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영국의 웨슬리 성화운동과 미국 A.B. Simpson의 사중복음 ― 성결교 신학의 토대: 연속성과 발전과정을 중심으로 = John Wesley and A.B. Simpson: Theological development and Continuity for the foundation of Sungkyul(holiness) The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256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도운동으로 1907년 시작된 한국의 성결교회(기성, 예성)는 한국 개신교의 3대 교단이라고 할 만큼 외적인 성장을 경험하였다. 그러나 성결교회의 신학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일은 외적인 성...

      전도운동으로 1907년 시작된 한국의 성결교회(기성, 예성)는 한국 개신교의 3대 교단이라고 할 만큼 외적인 성장을 경험하였다. 그러나 성결교회의 신학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일은 외적인 성장을 따라잡지 못하였다. 여전히 성결교회 신학의 정체성에 관한 다양한 신학적 견해들이 경쟁하며 공존하고 있다. 기성과 예성의 대부분의 웨슬리 학자들은 웨슬리 신학이 성결교회의 신학의 기초임을 주장하는 데 반하여, 또 다른 학자들은 사중복음을 성결교 신학의 정체성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웨슬리 신학과 사중복음이 상호배타적이거나 대립적인 신학체계가 아니라 신학적으로 연속선상에 있으며 발전과정에 있다는 것이다. 웨슬리신학이 아니라면 사중복음이라는 방식의 either/or (이것이냐, 저것이냐)의 양자택일의 방식으로 몰아가는 것은 웨슬리 신학과 사중복음에 대한 강한 역사적/신학적 편협성의 결과이다. 이러한 학자들의 간의 신학적 불일치에 의하여 현장의 목회자들과 신학생들은 성결교 신학의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느낄 수밖에 없다. 이제 이러한 혼란을 불식시키고 무엇이 성결교회의 신학인가를 다음세대의 성결교회 지도자들에게 분명하게 밝혀 줄 시기가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반응하기 위하여 한국 성결교회의 신학적이 기반이 되는 존 웨슬리의 성화론과 A. B. 심프슨의 사중복음을 연구하는 일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한다. 즉, 성결교 신학의 정립을 위해서는 존 웨슬리의 성화론을 연구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 아울러 A. B. Simpson 의 사중복음에 대한 연구 또한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것이다. 한국의 성결교회는 어느 날 갑자기 진공상태에서 탄생된 교단이 아니다. 기독교 역사의 큰 물줄기의 한 흐름 가운데서 시대적 요청에 의하여 필연적으로 생성된 교회라고 할 것이다. 기독교 역사의 물줄기에는 항상 “성화”에 대한 강조점이 있었다. 웨슬리는 이 성화교리를 강조하며 발전시켰으며 19세기 북미를 초교파적으로 휩쓴 성결운동의 신학적 토대가 되었다. 북미의 성결운동은 성결 교리를 중심으로 사중복음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는데 이 사중복음이라는 용어를 신학적으로 정리하고 최초로 사용한 인물이 A. B. Simpson이다. 그리고 웨슬리의 심프슨의 성결운동은 한국 성결교회에 역사적/신학적으로 큰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이들의 신학적 특징 내지 공통점은 곧 성결교회 신학의 특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므로 성결론을 중심으로 웨슬리의 구원론과 심프슨의 사중복음을 연속성과 공통점을 중심으로 파악하는 작업은 한국 성결교회 신학의 정체성을 찾아 가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신학적 작업이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its foundation in 1907, Korea Holiness Church (including Jesus Holiness and Christ Holiness) has experienced a significant outward growth in terms of its membership and the number of local churches. However, it has failed to build up its theolog...

      Since its foundation in 1907, Korea Holiness Church (including Jesus Holiness and Christ Holiness) has experienced a significant outward growth in terms of its membership and the number of local churches. However, it has failed to build up its theological foundation and identity. As a result, there has been different theological views and diversities in the denomination. For this reason, the members of the church and the theological students of the theological seminaries which belong to the denomination have been confused for their theological identity. While Wesley scholars in the denomination argue that John Wesley`s theology is the theological foundation, other historical-theology scholars insist that the four-fold gospel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the second coming of Christ) should be the theological foundation for the denomination. Some argue that if Wesley`s theology is the foundation of denomination, there is no theological difference between the Methodist Church and the Holiness Church. They argue that, therefore, the four-fold gospel should be the theological foundation for the denomination. However, there is one thing we should remember: John Wesley`s theology and the four-fold gospel are not mutually exclusive but complementary each other. In order to articulate a theological foundation for the Holiness church, Wesley`s theology, as well as, A.B. Simpson`s four-fold gospel should be studied. Korea Holiness Church has its significant root historically and theologically derived from John Wesley and A. B. Simpson. John Wesley`s doctrine of sanctification has deeply influenced on the 19th century holiness movement of North America. And the movement was the direct influence for the foundation of Korea Holiness Church. Therefore one should not neglect any of these two theological streams. With special reference to Wesley`s doctrine of sanctification and A.B. Simpson`s four-fold gospel, one should focus on their theological development and continuity rather than discontinu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종남, "한국성결교회의 신학적 정체성: 신학적 강조점" (가을) : 2009

      2 김진두, "존 웨슬리의 생애" 도서출판 kmc 2006

      3 한영태, "웨슬리의 조직신학" 성광문화사 1993

      4 William M. Greathouse, "웨슬리의 신학원류" 생명줄간 1987

      5 이성주, "웨슬리 신학" 성지원 1987

      6 목창균, "심프슨의 생애와 사상" (봄) : 2011

      7 오희동, "성결교회와 웨슬리 신학, In 예성신학의 이해와 신조해설" 성결대학교 출판부 2010

      8 정상운, "사중복음" 성결교회와 역사연구소 2005

      9 박명수, "근대사회와 복음주의" 한들출판사 2008

      10 Tozer, A. W., "Wingspread: A. B. Simpson A Study in Spiritual Altitude" Christian Publications 1943

      1 조종남, "한국성결교회의 신학적 정체성: 신학적 강조점" (가을) : 2009

      2 김진두, "존 웨슬리의 생애" 도서출판 kmc 2006

      3 한영태, "웨슬리의 조직신학" 성광문화사 1993

      4 William M. Greathouse, "웨슬리의 신학원류" 생명줄간 1987

      5 이성주, "웨슬리 신학" 성지원 1987

      6 목창균, "심프슨의 생애와 사상" (봄) : 2011

      7 오희동, "성결교회와 웨슬리 신학, In 예성신학의 이해와 신조해설" 성결대학교 출판부 2010

      8 정상운, "사중복음" 성결교회와 역사연구소 2005

      9 박명수, "근대사회와 복음주의" 한들출판사 2008

      10 Tozer, A. W., "Wingspread: A. B. Simpson A Study in Spiritual Altitude" Christian Publications 1943

      11 Outler, Albert C., "The works of John Wesley. Vols. 1−4" Abingdon Press 1984

      12 Jackson, Thomas, "The Works of the Reverend John Wesley. 14 vols" Weslyan Conference Office 1872

      13 Cannon, William R., "The Theology of John Wesley: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Abingdon Press

      14 Collins, Kenneth J., "The Scripture Way of Salvation: The Heart of John Wesley’s Theology" Abingdon 1997

      15 Cell, George C., "The Rediscovery of John Wesley" Henry Holt and Company 1935

      16 Simpson, A. B., "The Name of Jesus" Christian Alliance Publishing 1891

      17 Telford, John, "The Letters of the Reverend John Wesley, A.M. 8 vols" Epworth Press 1931

      18 Curnock, Nehemiah, "The Journal of the Rev. John Wesley, 8 vols" The Epworth Press 1909

      19 Simpson, A. B., "The Gospel of Healing" Christian Alliance Publishing 1915

      20 Simpson, A. B., "The Fourfold Gospel" Christian Alliance Publishing Co 1887

      21 Simpson, A. B., "The Christian Life" Christian Alliance Publishing 1912

      22 Heitzenrater, Richard P., "Mirror and Memory: Reflections on Early Methodism" Kingswood Books 1989

      23 Yrigoyen, Charles Jr., "John Wesley: Holiness of Heart and Life" Abingdon Press 1996

      24 Coppedge, Allan, "John Welsey in Theological Debate" Wesley Heritage Press 1988

      25 Dys, Pat, "He Obeyed God: The Story of A. B. Simpson" Christian Publications 1986

      26 Thompson, A. E., "A. B. Simpson His Life and Work" Christian Alliance Publishing Co 1920

      27 Collins, Kenneth J., "A Real Christian Life: The Life of John Wesley" Abingdon Press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5-05-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신학과선교 -> 신학과 선교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2009-06-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목회선교연구소 -> 기독교신학연구소
      영문명 :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 Christian Theology Institute Center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