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과제인 ‘티벳의 불교철학과 실천체계 연구’의 연구 목표를 제1차년도와 제2차년도로 구분하였다. 제1차년도는 티벳불교 성립의 역사적 배경과 더불어 티벳불교의 4대종파, 티벳의 불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61649
-
2010년
Korean
도의 세 가지 핵심 ; Tshong kha pa bro zang grags pa ; Kagyu ; sNying ma ; Lam rim ; gSung 'bum ; Tibetan Buddhism ; Tibet ; Virupa ; Lam 'bras ; Milarepa ; Marpa ; Naropa ; Tilopa ; 'dzog chen ; Padmasambhava ; dGelug ; Sakya ; Ngagrim chenmo. ; Lamrim chen mo ; pyod sgom ; 'jog sgom ; 평등심 ; 이타심 ; 보리심 ; 보살 ; 방편 ; 지혜 ; 인무아 ; 법무아 ; 공성 ; 빈 것 ; 살가야견 ; 아견 ; 실집 ; 법집 ; 샤마타 ; 보리도차제광론 ; 보리도차제약론 ; 비빠사나 ; 혼침 ; 도거 ; 구종심 ; 가라앉음 ; 들뜸 ; 도차제 ; 큰 사람의 도차제 ; 중간사람의 도차제 ; 작은 사람의 도차제 ; 죽음 ; 십이연기 ; 사제 ; 보리심 ; 육바라밀 ; 인연 ; 연기 ; 송젠감뽀 ; 치준 ; 문성 ; 티벳 ; 삼예 ; 토번 ; 몽골 ; 밀교 ; 인도 ; 달라이라마 ; 사캬 ; 샹슝 ; 구게 ; 암도 ; 카르마카규 ; 묀람첸모 ; 신년기원대법회 ; 겔룩빠. 게쉐 ; 논리학 ; 토론 ; 사자의 서 ; 죽음 ; 중음 ; 환생 ; 화생 ; 달라이 라마 ; 공성 ; 연기 ; 슈피겔지 ; 사성제 ; 폭력 ; 평화 ; 쫑카빠 ; 차제 점차 단계 ; 도차제광론 ; 티벳불교 ; 라마 ; 달라이라마 ; 보리도차제 ; 보리심 ; 이타심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과제인 ‘티벳의 불교철학과 실천체계 연구’의 연구 목표를 제1차년도와 제2차년도로 구분하였다. 제1차년도는 티벳불교 성립의 역사적 배경과 더불어 티벳불교의 4대종파, 티벳의 불교...
본 과제인 ‘티벳의 불교철학과 실천체계 연구’의 연구 목표를 제1차년도와 제2차년도로 구분하였다. 제1차년도는 티벳불교 성립의 역사적 배경과 더불어 티벳불교의 4대종파, 티벳의 불교문화, 달라이 라마의 활동에 대한 연구가 목표이며, 제2차년도는 티벳불교의 명상법, 람림(ram rim) 체계, <입보리행론>의 실천, <티벳 사자의 서>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그 목표이다.
제1차년도의 연구성과로는 연구책임자의 「티벳의 지관(止觀)수행체계 연구」이며 그 부제로서 -까말라쉴라(Kamalaśīla)의 수습차제(修習次第)를 중심으로-이다. 학진 등재지인 <한국선학>에 게재한 것을 필두로, 공동연구원의 「사마타 도(Zhi gnas dpe ris)와 도차제(ram rim)의 관계에 대한 검토」(<불교연구> 2010.2), 그리고, 「달라이 라마의 전법론(傳法論) 고찰」이다. 다른 하나는 「正月新年祈願大法會 묀람첸모(smon lam chen mo) 연구」로서 <몽골학>(한국몽골학회)에 게재 예정이다.
제2차년도의 연구성과는 연구책임자의 「<입보리행론>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공동연구원의 「조낭빠(Jonagpa))의 교의 체계와 수행 체계」, 「<티벳 사자의 서>에 나타난 생사관」, 「까말라쉴라(Kamalaśīla)의 단계적 해탈과 중국 천태지의의 차제론 비교연구」가 연구되고 있다.
연구 방법 및 진행은 문헌연구, 세미나, 현지연수 및 체험으로 이루어졌다. 주요 참고문헌 및 텍스트들을 구입하였으며, 일반적인 참고문헌들은 동국대학교 불교학자료실을 이용하였다. 주요 자료들을 복사할 수 있었으며, 불교문화연구원의 지원으로 동국대학교의 각종 행정 서비스를 받을 수 있었다. 연구공간과 비품은 물론 각종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었다. 더불어 회의실을 이용할 수 있었으며, 월 2회 이상 회의 및 세미나를 개최할 수 있었다.
특히 티벳불교 현지 체험을 통해 많은 원전자료 복사는 물론 티벳불교의 실천체계들을 체험할 수 있었다. 제1팀은 인도로부터 티벳에 들어온 티벳대장경의 이동 루트를 알기위해 수도 라싸 및 시가체 지역, 그리고 동부 칭하이성 일대의 사원의 서고(書庫)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제2팀은 네팔에 위치한 티벳불교의 중심지인 보더나트(Boudhanath)를 중심으로 딴뜨라불교 및 탕카(탱화)조사가 이루어졌다. 제3팀은 대만의 몽장위원회를 방문하여 티벳과 몽골의 교류 관계를 조사하였다. 세 팀이 조사하고 수집한 자료는 티벳불교의 발전을 위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우리의 연구과제인 ‘티벳의 불교철학과 실천체계 연구’의 발족과 함께 국내에서는 티벳불교 연구에 대한 붐이 발생했으며, 학계 및 불교계에 본격적인 티벳불교 연구가 진행된 점이 고무적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search objectives of this task of 'Research on Tibetan Buddhology and practice system' were divided into the 1st year and the 2nd year. The research objective of the 1st year was to study 4 denominations within Tibetan Buddhism, Tibetan Buddhist...
The research objectives of this task of 'Research on Tibetan Buddhology and practice system' were divided into the 1st year and the 2nd year. The research objective of the 1st year was to study 4 denominations within Tibetan Buddhism, Tibetan Buddhist civilization, activities of the Dalai Lama, Tenzin Gyatso as well as historical background for the establishment of Tibetan Buddhism. The research objective of the 2nd year was to study the meditation method of Tibetan Buddhism, system of ram rim, practice of <Bodhicaryavatara> and <Book of the Dead> in depth.
The research result of the 1st year is 「Research on the asceticism system of samatha vipasyana in Tibet」by the person in charge of this research (subtitle: focusing on the apprentice steps of Kamalaśīla), which was published on <Korean Adenology> that is an academic journal. Other research results of the 1st year are「Re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Zhi gnas dpe ris and ram rim」(<Research on Buddhism> Feb. 2010),「Study of missionary of the Dalai Lama」and 「Large Buddhist lecture meeting in January to pray for a new year, Research on smon lam chen mo」 by the collaborators. One of the collaborators' papers mentioned for the last time is going to be published on <Mogolianology> (The Korean Association for Mongolian Studies).
For the results of the 2nd year,「Research on <Bodhicaryavatara>」is being carried out by the person in charge of the research, and「<Dogma and practice systems of Jonagpa>」, 「View on life and death shown in <Book of the Dead>」and 「Comparative study on phased nirvana of Kamalaśīla and the study of Tentai Chi-i's steps>」are being researched by the collaborators.
The research methods and process have been carried out through documentary research, seminars, and on-site training and experiences. Main reference books and texts were purchased and general reference books were available for use in the reference room for Buddhism in Dongguk University. Main materials were available for copy in the reference room and various administrative services such as research space and equipment etc. were provided by the University through supports of the Korea Buddhist Research Institute. It was possible to use a conference room in the University as well as various infrastructures, and meetings and seminars were held more than twice a month in the conference room.
Especially, it was possible to copy a lot of original texts and to experience practice systems of Tibetan Buddhism through on-site experiences. The 1st team investigated libraries in the temples in Lasa and Xigaze, and the whole area of eastern Qinghai in order to find out the route of Tibetan Laws and Treatises that came into Tibet from India. The 2nd team investigated Tantra Buddhism and altar portraits of Buddha focusing on Boudhanath, which is the center of Tibetan Buddhism located in Nepal. The 3rd team visited the committee of Mongolia and Tibet in Taiwan and investigated the interchange relationship between Tibet and Mongolia. The materials investigated and collected by the 3 teams will become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ibetan Buddhism.
It is encouraging that a research boom on Tibetan Buddhism happened in Korea along with the beginning of our research task of 'Research on Tibetan Buddhology and practice system', and full-scale researches on Tibetan Buddhism are being carried out in the academic and Buddhist cir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