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洪陟禪師의 南宗禪 전래와 현실대응 = The Introduction to Monk Hongcheok’s Namjongseon and His Response to Rea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500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實相山門은 소위 9山禪門 중 가장 먼저 개창된 禪宗山門이다. 그 開創祖인 洪涉은 道義와 함께 선정 初傳僧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이 글은 홍척선사가 신라하대 선종의 전래라는 시대적 ...

      實相山門은 소위 9山禪門 중 가장 먼저 개창된 禪宗山門이다. 그 開創祖인 洪涉은 道義와 함께 선정 初傳僧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이 글은 홍척선사가 신라하대 선종의 전래라는 시대적 과제에 어떻게 대응하였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홍척은 대략 770년대 초반에 출생하여 840년경에 입적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826년(흥덕왕 1)경에 귀국하여 南岳의 實相寺에 주석했다. 이후 830년(흥덕왕 5)경 흥덕왕과 宣康태자(金忠恭)의 초빙으로 왕실에 방문하여 說法하였고, 흥덕왕은 그를 國師로 책봉했던 듯하다. 홍척은 흥덕왕에게 자신이 전해온 선종의 내용과 당시의 정치적 상황에 대해 조언하였다.
      흥덕왕이 홍척에게 귀의하고 南宗禪을 받아들인 배경은 金憲昌의 난(822년)으로 촉발된 지방사회으 혼란을 안정시키기 위해서였다. 그리고 정치개혁의 사상적 뒷받침을 위해 홍척이 전해온 선종을 주목했던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당시 불교계의 일신을 위해 선종사상과 교단의 운영방식에 공감했던 듯하다.
      한편, 홍척은 선종의 수용을 위해서는 신라왕실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왕실을 통해 선종을 확산시키고자 했으며, 흥덕왕의 개혁정치에도 협조하였다. 아울러 선종에 대한 기존 불교계의 반발을 최소화하기 위해 敎學을 포용하는 자세를 견지하였다. 특히, 대중교화를 위해 실상사에 鐵佛을 조성하는 등 방편을 채용하였다. 이는 자신보다 앞서 귀국한 도의를 통해 얻은 反面敎師의 교훈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lsangsanmun is one sect of Zen Buddhism, which was founded as the earliest from among the so called nine Zen sect. Its founder, Hongcheok, is highly valued as the monk who first introduced Zen Buddhism, along with Doeui. This article is concerned wi...

      Silsangsanmun is one sect of Zen Buddhism, which was founded as the earliest from among the so called nine Zen sect. Its founder, Hongcheok, is highly valued as the monk who first introduced Zen Buddhism, along with Doeui. This article is concerned with a review of how Hongcheok, the Zen monk, responded to the assignment of his times, namely, the introduction to Zen Buddhism during the late Silla period.
      Hongcheok appears to have been born around the early 770s and to have entered into Nirvana around 840. After returning to Silla in 826(the first year of King Heungdeok), he was designated to the Silsangsa(Buddhist temple) of Namak. After that, he preached Buddhism by visiting a royal family by invitation from King Heungdeok and Prince Seongang(Kim Chung-gong) around 830(the fifth year of King Heungdeok), and King Heungdeok appeared to install him as a national monk. Hongcheok advised King Heungdeok about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times as well as the details of Zen Buddhism, which Hongcheok introduced.
      The background in which King Heungdeok converted to Hongcheok and accepted Namjongseon was to appease the chaos of local society, which was triggered by the uprising of Kim Heon-chang(822). Also, he seemed to have paid attention to Zen Buddhism introduced by Hongcheok in order to gain the ideological support of the political reformation. Furthermore, he appeared to be sympathetic with the operational pattern of Zen Buddhism’s ideology and denomination in the reformation of the Buddhist circle.
      Meanwhile, Hongcheok appeared to perceive the need for the support of the Silla royal family in accepting Zen Buddhism. He tried to distribute Zen Buddhism through the royal family, and was cooperative with King Heungdeok in reformative politics. Moreover, so as to minimize the resistance of the existing Buddhist circle, he stuck to embracing Gyohak. In particular, he introduced expedient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the steel Buddhist statue in Silsangsa for edifying the public. This was a lesson learned from a negative case, which he obtained from Doeui, who returned to Silla earlier than h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입당유학과 귀국
      • Ⅲ. 남악에서의 실상산문 개창
      • Ⅳ. 흥덕왕의 남종선 수용과 홍척의 대응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입당유학과 귀국
      • Ⅲ. 남악에서의 실상산문 개창
      • Ⅳ. 흥덕왕의 남종선 수용과 홍척의 대응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병헌, "羅末麗初 禪宗의 社會的 性格" 25 : 1975

      2 조범환, "羅末麗初 禪宗山門 開創 硏究" 景仁文化社 2008

      3 조범환, "후백제 견훤정권과 선종, In 후백제 견훤정권과 전주" 주류성 2001

      4 최광식, "한국 고대의 토착신앙과 불교"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7

      5 조인성, "태봉의 궁예정권" 푸른역사 2007

      6 추만호, "심원사 수철화상 능가보월탑비의 금석학적 분석" (1) : 1991

      7 김두진, "신라하대 선종사상사 연구" 일조각 2007

      8 안주홍, "신라 하대 문성왕대의 정국" 신라사학회 (19) : 83-127, 2010

      9 이영호, "신라 迦智山門의 法統과 位相 인식" 신라문화연구소 32 (32): 271-298, 2008

      10 김두진, "불교의 변화, In 한국사 11" 1996

      1 최병헌, "羅末麗初 禪宗의 社會的 性格" 25 : 1975

      2 조범환, "羅末麗初 禪宗山門 開創 硏究" 景仁文化社 2008

      3 조범환, "후백제 견훤정권과 선종, In 후백제 견훤정권과 전주" 주류성 2001

      4 최광식, "한국 고대의 토착신앙과 불교"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7

      5 조인성, "태봉의 궁예정권" 푸른역사 2007

      6 추만호, "심원사 수철화상 능가보월탑비의 금석학적 분석" (1) : 1991

      7 김두진, "신라하대 선종사상사 연구" 일조각 2007

      8 안주홍, "신라 하대 문성왕대의 정국" 신라사학회 (19) : 83-127, 2010

      9 이영호, "신라 迦智山門의 法統과 位相 인식" 신라문화연구소 32 (32): 271-298, 2008

      10 김두진, "불교의 변화, In 한국사 11" 1996

      11 차차석, "도의국사의 구법과 중국 선불교, In 도의국사 연구" 인북스 2010

      12 황선영, "나말여초 정치제도사 연구" 국학자료원 2002

      13 최인표, "나말려초 선종정책 연구" 한국학술정보(주) 2007

      14 추만호, "나말려초 선종사상사 연구" 이론과 실천 1992

      15 남동신, "나말려초 국왕과 불교의 관계" 한국역사연구회 (56) : 81-111, 2005

      16 김용선, "고려 금석문 연구" 일조각 2004

      17 최광식, "고대의 토착신앙과 불교, In 한국고대사입문 2" 신서원 2006

      18 허흥식, "高麗佛敎史硏究" 一潮閣 1986

      19 권상로, "韓國禪宗略史, In 白性郁博士頌壽記念佛敎學論文集" 1959

      20 고익진, "韓國古代 佛敎思想史" 東國大出版部 1989

      21 한기두, "韓國佛敎思想硏究" 一志社 1980

      22 이수건, "韓國中世社會史硏究" 一潮閣 1984

      23 조영록, "道義의 在唐 求法行程에 관한 연구 -祖堂集 관련기사의 비판적 검토-" 한국불교학회 (57) : 145-177, 2010

      24 김두진, "道義의 南宗禪 도입과 그 思想, In 江原佛敎史硏究" 小花 1996

      25 정동락, "通曉 梵日(810-889)의 生涯에 대한 再檢討" 24 : 2001

      26 한국고대사회연구소,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Ⅲ"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27 정구복, "譯註 三國史記 3 주석편(상)" 韓國精神文化硏究院 2001

      28 곽승훈, "統一新羅時代의 政治와 佛敎" 國學資料院 2002

      29 정동락, "秀澈和尙(815∼893)과 新羅王室" 3 : 2009

      30 최병헌, "禪宗九山의 成立과 下代佛敎, In 한국사 3" 1978

      31 허흥식, "禪宗九山門과 禪門祖師禮懺文의 問題點" 5 : 1983

      32 황수영, "知異山 實相寺事蹟(上)" 108 : 1970

      33 김복순, "眞鑑禪師(774∼850)의 생애와 불교사상에 관한 연구" 15 : 2000

      34 김정권, "眞鑑禪師 慧昭의 南宗禪 受容과 雙溪寺 創建" 27 : 1999

      35 김수태, "甄萱政權과 佛敎, In 후백제와 견훤" 百濟硏究所 2000

      36 김용선, "玄昱ㆍ審希ㆍ璨幽와 여주 고달사" 한국중세사학회 (21) : 111-139, 2006

      37 김영수, "片雲塔과 後百濟의 年號" 49 : 1928

      38 배재훈, "片雲和尙浮圖를 통해 본 實相山門과 甄萱政權" 백제연구소 (50) : 201-234, 2009

      39 정병삼, "深源寺 秀澈和尙塔碑, In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Ⅲ"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40 이지관, "校勘譯註 歷代高僧碑文 新羅篇" 1993

      41 김영수, "曹溪禪宗에 就하야" 9 : 1938

      42 이기동, "新羅骨品制社會와 花郞徒" 一潮閣 1984

      43 정성본, "新羅禪宗의 硏究" 民族社 1995

      44 이기동, "新羅社會史硏究" 一潮閣 1997

      45 한기문, "新羅末・高麗初의 戒壇寺院과 그 機能" 12 : 1988

      46 한기문, "新羅末 禪宗 寺院의 形成과 構造" 2 : 2001

      47 최병헌, "新羅下代 禪宗九山派의 成立" 7 : 1972

      48 권덕영, "新羅 遣唐使의 羅唐間 往復行路에 對한 考察" 149 : 1996

      49 최원식, "新羅 菩薩戒思想史 硏究" 民族社 1999

      50 김동수, "新羅 憲德・興德王代의 改革政治" 39 : 1982

      51 정선여, "新羅 中代末・下代初 北宗禪의 受容" 12 : 1997

      52 이계표, "新羅 下代의 迦智山門" 7 : 1993

      53 주보돈, "新羅 下代 金憲昌의 亂과 그 性格" 한국고대사학회 (51) : 233-279, 2008

      54 조범환, "新羅 下代 道義 禪師의 ‘雪嶽山門’ 開創과 그 向背" 신라문화연구소 34 (34): 219-239, 2009

      55 조범환, "新羅 下代 禪僧과 王室" 신라문화연구소 (26) : 259-281, 2005

      56 韓基汶, "新羅 下代 眞鑑禪師의 活動과 梵唄 敎化의 意義" 대구사학회 89 : 103-126, 2007

      57 김창겸, "新羅 下代 王位繼承 硏究" 景仁文化社 2003

      58 조범환, "新羅 下代 洪陟禪師의 實相山門의 개창과 鐵佛 조성" 6 : 2006

      59 권영오, "新羅 下代 政治史 硏究" 혜안 2011

      60 조범환, "新羅 下代 憲德王의 副君 설치와 그 정치적 의미" 진단학회 (110) : 31-54, 2010

      61 조범환, "新羅 下代 圓鑑禪師 玄昱의 南宗禪 受容과 活動"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5-28, 2008

      62 강재광, "文聖王代의 政局과 <昌林寺 無垢淨塔願記>造成의 정치적 배경" 7 : 2011

      63 김방룡, "後百濟와 中國과의 佛敎交流, In 후백제의 대외교류와 문화" 후백제문화사업회 2004

      64 조범환, "張保皐와 禪宗" 4 (4): 2002

      65 최영성, "崔致遠 思想 形成의 歷程에 대한 考察" 10 : 1998

      66 김영수, "實相寺誌" 1920

      67 허형욱, "實相寺百丈庵석탑의 五方神像에 관한 고찰" 미술사연구회 (19) : 3-30, 2005

      68 정선종, "實相寺 秀澈和尙塔碑의 陰記와 重建에 대하여" 11 : 2009

      69 최영성, "孤雲思想의 脈" 심산출판사 2008

      70 콘도 고이치, "南宗禪과 新羅社會" 7 : 2007

      71 김수태, "全羅道 地域 禪宗山門과 張保皐" 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2005

      72 김수태, "全州 遷都期 甄萱政權의 變化" 15 : 1999

      73 정동락, "元寂 道義의 생애와 禪사상" 한국중세사학회 14 : 5-54, 2003

      74 김영태, "九山禪門의 成立과 그 性格에 대하여" 9 : 1995

      75 김영태, "九山禪門 形成과 曹溪宗의 展開" 20 : 1990

      76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曹溪宗史≫-고중세편-" 조계종출판사 2004

      77 김복순, "9~10세기 신라 유학승들의 중국 유학과 활동반경" 한국역사연구회 (56) : 21-49, 2005

      78 김창겸, "8∼9세기 新羅 政治社會의 變化와 張保皐" (1) : 2002

      79 권덕영, "8,9세기 ‘君子國’에 온 唐나라 使節" 신라문화연구소 (25) : 93-120,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8 0.98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