field 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e a simulation program to help managing and planning the catenary system. In this year, the second year of the research, the simulation program for AC traction power feeding system have been developed. Field test has been performed and the test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simulation in order to verify the progra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변전소 및 급전계통(전차선로)설계에 필요한 사항을 계산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을 연구목표로 하였다. 2차년도인 금년도에는 윈도우 프로그램에 의한 전산모형을 구축하고 현장측정을 통하여 계산결과의 신뢰성 검증에 중점을 두고 여누를 수행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변전소 및 급전계통(전차선로)설계에 필요한 사항을 계산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을 연구목표로 하였다. 2차년도인 금년도에는 윈도우 프로그램에 의한 전산모형을 ...

      본 연구는 변전소 및 급전계통(전차선로)설계에 필요한 사항을 계산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을 연구목표로 하였다. 2차년도인 금년도에는 윈도우 프로그램에 의한 전산모형을 구축하고 현장측정을 통하여 계산결과의 신뢰성 검증에 중점을 두고 여누를 수행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제1절 연구배경
      • 제2절 국내외 현황
      • 제3절 연구개선 사항
      • 제4절 연구 추진 내용
      • 제1장 서론
      • 제1절 연구배경
      • 제2절 국내외 현황
      • 제3절 연구개선 사항
      • 제4절 연구 추진 내용
      • 제2장 교류 급전시스템의 회로모델링
      • 제1절 개요
      • 제2절 교류급전시스템의 종류 및 특징
      • (1) 급전회로 임피이던스 측면에서의 비교
      • (2) 전철변전소 간격
      • (3) 변압기 용량
      • (4) 통신유도특성
      • 제3절 AT 급전방식의 구성 및 설비별 회로모델
      • (1) AT 급전방식의 구성
      • (2) 구성 설비별 회로모델
      • 제4절 차량부하 모델
      • (1) 차량의 견인력과 제동력
      • (2) 차량의 입출력 효율
      • (3) 차량의 부하전력 및 회생전력
      • 제3장 교류 급전시스템의 회로 해석
      • 제1절 개요
      • 제2절 흡상전류비 이론에 의한 회로해석
      • (1) Single-End-Fed AT System에서의 전류분포
      • (2) Double-End-Fed AT System에서의 전류분포
      • (3) 세부가선의 전류 분류 특성
      • (4) 전압분포
      • (5) 변전용량 및 전력손실
      • 제3절 Mesh 해석법에 의한 회로해석
      • (1) 전류분포
      • (2) 전압분포
      • (3) Mesh 해석법에 의한 계산예
      • 제4장 교류 급전해석 시뮬레이터 구축
      • 제1절 급전해석 시뮬레이터의 구성
      • 제2절 입·출력부의 구성
      • (1) 입력부
      • (2) 출력부
      • 제3절 계산모듈의 구성
      • (1) 차량위치 계산 모듈
      • (2) 차량의 부하전력 계산 모듈
      • (3) 회로정수 계산 모듈
      • (4) 회로해석 모듈
      • 제5장 계산사례 및 활용방안
      • 제1절 입력자료
      • (1) 시험계통의 표준운전선도
      • (2) 전원계통 정보
      • (3) 전차선로 정보
      • (4) 차량 제원 및 운전조건
      • 제2절 계산 과정 검토
      • 제3절 계산결과의 정확성 검토
      • (1) 정밀 해석기법과의 계산결과 비교
      • (2) 현장실측에 의한 검증
      • 제4절 계산 프로그램에 의한 급전시스템 운용특성 분석
      • 제5절 검토 및 고찰
      • 제6장 결론
      • 참고문헌
      • 부록 A. 전차선로 전력시뮬레이션 프로그램사용자 매뉴얼
      • A1. 프로그램 설명
      • A1.1 C프로그램 개발
      • A1.2 프로그램의 구조
      • A1.3 I/O 비교
      • A1.4 검토 및 결론
      • A2. 전류분포도 프로그램의 구성
      • A2.1 시스템의 개발 환경
      • A2.2 프로그램 설치
      • A2.3 프로그램 구성
      • A2.4 데이터베이스 구성
      • A3. 프로그램 실행
      • A3.1 실행 사례
      • A3.2 결과 검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