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고문서 패자牌子는 주로 전통시대의 매매 과정에서 작성된 위임장 성격의 문서라는 측면에서 주로 검토되었다. 그러나 현전하는 고문서 가운데에는 궁방의 도서패자, 서원의 패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7046950
200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95-330(36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고문서 패자牌子는 주로 전통시대의 매매 과정에서 작성된 위임장 성격의 문서라는 측면에서 주로 검토되었다. 그러나 현전하는 고문서 가운데에는 궁방의 도서패자, 서원의 패자...
지금까지 고문서 패자牌子는 주로 전통시대의 매매 과정에서 작성된 위임장 성격의 문서라는 측면에서 주로 검토되었다. 그러나 현전하는 고문서 가운데에는 궁방의 도서패자, 서원의 패자, 관패자 등과 같이 발급 주체에 따라 여러 패자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패자를 유형별로 나누어 그 특징을 살펴보고 패자의 문서학적 성격을 고찰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좁은 의미에서 패자라고 분류될 수 있는 문서는 나름의 정형적인 문서식이 존재한다. 문서명(牌子/牌旨, 생략가능), 수취자(+處/付), 본문, 발급일자, 발급자, 서명 또는 답인의 형식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요소는 아주 엄격하게 준수되지는 않았지만, 대부분 이와 같은 격식을 갖추고 있다.
패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성격을 띠고 있다. 첫째, 사회적ㆍ신분적으로 우위에 있는 사람이나 단체가 상대적으로 하위에 있는 사람에게 특정한 일에 대한 이행을 지시하거나 어떤 사실을 통보할 때 사용하였다. 둘째, 패자는 패자의 전달과 동시에 그 수취자로 하여금 해당 사항에 대한 이행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셋째, 문서 자체가 문서 발급자의 권위를 대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til recently, Paeja(牌子), a type of historical document, were dealt with in the side view of a letter of an attorney when dealing with property. However, there are several types of Paeja, including Paeja marked with a stamp from a palace estate, ...
Until recently, Paeja(牌子), a type of historical document, were dealt with in the side view of a letter of an attorney when dealing with property. However, there are several types of Paeja, including Paeja marked with a stamp from a palace estate, Paeja from a private academy(書院) and the Paeja of public office. This paper concentrates on the categorical and phil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eja.
Paeja are typically set out in a standard format, consisting of a title(牌子or 牌旨), the receiver's name(+處or 付), an idiomatic phrase, the date, the sender's name, and a signature or stamp. This format may not always have been strictly observed, but it has been applied in the majority of cases.
Paeja typically have several characteristics. First, Paeja addressed specific affairs and were sent by a high-ranking individual to people at a lower social or organizational level. Second, Paeja strongly required the receiver to perform the duty as soon as possible. Third, Paeja represented and illustrated the sender's authori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사데이터베이스,
2 "龍洞宮謄錄 영인본" 正文社 1982
3 "호남기록문화정보시스템"
4 정승혜, "한글 土地賣買明文과 배지(牌旨)에 대하여" 구결학회 1999
5 "한국고전종합DB"
6 김혁, "특권문서로 본 조선사회" 지식산업사 2008
7 홍은진, "조선후기 한글 고문서의 양식" 한국고문서학회 16 : 2000
8 "조선왕조실록"
9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10 "국가기록유산"
1 한국사데이터베이스,
2 "龍洞宮謄錄 영인본" 正文社 1982
3 "호남기록문화정보시스템"
4 정승혜, "한글 土地賣買明文과 배지(牌旨)에 대하여" 구결학회 1999
5 "한국고전종합DB"
6 김혁, "특권문서로 본 조선사회" 지식산업사 2008
7 홍은진, "조선후기 한글 고문서의 양식" 한국고문서학회 16 : 2000
8 "조선왕조실록"
9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10 "국가기록유산"
11 "고문서 30"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2 박병호, "韓國法制史攷" 법문사 1974
13 "震覽 필사본(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14 박병호, "近世의 法과 法思想" 진원 1996
15 朝鮮總督府中樞院, "民事慣習回答彙集" 1933
16 內藤吉之助, "朝鮮民政資料牧民篇" 1942
17 김성갑, "朝鮮時代 明文에 관한 文書學的 硏究" 한국학대학원 2007
18 "古文書集成 1~96집" 한국학중앙연구원
19 전경목, "儒胥必知" 사계절 2006
『영영전』의 인간관계 분석과 문학치료 텍스트로서의 가치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8-0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Studies Adancement Center ->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5 | 0.65 | 0.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6 | 0.62 | 1.324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