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의 표면오염물 분석 및 손상메커니즘 해석 = Deterioration Mechanism Interpretation and Surface Contaminant Analysis of the Five-Storied Stone Pagoda in Tapriri, Uise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694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국보 제77호)은 통일신라시대의 대표적인 석조문화재이다. 현재 이 석탑은 지속적인 풍화로 인해 전체적으로 흑색, 황색, 백색변색이 발생되어 있으며 백색변색이 발...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국보 제77호)은 통일신라시대의 대표적인 석조문화재이다. 현재 이 석탑은 지속적인 풍화로 인해 전체적으로 흑색, 황색, 백색변색이 발생되어 있으며 백색변색이 발생한 부분에서 미세균열, 박리박락, 입상분해가 집중적으로 분포해 있다. 표면오염물에 대한 분석결과, 흑색변색은 망간산화물, 황색변색은 철산화물, 백색변색은 석고와 타라나카이트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석탑에 발생한 물리적 훼손은 암석내부에서 석고의 결정화 작용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을 장기적으로 보존하기 위해서는 보존처리 매뉴얼에 따라 석고를 중심으로 표면오염물을 제거하고 P-XRF를 활용한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Uiseong Tapriri Five-Storied Stone Pagoda (National Treasure No. 77) is typical stone cultural heritage in Unified Silla Dynasty, Korea. The pagoda has been occurred black, brown discoloration and microcrack, exfoliation, granularity decomposition...

      The Uiseong Tapriri Five-Storied Stone Pagoda (National Treasure No. 77) is typical stone cultural heritage in Unified Silla Dynasty, Korea. The pagoda has been occurred black, brown discoloration and microcrack, exfoliation, granularity decomposition with white discoloration because of continuous weathering. As the results of analysis for the contaminants, chemical weatherings are generated that black contaminant by manganese oxide, brown contaminant by iron oxide, white contaminants by gypsum and taranakite. And physical weatherings, such as microcrack, exfoliation, are occurred by salt(gypsum) crystallization. Therefore, these need to remove the contaminants according to the conservation treatment manual, and regular monitoring using P-XRF to preserve long-term the Five-Storied Stone Pagoda at Tapri-ri, Uiseo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성미,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의 재질특성과 풍화훼손도 평가"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4 (24): 23-36, 2008

      2 이미혜,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의 표면오염물 분석 및 손상메커니즘 해석"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46 (46): 445-453, 2013

      3 이정은, "영천 신월동삼층석탑의 재질특성과 훼손도 정량평가"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6 (26): 349-360, 2010

      4 이동식, "석조문화재 표면 산화물의 산출상태와 지구화학적 거동: 익산 미륵사지 석탑"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40 (40): 375-387, 2007

      5 전유근, "등록문화재 제255호 영양 구 용화광산 선광장의 비파괴 훼손도 진단"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8 (28): 235-245, 2012

      6 김지영, "경주석빙고의 정량적 훼손도 평가와 미기후환경 분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5 (25): 25-38, 2009

      7 Lee, C.H., "Weathering damage evaluation of rock properties in the Bunhwangsa temple stone pagoda, Gyeongju, Republic of Korea" 52 : 1193-1205, 2007

      8 Yun, S. H., "Volcanic Activity and Cauldron Structure of the Geumseongsan Volcanic Complex" 29 : 309-323, 1993

      9 Aref, M. A. M., "The role of salt weathering in the origin of the Qattara Depression. Western Desert, Egypt" 45 : 181-195, 2002

      10 Kuchitsu, N., "Salt weathering of the brick monuments in Ayutthaya, Thailand" 55 : 91-99, 1999

      1 박성미,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의 재질특성과 풍화훼손도 평가"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4 (24): 23-36, 2008

      2 이미혜,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의 표면오염물 분석 및 손상메커니즘 해석"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46 (46): 445-453, 2013

      3 이정은, "영천 신월동삼층석탑의 재질특성과 훼손도 정량평가"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6 (26): 349-360, 2010

      4 이동식, "석조문화재 표면 산화물의 산출상태와 지구화학적 거동: 익산 미륵사지 석탑"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40 (40): 375-387, 2007

      5 전유근, "등록문화재 제255호 영양 구 용화광산 선광장의 비파괴 훼손도 진단"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8 (28): 235-245, 2012

      6 김지영, "경주석빙고의 정량적 훼손도 평가와 미기후환경 분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5 (25): 25-38, 2009

      7 Lee, C.H., "Weathering damage evaluation of rock properties in the Bunhwangsa temple stone pagoda, Gyeongju, Republic of Korea" 52 : 1193-1205, 2007

      8 Yun, S. H., "Volcanic Activity and Cauldron Structure of the Geumseongsan Volcanic Complex" 29 : 309-323, 1993

      9 Aref, M. A. M., "The role of salt weathering in the origin of the Qattara Depression. Western Desert, Egypt" 45 : 181-195, 2002

      10 Kuchitsu, N., "Salt weathering of the brick monuments in Ayutthaya, Thailand" 55 : 91-99, 1999

      11 Chapman, R. W., "Salt weathering by sodium chloride in the Saudi Arabian Desert" 280 : 116-129, 1980

      12 Winkler, E.M., "Salt burst by Hydration pressures in architectural stone in urban atmosphere" 81 : 567-572, 1970

      13 Benavente, D., "Role of pore structure in salt crystallisation in unsaturated porous stone" 260 : 532-544, 2004

      14 Sperling, C.H.B, "Laboratory simulation of rock weathering by salt crystallization and hydration processes in hot, arid environments" 10 : 541-555, 1985

      15 Anthony, John W., "Handbook of Mineralogy: Aresenates, Phosphates, Vanadates, IV" 1995

      16 Correns, C. W., "Growth and dissolution of crystals under linear pressure" 5 : 267-271, 1949

      17 Lee, D. S., "Formation of Efflorescence and Dissolving Experiments for Removing Control on the Stone Pagoda of the Mireuksaji Temple Site, Iksan, Korea" 19 : 5-18, 2006

      18 Goudie, A. S., "Experimental salt weathering of limestones in relation to rock properties" 24 : 715-724, 1999

      19 Carlos, R. N., "Effects of ferrocyanide ions on NaCl crystallization in porous stone" 243 : 503-516, 2002

      20 Jin, H. S., "Aesthetic vale of a sculpture of Stone Pagoda in Korea" 1-21, 1965

      21 Kim, S.S., "A study on the change of rock properties using artificial weathering test" 36 : 141-149, 1999

      22 Lee, S. C., "A study on the Korean Brick-shaped Stone Pagoda"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27 0.625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