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지리정보의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안 정립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stablishing a Metadata Standard for Facilitating the Usage of the GEographic Inform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089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GIS projects have been widely proceeded by the central and municipal governments and the higher cost for proceeding the NGIS projec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data sharing among related agencies. For supporting data sharing, effective data generation, and management. "THE GUIDELINE FOR MANAGING AND DOCUMENTING GEOGRAPHIC INFORMATION CATALOGUES" has been established and enforced since the year 2002. Although metadata for distributing geographic information through the NGIS distribution network has already been installed, this needs to be complimented to maximize the data utilization. based on such requirements, a draft standard of the national metadata which is compliant with the ISO 19115 has been proposed from this study. All components of the metadata for ditributing geographic information have been derived from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Based on this, draft national metadata standards comprised of 13 sections have been made. The metadata standards from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building basic standards to access and to utilize geographic information in various application field. This would also be fundamental base for activation GIS in public and private sectors.
      번역하기

      NGIS projects have been widely proceeded by the central and municipal governments and the higher cost for proceeding the NGIS projec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data sharing among related agencies. For supporting data sharing, effective data ge...

      NGIS projects have been widely proceeded by the central and municipal governments and the higher cost for proceeding the NGIS projec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data sharing among related agencies. For supporting data sharing, effective data generation, and management. "THE GUIDELINE FOR MANAGING AND DOCUMENTING GEOGRAPHIC INFORMATION CATALOGUES" has been established and enforced since the year 2002. Although metadata for distributing geographic information through the NGIS distribution network has already been installed, this needs to be complimented to maximize the data utilization. based on such requirements, a draft standard of the national metadata which is compliant with the ISO 19115 has been proposed from this study. All components of the metadata for ditributing geographic information have been derived from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Based on this, draft national metadata standards comprised of 13 sections have been made. The metadata standards from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building basic standards to access and to utilize geographic information in various application field. This would also be fundamental base for activation GIS in public and private secto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중앙정부나 지자체를 중심으로 국가지리정보체계(NGIS)구축사업이 광범위하게 추진되고 있는 지금, 지리정보구축에 소요되는 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각 기관들에 산재된 지리정보의 공동 활용이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리정보 생산 및 관리의 효율성과 이용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지리정보 목록의 작성 및 관리에 관한 지침’이 2002년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다. 이와 함께 국가지리정보유통망을 통한 지리정보의 활용을 증진하기 위한 유통용 메타데이터 표준이 제정되어 있지만, 지리정보관리기관의 효율적인 지리정보 관리를 위해서는 부족한 부분이 많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 지침에 의거하여 ISO 19115에 부합되는 국가메타데이터 표준(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국가메타데이터 표준(안)은 유통용 메타데이터 표준을 모두 수용하고, 기존 메타데이터와의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지리정보 관리를 위한 관리용 메타데이터 항목을 추가하여 총 13개의 섹션으로 설계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국가메타데이터 표준(안)을 통해서 우선 사용 목적에 맞는 다양한 지리정보를 검색하고 활용하기 위한 표준화된 기반이 구축되어 공공부문 및 민간부문의 GIS 활성화를 위한 커다란 초석이 마련될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중앙정부나 지자체를 중심으로 국가지리정보체계(NGIS)구축사업이 광범위하게 추진되고 있는 지금, 지리정보구축에 소요되는 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각 기관들에 산재된 지리정보의 공...

      중앙정부나 지자체를 중심으로 국가지리정보체계(NGIS)구축사업이 광범위하게 추진되고 있는 지금, 지리정보구축에 소요되는 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각 기관들에 산재된 지리정보의 공동 활용이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리정보 생산 및 관리의 효율성과 이용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지리정보 목록의 작성 및 관리에 관한 지침’이 2002년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다. 이와 함께 국가지리정보유통망을 통한 지리정보의 활용을 증진하기 위한 유통용 메타데이터 표준이 제정되어 있지만, 지리정보관리기관의 효율적인 지리정보 관리를 위해서는 부족한 부분이 많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 지침에 의거하여 ISO 19115에 부합되는 국가메타데이터 표준(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국가메타데이터 표준(안)은 유통용 메타데이터 표준을 모두 수용하고, 기존 메타데이터와의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지리정보 관리를 위한 관리용 메타데이터 항목을 추가하여 총 13개의 섹션으로 설계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국가메타데이터 표준(안)을 통해서 우선 사용 목적에 맞는 다양한 지리정보를 검색하고 활용하기 위한 표준화된 기반이 구축되어 공공부문 및 민간부문의 GIS 활성화를 위한 커다란 초석이 마련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0-05-01 평가 학술지 폐간(기타)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br>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KCI등재
      2007-12-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br>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br>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KCI등재후보
      2005-08-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개방형지리정보시스템학회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br>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