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독립운동을 도운 미국인 = Americans who helped Koreaʼs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글은 해방이전 미국에서 한국독립운동을 도운 미국인들은 어떤 인물이었는가를 고찰한 논문이다. 그동안 미국인의 신분으로 한국독립운동을 도운 인물에 대한 연구는 몇몇 국내 선교사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미국 내에서 미국인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 독립을 위해 벌인 활동과 업적을 제대로 조명해 본 적은 거의 없었던 것 같다. 때문에 국내에서 활동한 미국인들과 달리 미국에서 활동한 미국인들 중에 한국 독립 유공자로 인정받은 인물은 단 한명도 나오지 못했다. 이것은 미국에서 한국 독립을 위해 활동한 미국인들의 수나 활동의 질이 국내의 것보다 훨씬 적었거나 미약했기 때문이 아니었다.
      그동안 미국 현지에서 한국독립을 돕는데 앞장선 미국인들에 대해 주목하지 못한 주된 요인은 미국인 중심으로 한국문제를 바라보고자 하는 관심과 관점의 부족 때문이었다. 한국의 독립문제를 한국인의 시각에서 만 보려고 했던 것이 외국인, 특히 미국인의 활동상을 간과했던 것 같다. 본고는 이런 점을 감안하여 3 ?1운동시기부터 제2차 세계대전시기까지 미국에서 한국인과 한국 문제에 관심을 갖고 한국 독립을 도운 미국인에 대해 집중 조명하였다.
      국내 3?1운동의 소식과 영향은 미주지역 한인사회뿐만 아니라 미국사회에도 확산되어 한국인을 동정하고 한국 독립 문제를 돕는 미국인들이 급증하기 시작했다. 이런 미국인들은 미주지역 한인독립운동가들이 계획하였거나 조직한 단체와 행사 등에 동참해 기꺼이 한국독립을 지지하였다. 또한 스스로 한국친우회를 결성하거나 저서를 발행해 한국 독립을 지원하였다. 미국 의회의 의원들은 한국독립을 동정하는 연설을 하거나 결의안을 채택을 주도해 미국 정부로 하여금 한국 독립을 지원하거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승인을 위해 압력을 행사하였다.
      해방이전 한국독립운동을 도운 미국인들은 본고에서 언급한 인물만은 아닐 것이다. 앞으로 연구가 진척되면 더 조명 받아야 할 인물들이 적지 않게 발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독립운동을 도운 미국인들은 미주지역 한인 독립운동가들에게 큰 후원자이자 동역자로 활동하였다. 뿐만 아니라 전체 한국독립운동을 추진하는데 없어서는 안 될 귀중한 존재였다. 따라서 주목을 받을 만한 인물이든 그렇지 못한 인물이든 미국에서 한국 독립을 도운 미국인들의 가치는 일본과 싸우는 무장 항일독립군 못지않게 한국독립운동의 역사에서 귀중한 역사적 자산으로 평가할 만하다.
      번역하기

      본 글은 해방이전 미국에서 한국독립운동을 도운 미국인들은 어떤 인물이었는가를 고찰한 논문이다. 그동안 미국인의 신분으로 한국독립운동을 도운 인물에 대한 연구는 몇몇 국내 선교사...

      본 글은 해방이전 미국에서 한국독립운동을 도운 미국인들은 어떤 인물이었는가를 고찰한 논문이다. 그동안 미국인의 신분으로 한국독립운동을 도운 인물에 대한 연구는 몇몇 국내 선교사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미국 내에서 미국인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 독립을 위해 벌인 활동과 업적을 제대로 조명해 본 적은 거의 없었던 것 같다. 때문에 국내에서 활동한 미국인들과 달리 미국에서 활동한 미국인들 중에 한국 독립 유공자로 인정받은 인물은 단 한명도 나오지 못했다. 이것은 미국에서 한국 독립을 위해 활동한 미국인들의 수나 활동의 질이 국내의 것보다 훨씬 적었거나 미약했기 때문이 아니었다.
      그동안 미국 현지에서 한국독립을 돕는데 앞장선 미국인들에 대해 주목하지 못한 주된 요인은 미국인 중심으로 한국문제를 바라보고자 하는 관심과 관점의 부족 때문이었다. 한국의 독립문제를 한국인의 시각에서 만 보려고 했던 것이 외국인, 특히 미국인의 활동상을 간과했던 것 같다. 본고는 이런 점을 감안하여 3 ?1운동시기부터 제2차 세계대전시기까지 미국에서 한국인과 한국 문제에 관심을 갖고 한국 독립을 도운 미국인에 대해 집중 조명하였다.
      국내 3?1운동의 소식과 영향은 미주지역 한인사회뿐만 아니라 미국사회에도 확산되어 한국인을 동정하고 한국 독립 문제를 돕는 미국인들이 급증하기 시작했다. 이런 미국인들은 미주지역 한인독립운동가들이 계획하였거나 조직한 단체와 행사 등에 동참해 기꺼이 한국독립을 지지하였다. 또한 스스로 한국친우회를 결성하거나 저서를 발행해 한국 독립을 지원하였다. 미국 의회의 의원들은 한국독립을 동정하는 연설을 하거나 결의안을 채택을 주도해 미국 정부로 하여금 한국 독립을 지원하거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승인을 위해 압력을 행사하였다.
      해방이전 한국독립운동을 도운 미국인들은 본고에서 언급한 인물만은 아닐 것이다. 앞으로 연구가 진척되면 더 조명 받아야 할 인물들이 적지 않게 발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독립운동을 도운 미국인들은 미주지역 한인 독립운동가들에게 큰 후원자이자 동역자로 활동하였다. 뿐만 아니라 전체 한국독립운동을 추진하는데 없어서는 안 될 귀중한 존재였다. 따라서 주목을 받을 만한 인물이든 그렇지 못한 인물이든 미국에서 한국 독립을 도운 미국인들의 가치는 일본과 싸우는 무장 항일독립군 못지않게 한국독립운동의 역사에서 귀중한 역사적 자산으로 평가할 만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3 ? 1운동∼워싱턴회의시기 활동한 미국인
      • 3. 제2차 세계대전시기 활동한 미국인
      • 4. 맺음말
      • 참고문헌
      • 1. 머리말
      • 2. 3 ? 1운동∼워싱턴회의시기 활동한 미국인
      • 3. 제2차 세계대전시기 활동한 미국인
      • 4.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요약
      • 영문요약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승태, "한말·일제강점기 선교사 연구"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6

      2 이만열, "한말 구미 제국의 대한 선교정책에 과한 연구 선교사들의 한국정치상황에 대한 자세와 관련하여" 84 : 1993

      3 신복룡, "한국독립운동의 진상" 집문당 1999

      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독립운동사 3" 1983

      5 손정숙, "한국 근대 주한 미국공사연구" 2005

      6 "태평양주보"

      7 원성옥, "최초의 한국의회" 범한서적 1986

      8 류대영, "초기 미국선교사 연구"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1

      9 Richard S. Kim, "초국가적 국가 건설운동, In 미주한인의 민족운동" 혜안 2003

      10 "주미외교위원부통신"

      1 김승태, "한말·일제강점기 선교사 연구"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6

      2 이만열, "한말 구미 제국의 대한 선교정책에 과한 연구 선교사들의 한국정치상황에 대한 자세와 관련하여" 84 : 1993

      3 신복룡, "한국독립운동의 진상" 집문당 1999

      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독립운동사 3" 1983

      5 손정숙, "한국 근대 주한 미국공사연구" 2005

      6 "태평양주보"

      7 원성옥, "최초의 한국의회" 범한서적 1986

      8 류대영, "초기 미국선교사 연구"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1

      9 Richard S. Kim, "초국가적 국가 건설운동, In 미주한인의 민족운동" 혜안 2003

      10 "주미외교위원부통신"

      11 김정주, "조선통치사료 8" 1970

      12 손정숙, "제3부 한국근,현대사의 재조명 : 구한말 주한 미국공사들의 활동과 개인문서 현황" 이화사학연구소 (30) : 281-302, 2003

      13 홍선표, "재미한인의 꿈과 도전" 연세대 출판부 2011

      14 강동진, "일제의 한국침략정책사" 한길사 1987

      15 정병준, "이승만의 정치고문들" 43 : 1998

      16 오유석, "이승만의 미국인 ‘사설 고문단’" 25 : 1994

      17 고정휴, "이승만과 한국독립운동"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4

      18 연세대학교 현대한국학연구소, "우남이승만문서(동문편)9권·12권·16권" 1998

      19 "신한민보"

      20 김승태, "식민권력과 종교"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2

      21 이원순, "세기를 넘어서" 신태양사 1989

      22 홍선표, "서재필의 독립운동(1919~1922)연구" 7 : 1993

      23 국가보훈처, "미주한인민족운동자료" 국가보훈처 1998

      24 량기백, "미의사록 한국관계 기록요약집(1878∼1949)" 선인 2008

      25 안종철, "미국 선교사와 한미관계, 1931-1948"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0

      26 "동아일보"

      27 국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4" 1972

      28 "독립신문"

      29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18권·20권" 2007

      30 김승태, "내한선교사총람(1884ꠏ1984)"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4

      31 이정식, "구한말의 개혁 ‧ 독립투사 서재필" 서울대출판부 2003

      32 김현숙, "구한말 고문관 데니의 반청외교활동의 성격과 경제개방정책" 29 : 1996

      33 김현숙, "구한말 고문관 데니의 ꡔ청한론ꡕ 분석" 23 : 1997

      34 류대영, "개화기 조선과 미국 선교사"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4

      35 최병헌, "강변에 앉아 울었노라" 깊은샘 1992

      36 김현숙, "韓國 近代 西洋人 顧問官 硏究 (1882-1904)"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37 조선총독부경무국, "米國ニ於ケル朝鮮獨立運動ニ關スル調査報告書" 1921

      38 趙英烈, "日帝下 改新敎宣敎師 연구 (1905-1920) : 美國宣敎指導部의 政治的動向을 중심으로"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2

      39 "Korea Review"

      40 "Congressional Record"

      41 안종철, "3ㆍ1운동, 선교사 그리고 미일간의 교섭과 타결" 한국민족운동사학회 (53) : 49-82, 2007

      42 민경배, "3 ․ 1운동과 외국선교사들의 관여문제" 59 :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2 1.442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