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사상의 보편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niversality issues of Korean Though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93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on universality issues of Korean thought. To really understand the universality issues of Korean thought should be based on the pride and proud on Korean history and peoples. People denying the Korean history and peoples can’t analyse rightly a Korean thought. Until now, Korean history have been deployed based on rational and universal Korean soul and thought. Korean peoples have been keeping life with peaceful and harmonic thinking. Our nation has not rashly invaded the country with a force. We must deal with the Korean history and nation with above recognition on Korean history and nation. First, Korean thought has the character of Chun-il Hapil(天人合一)thought. To leave in the sky after doing our best results is the evidence of our thought’s universality. Second, Korean thought has the character of humanistic thought. The important central element is a man. Korean thought insists that a man of all thing is center. Fianlly, Korean thought keeps the character of harmonic thought.
      번역하기

      This study is on universality issues of Korean thought. To really understand the universality issues of Korean thought should be based on the pride and proud on Korean history and peoples. People denying the Korean history and peoples can’t analyse ...

      This study is on universality issues of Korean thought. To really understand the universality issues of Korean thought should be based on the pride and proud on Korean history and peoples. People denying the Korean history and peoples can’t analyse rightly a Korean thought. Until now, Korean history have been deployed based on rational and universal Korean soul and thought. Korean peoples have been keeping life with peaceful and harmonic thinking. Our nation has not rashly invaded the country with a force. We must deal with the Korean history and nation with above recognition on Korean history and nation. First, Korean thought has the character of Chun-il Hapil(天人合一)thought. To leave in the sky after doing our best results is the evidence of our thought’s universality. Second, Korean thought has the character of humanistic thought. The important central element is a man. Korean thought insists that a man of all thing is center. Fianlly, Korean thought keeps the character of harmonic though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사상의 보편성에 관해 분석한 것이다. 한국사상의 보편성문제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한국역사와 한국민족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심을 기초해야 한다. 한국역사와 한국민족을 업신여기고 부정하는 이가 어찌 한국사상을 올바르게 분석할 수 있겠는가? 유사 이래 한국역사는 합리적이고 보편적인 한국정신과 사상을 기초하여 지금까지 전개되고 있다. 한국민족 역시 평화주의적이고 조화적인 사고로써 삶을 영위하여 왔다. 힘이 있다고 해서 타방의 국가와 민족을 무자비하게 침략한 중국이나 일본과는 다른 양태를 띠고 있는 것이 바로 우리 민족이다. 이러한 우리 역사와 민족에 대한 인식을 전제로 하여 한국사상의 보편성문제를 다루어야 한다. 한국사상은 우선 천인합일적인 사상성을 지니고 있다. 한국인들은 자신의 일에 모든 역량을 바쳐 최선을 다하고 난 뒤 그 일의 결과에 대해서는 초월적이고 근본성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한 하늘에 맡겼다. 이는 우리 사상의 보편성을 웅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한국사상은 인본주의적 사상성을 지니고 있다. 한국사상에서 가장 중요한 중심인자는 바로 인간이다. 인간이 있어야 하늘도 있고 땅도 있고 세계도 있다는 것이 한국사상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사상은 조화주의적 사상성을 지니고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한국사상의 보편성에 관해 분석한 것이다. 한국사상의 보편성문제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한국역사와 한국민족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심을 기초해야 한다. 한국...

      본 논문은 한국사상의 보편성에 관해 분석한 것이다. 한국사상의 보편성문제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한국역사와 한국민족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심을 기초해야 한다. 한국역사와 한국민족을 업신여기고 부정하는 이가 어찌 한국사상을 올바르게 분석할 수 있겠는가? 유사 이래 한국역사는 합리적이고 보편적인 한국정신과 사상을 기초하여 지금까지 전개되고 있다. 한국민족 역시 평화주의적이고 조화적인 사고로써 삶을 영위하여 왔다. 힘이 있다고 해서 타방의 국가와 민족을 무자비하게 침략한 중국이나 일본과는 다른 양태를 띠고 있는 것이 바로 우리 민족이다. 이러한 우리 역사와 민족에 대한 인식을 전제로 하여 한국사상의 보편성문제를 다루어야 한다. 한국사상은 우선 천인합일적인 사상성을 지니고 있다. 한국인들은 자신의 일에 모든 역량을 바쳐 최선을 다하고 난 뒤 그 일의 결과에 대해서는 초월적이고 근본성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한 하늘에 맡겼다. 이는 우리 사상의 보편성을 웅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한국사상은 인본주의적 사상성을 지니고 있다. 한국사상에서 가장 중요한 중심인자는 바로 인간이다. 인간이 있어야 하늘도 있고 땅도 있고 세계도 있다는 것이 한국사상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사상은 조화주의적 사상성을 지니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2 지교헌, "한민족의 정신사적 기초"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

      3 박은식, "한국통사(상)" 박영사 1996

      4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사상사" 심산 2003

      5 정경환, "한국정치사상의 성격과 과제" 한국민족사상학회 (창간) : 2007

      6 정경환, "한국정치사상사 : 고대부터 현대까지" 도서출판 이경 2014

      7 김대환, "한국인의 민족의식"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5

      8 박종홍, "한국사상사" 서문당 1999

      9 한영우, "한국민족주의역사학" 일조각 1996

      10 엘리자베스 클레망, "철학사전 : 인물들과 개념들" 동녘 2006

      1 "論語"

      2 지교헌, "한민족의 정신사적 기초"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

      3 박은식, "한국통사(상)" 박영사 1996

      4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사상사" 심산 2003

      5 정경환, "한국정치사상의 성격과 과제" 한국민족사상학회 (창간) : 2007

      6 정경환, "한국정치사상사 : 고대부터 현대까지" 도서출판 이경 2014

      7 김대환, "한국인의 민족의식"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5

      8 박종홍, "한국사상사" 서문당 1999

      9 한영우, "한국민족주의역사학" 일조각 1996

      10 엘리자베스 클레망, "철학사전 : 인물들과 개념들" 동녘 2006

      11 안광복, "철학, 역사를 만나다" 웅진씽크빅 2006

      12 정경환, "조화와 조화관이란 무엇인가?(2) : 나와 대상 일체의 원칙과 원리로서의 조화를 중심으로"

      13 정경환, "조화와 조화관이란 무엇인가?(1) : 나를 중심으로 하는 외부적인 것과의 조화를 중심으로"

      14 김득황, "우리민족 우리역사" 삶과 꿈 2003

      15 정경환, "사회현실의 인식 : 역사와 세계를 보는 눈" 도서출판 이경 2008

      16 "說文"

      17 "法華經"

      18 朴鍾鴻, "朴鍾鴻 全集 Ⅳ : 한국사상사 1" 민음사 1998

      19 "後漢書"

      20 "山海經"

      21 "三國遺事"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