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본 청소년기 아버지 사별 경험이 성인여성의 성장에 미친 영향 = The Influences of the Bereavement of Fathers during the Adolescence on the Processes of psychological Growth in Adult Women Using Narrative Inqui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940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adult women who overcame lost their fathers during the adolescence understand in depth by reconstructing the meaning of the bereavement experiences using narrative inquiry. To do this, the narrative data of thre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adult women who overcame lost their fathers during the adolescence understand in depth by reconstructing the meaning of the bereavement experiences using narrative inquiry. To do this, the narrative data of three participants were reconstructed into a narrative exploration space consisting of the temporal, social, and place dimensions suggested by Clandinin and Connelly(2006). As result, the bereavement experiences have led them to develop three life strategies for survival; ‘active taking over caring roles’, ‘maintaining voluntarily structured frameworks’, and ‘bearing the difficulties throughly and calmly’. The six impacts of the bereavement on their lives were as follows; 1) They realized that their childhood personalities were developed through their relationship with father 2) They lived with an impressive memory of their father, 3) They had to accept and endure lives without fathers by their own efforts 4) They choose male partners based upon the imprinted father’s images 5) They lived with the replaced images of fathers 6) They could realized who they were through the stories concerning their fathers. The participants could identify the meanings of the bereavement experiences in their lives during the course of the narrative study as follows; They have tried to overcome economic, emotional, and social difficulties by their own efforts and to support for family members while supporting themselves. They have also protected themselves by break off relationships with paternal relatives, minimized social networks, and chose spouses unlike their fathers who died early. They have overcome the impacts of the fathers’ deaths by tolerating fear, anxiety, sadness and guilt in their own way and idealizing their fathers to whom they wished to attach. In this way, they could reconstruct their identity through the narratives they produced regarding their lives after losing fathers, and thereby could recognize that their personalities were developed with the disciplines and nurturing by their fathers in childhood. They also could confirm identify their fathers loved them and change fathers’ negative images into the positive ones, which allowed them to improve their capacities to understand self and other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research questions were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에 아버지를 사별한 성인여성 3인의 내러티브를 통해 사별 경험을 재구성하여 그들에게 사별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Cla...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에 아버지를 사별한 성인여성 3인의 내러티브를 통해 사별 경험을 재구성하여 그들에게 사별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Clandinin 과 Connelly(2006)가 제안한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에 따라 연구참여자의 경험과 의미를 시간․사회․장소의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공간으로 재구성하였다. 이들은 사별 경험을 ‘돌보는 역할의 책임을 의무화함’, ‘스스로 만든 틀에 갇혀 얽매임’, ‘철저하고 냉정하게 버텨냄’으로 감당하고 있었다. 아버지 사별로 인해 연구참여자들의 삶에 미친 영향은 다음과 같이 6가지로 나타났다. 이들은 ‘아버지와의 관계를 통해 어린 시절 성격이 형성’되었고, ‘아버지와의 인상적인 추억’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었으며, ‘아버지의 사별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수용하였다. 더 나아가 이들은 ‘각인된 아버지상이 남성을 선택하는 기준’이 되었고, ‘대체된 아버지의 이미지’를 가지고 살았으며, ‘아버지 이야기를 통해 자기를 자각’하게 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은 내러티브 탐구과정을 거쳐 청소년기 아버지 사별 경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삶의 의미를 확인하였다. 이들은 아버지 상실의 영향으로 경제․정서․사회적 어려움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극복하였고, 시공간을 가족들에게 양보하였으며, 가족을 원조함으로써 ‘홀로서기의 강화’된 삶을 살아왔다. 이후 연구참여자들은 자기를 보호하기 위해 ‘친가와의 관계를 단절’하였고 ‘사회적 관계망을 축소’하였으며, ‘아버지와 반대되는 남성을 배우자로 선택’하였다. 이들은 공포감, 불안감, 슬픔, 죄책감의 고통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감내하였고, 아버지의 이미지를 미화하여 결핍된 애착 대상에 대한 ‘회복적 애도의 과정’을 거침으로써 사별을 극복하였다. 이들은 또한 아버지 부재를 통해 ‘자아 정체성’을 새롭게 재구성하여 ‘어린 시절 아버지의 훈육과 양육’으로 ‘자기 인성이 형성’되었음을 자각하였다. 그리고 ‘아버지에게 사랑받은 존재’였음을 확인하였고 ‘부정적이었던 아버지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 과제에 대하여 제언을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cott, L., "현대성과 정체성" 현대미학사 1997

      2 박영신, "한국 청소년의 삶의 질과 인간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801-836, 2008

      3 홍경자, "한계상황으로서의 죽음의식이 삶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 -야스퍼스 철학을 중심으로-" 철학연구소 33 : 9-36, 2013

      4 유정, "트라우마 생존자의 정보처리 : 내러티브 면담의 응집성과 담화처리 모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5 정지원, "친밀한 친구집단의 크기와 청소년 비행" 한국사회학회 46 (46): 177-209, 2012

      6 조선화, "청소년이 지각하는 아버지상 척도개발" 한국아동학회 25 (25): 53-68, 2004

      7 이미리, "청소년 심리 및 상담" 학지사 2019

      8 조용환, "질적 연구의 원리와 기법" 2018

      9 조용환, "질적 연구 :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2016

      10 김대군, "윤리상담에서 이야기상담의 의의" 한국윤리학회 1 (1): 117-142, 2017

      1 Scott, L., "현대성과 정체성" 현대미학사 1997

      2 박영신, "한국 청소년의 삶의 질과 인간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801-836, 2008

      3 홍경자, "한계상황으로서의 죽음의식이 삶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 -야스퍼스 철학을 중심으로-" 철학연구소 33 : 9-36, 2013

      4 유정, "트라우마 생존자의 정보처리 : 내러티브 면담의 응집성과 담화처리 모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5 정지원, "친밀한 친구집단의 크기와 청소년 비행" 한국사회학회 46 (46): 177-209, 2012

      6 조선화, "청소년이 지각하는 아버지상 척도개발" 한국아동학회 25 (25): 53-68, 2004

      7 이미리, "청소년 심리 및 상담" 학지사 2019

      8 조용환, "질적 연구의 원리와 기법" 2018

      9 조용환, "질적 연구 :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2016

      10 김대군, "윤리상담에서 이야기상담의 의의" 한국윤리학회 1 (1): 117-142, 2017

      11 이지현, "예비노인의 친구관계망 특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32): 170-205, 2012

      12 이명윤, "알코올중독자의 장기간 단주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상담학회 16 (16): 23-37, 2015

      13 전혜경,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 미치는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3 (13): 1233-1252, 2012

      14 이미현, "아버지와 사별한 청소년 자녀의 적응 경험" 한국상담학회 20 (20): 227-248, 2019

      15 신현정, "아동상담에서의 어머니 변화: 치료놀이(Theraplay)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20 (20): 65-97, 2008

      16 이민아, "아동기 부모의 사망과 성인기 우울의 관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6 (36): 5-33, 2016

      17 Pledge, D. S, "아동 및 청소년 상담" 시그마 프레스 2009

      18 김윤옥, "상호주관적 화법의 특성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34) : 39-65, 2006

      19 최선재, "상실 경험의 의미 재구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14 (14): 323-341, 2013

      20 이민아, "사회적 연결망의 크기와 우울: U자형 관계와 대인신뢰의 조절효과" 한국사회학회 47 (47): 171-200, 2013

      21 차유림, "사별 가족 연구 동향 분석 : 1994년부터 2013년상반기까지"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7 (17): 134-141, 2014

      22 박수진, "부(父)의 사별을 경험한 청소년의정서인식 및 표현에 관한 미술 치료적 내러티브 탐구: 단일사례 질적 연구방법의 활용" 차의과학대학교 2018

      23 나미수, "미디어 연구를 위한 질적 방법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24 Clandinin, D. J., "내러티브 탐구의 이해와 실천" 교육과학사 2015

      25 홍영숙, "내러티브 탐구에 대한 이해와 실제" 숭실대학교 부부가족상담연구소 2017

      26 Alexander, I., "굿바이 가족트라우마" 을유문화사 2018

      27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9

      28 권정순, "父子가정 청소년의 어머니 부재 경험" 한국아동간호학회 8 (8): 86-96, 2002

      29 Jackson, L. M., "Where’s my daddy? Effects of fatherlessness on women’s relational communication" San Jose State University 2010

      30 Tedeschi, R. G., "Trauma and transformation: Growing in the after math of suffering" Sage 1995

      31 Wolcott, H., "Transforming qualitative data: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Sage 1994

      32 Klein, K., "The writing Cure: How expressive writing promotes health and emotional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2

      33 Murphy, S. A., "The use of research findings in bereavement programs: A case study" 24 (24): 585-602, 2000

      34 Fitzgerald, J. F., "The role of the father in Anorexia" 30 (30): 71-84, 2000

      35 McAdams, D. P., "The redemptive self: Stories Americans live by"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36 Weber, M., "The methodology of the social sciences" Free Press of Glencoe 1-180, 1949

      37 Krohn, F., "The effects absent fathers have on female development and college attendance" 35 (35): 598-612, 2001

      38 Clandinin, D. J., "Stories to live by : Narrative understandings of school reform" 28 (28): 149-161, 1998

      39 Roberta, T., "Solace: Finding your way through grief and learning to live again" Amacom books 2009

      40 Sandler, I. N., "Resilience rather than recovery: a contextual framework on adaptation following bereavement" 32 (32): 59-73, 2008

      41 Ulmer, A., "Purpose in life: A moderator of recovery from bereavement" 23 (23): 279-289, 1991

      42 Kellermann, P. F., "Psychodrama with trauma survivors" Jessica Kingsley Publishers 2000

      43 Asbah, Z., "Positive father and daughter relationship and its impact on daughter’s Interpersonal problem" 61-68, 2018

      44 Polkinghorne, D. E., "Narrative knowing and the human science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8

      45 Neimeyer, R. A., "Meaning reconstruction & the experience of los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1

      46 Hooyman, N. R., "Living through loss: Interventions across the life span"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6

      47 Wikipedia, "Identity" Wikimedia Foundation. Inc 2019

      48 Attig, T., "How we grieve: Relearning the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49 Botta, R. A., "How do conflict and communication patterns between father and daughters contribute to or offset eating disorders?" 14 (14): 199-219, 2002

      50 Clandinin, D. J., "Handbook of narrative Inquiry:Mapping a methodology" Sage Publications. Ins 2006

      51 Clandinin, D. J., "Handbook of complementary methods in education research" Lawrence Erlbaum 477-487, 2006

      52 Neimeyer, R. A., "Grief, loss, and the quest for meaning: Narrative contributions to bereavement care" 24 (24): 27-30, 2005

      53 Worden, J. W., "Grief counseling and grief therapy:A handbook for the mental health practitioner" Springer 2002

      54 Frankl, V. E., "From death-camp to existentialism" Beacon Press 1959

      55 Sandhu, R., "Father attachment predicts adolescent girl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ntioch University Seattle 2014

      56 Hoffman, L., "Ever evolving approaches to exploring the human mind. Book essay reviewing: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ition (DSM-5), Washington, DC: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62 : 125-147, 2014

      57 Hammersley, M., "Ethnography:Principles in practice" Routledge 1995

      58 Goetz, J., "Ethnography and qualitative design in educational research" Academic Press 1984

      59 Bowlby, J., "Developmental psychiatry comes of age" 145 (145): 1-10, 1988

      60 Block, J. H., "Development of cognition, affect and social relations: The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Vol. 13)" Erlbaum 39-101, 1980

      61 Balk, D. E., "Death and adolescent bereavement" 6 (6): 7-27, 1991

      62 Volkan, V. D., "Complicated mourning" 12 : 323-348, 1985

      63 Clark, S., "Bereavement after suicide-how far have we come and where do we go from here?" 22 (22): 102-108, 2001

      64 Ducharme, J., "Attachment security with mother and father. Association with adolescents’ reports of interpersonal behavior with parents and peers" 19 (19): 203-231, 2002

      65 Lundahl, B. W., "A meta-analysis of father involvement in parent training" 18 (18): 97-106, 2008

      66 Baddeley, J. L., "A Social Interactional Model of Bereavement Narrative Disclosure" 13 (13): 202-218,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5-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 Korea Jour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9 2.19 2.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45 2.48 3.426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