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e스포츠 관련 교육학적 연구의 동향과 특징 분석 =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eSports-related Educational Research in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926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e스포츠 교육 연구의 동향과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국내 KCI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 일반학술지, 석·박사 학위 논문을 포함하여 2006년부터 2025년까지 발표된 문헌 중 교육학적 접근을 시도한 22건의 연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e스포츠 교육 연구는 2020년을 기점으로 매우 증가했고, 연도별로 뚜렷한 주제적 흐름을 보였다. 2020년 이전에는 e스포츠의 교육적 활용과 특수교육 맥락의 적용이 시도되었으며, 2020년에는 e스포츠 교육의 정당화와 교육 목적 정립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2021년에는 교육 설계와 교육과정 연계 모색이, 2022년에는 학교 체육과 e스포츠의 통합 연구가 심화 되었다. 2023년에는 e스포츠 교육의 가치 확장과 교육과정 체계화가 진행되었으며, 2024년에는 교육공학적인 접근 확대와 교육의 다각화가 이루어졌다. 2025년에는 e스포츠 교육의 가치체계 확립과 윤리적 접근이 시작되었다. 참여 연구자 네트워크 분석 결과, 경성대, 대구대, 한국외대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e스포츠 교육연구가 단순한 직업 교육을 넘어 미래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 방법으로서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며, 교육학 연구자들의 e스포츠 교육 연구 참여 확대를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e스포츠 교육 연구의 동향과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국내 KCI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 일반학술지, 석·박사 학위 논문을 포함하여 2006년부터 2025년까지 발표된 문헌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e스포츠 교육 연구의 동향과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국내 KCI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 일반학술지, 석·박사 학위 논문을 포함하여 2006년부터 2025년까지 발표된 문헌 중 교육학적 접근을 시도한 22건의 연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e스포츠 교육 연구는 2020년을 기점으로 매우 증가했고, 연도별로 뚜렷한 주제적 흐름을 보였다. 2020년 이전에는 e스포츠의 교육적 활용과 특수교육 맥락의 적용이 시도되었으며, 2020년에는 e스포츠 교육의 정당화와 교육 목적 정립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2021년에는 교육 설계와 교육과정 연계 모색이, 2022년에는 학교 체육과 e스포츠의 통합 연구가 심화 되었다. 2023년에는 e스포츠 교육의 가치 확장과 교육과정 체계화가 진행되었으며, 2024년에는 교육공학적인 접근 확대와 교육의 다각화가 이루어졌다. 2025년에는 e스포츠 교육의 가치체계 확립과 윤리적 접근이 시작되었다. 참여 연구자 네트워크 분석 결과, 경성대, 대구대, 한국외대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e스포츠 교육연구가 단순한 직업 교육을 넘어 미래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 방법으로서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며, 교육학 연구자들의 e스포츠 교육 연구 참여 확대를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eSports education research in Korea. The analysis included 22 studies with educational approaches published from 2006 to 2025, encompassing KCI-listed journals, candidate journals, general academic journals, and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Results showed that eSports education research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020, with distinct thematic progressions by year. Before 2020, research focused on educational applications of eSports and its implementation in special education contexts. In 2020, studies primarily justified eSports education and established educational objectives. In 2021, research explored educational design and curriculum integration, while 2022 saw deepened integra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eSports. In 2023,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values and systematization of curricula progressed, and 2024 witnessed diversification in educational approaches and increased educational technology applications. By 2025, research began establishing value systems for eSports education and initiating ethical approaches. The social network analysis of researchers revealed that research was primarily conducted at Kyungsung University, Daegu University, and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his study suggests that eSports education research holds potential beyond vocational education as an educational method for developing future competencies, and recommends broader participation of education researchers in eSports education research.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s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eSports education research in Korea. The analysis included 22 studies with educational approaches published from 2006 to 2025, encompassing KCI-listed journals, candidate journals, general academic...

      This study analyzes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eSports education research in Korea. The analysis included 22 studies with educational approaches published from 2006 to 2025, encompassing KCI-listed journals, candidate journals, general academic journals, and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Results showed that eSports education research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020, with distinct thematic progressions by year. Before 2020, research focused on educational applications of eSports and its implementation in special education contexts. In 2020, studies primarily justified eSports education and established educational objectives. In 2021, research explored educational design and curriculum integration, while 2022 saw deepened integra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eSports. In 2023,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values and systematization of curricula progressed, and 2024 witnessed diversification in educational approaches and increased educational technology applications. By 2025, research began establishing value systems for eSports education and initiating ethical approaches. The social network analysis of researchers revealed that research was primarily conducted at Kyungsung University, Daegu University, and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his study suggests that eSports education research holds potential beyond vocational education as an educational method for developing future competencies, and recommends broader participation of education researchers in eSports education research.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