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반향이 있는 환경에서 스피커 에레이를 이용하여 소리를 집중 시키는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각 스피커에서 원하는 지점까지의 시스템 응답 함수의 에너지 합을 최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069703
백순호 (연세대학교) ; 송명석 (연세대학교) ; 강홍구 (연세대학교) ; 이석필 (전자부품연구원) ; Baek, Soon-Ho ; Song, Myung-Suk ; Kang, Hong-Goo ; Lee, Seok-Pil
2009
Korean
KCI등재,SCOPUS,ESCI
학술저널
548-556(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반향이 있는 환경에서 스피커 에레이를 이용하여 소리를 집중 시키는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각 스피커에서 원하는 지점까지의 시스템 응답 함수의 에너지 합을 최대...
본 논문에서는 반향이 있는 환경에서 스피커 에레이를 이용하여 소리를 집중 시키는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각 스피커에서 원하는 지점까지의 시스템 응답 함수의 에너지 합을 최대화함으로써 반향이 있는 환경에서도 원하는 지점에서의 음압을 최대화할수 있다. 기존에 제안된 광대역 빔 형성기 (Broadband beamformer)를 이용한 소리 집중 기술의 반향 환경 하에서의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본 후, 제안 방법이 갖는 장점을 서술한다. 16채널로 구성된 스피커 어레이 시스템을 이용한 실험 결과를 통해 반향이 있는 환경에서 제안 방법이 음압 집중도 측면에서 기존 방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roposes an efficient speaker array system to spotlight a sound into a target position in a reverberant environment. The proposed method introduces a criterion of maximizing the energy of system response from each channel to the target posi...
This paper proposes an efficient speaker array system to spotlight a sound into a target position in a reverberant environment. The proposed method introduces a criterion of maximizing the energy of system response from each channel to the target position. Simulation results with a sixteen channel speaker array system prove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that of the conventional method that uses a broadband beamformer in a reverberant environment.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순호, "제약 조건 하에서의 최적화 기법에 기반한 사운드 빔 형성 기술" 27 (27): 25-, 2008
2 이찬희, "스피커 배열을 이용한 개인용 모니터와 TV의 오디오 시스템"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8 (18): 701-710, 2008
3 F. Kusunoki, "Sound Spot: A Next-generation Audio-guide System for Museums" 272-273, 2007
4 M. Song, "Simulation and Measurement of Sound Beam Forming by Speaker-Array in Room Reverberation Environment" 1050-1054, 2008
5 K. Sakaya, "Measurement of 3D Sound Field Formed by Orthogonal Lines Speaker Array" 2757-2762, 2004
6 Yu Fukasawa, "Implementation of Luggable Linear Speaker Array System and Formation of Sound Spot" 668-671, 2007
7 Jont B. Allen, "Image Method for Efficiently Simulating Small-Room Acoustics" 65 (65): 943-950, 1979
8 Barr D. Van Veen, "Beamforming: A Verstaile Approach to Spatial Filtering" 5 (5): 4-24, 1988
9 Edwin K.P. Chong, "An Introduction to Optimization second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2001
1 백순호, "제약 조건 하에서의 최적화 기법에 기반한 사운드 빔 형성 기술" 27 (27): 25-, 2008
2 이찬희, "스피커 배열을 이용한 개인용 모니터와 TV의 오디오 시스템"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8 (18): 701-710, 2008
3 F. Kusunoki, "Sound Spot: A Next-generation Audio-guide System for Museums" 272-273, 2007
4 M. Song, "Simulation and Measurement of Sound Beam Forming by Speaker-Array in Room Reverberation Environment" 1050-1054, 2008
5 K. Sakaya, "Measurement of 3D Sound Field Formed by Orthogonal Lines Speaker Array" 2757-2762, 2004
6 Yu Fukasawa, "Implementation of Luggable Linear Speaker Array System and Formation of Sound Spot" 668-671, 2007
7 Jont B. Allen, "Image Method for Efficiently Simulating Small-Room Acoustics" 65 (65): 943-950, 1979
8 Barr D. Van Veen, "Beamforming: A Verstaile Approach to Spatial Filtering" 5 (5): 4-24, 1988
9 Edwin K.P. Chong, "An Introduction to Optimization second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2001
골다공증 여성에서 요추골 밑 대퇴골 부위의 골밀도와 종골 음속 사이의 상관관계
개선된 머리전달함수를 이용한 3차원 입체음향 성능 개선 연구
다양한 잡음 환경하에서 환경 군집화를 통한 화자 및 환경 동시 적응
대용량 복수후보 TTS 방식에서 합성용 DB의 감량 방법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3 | 0.23 | 0.2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 | 0.18 | 0.398 | 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