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무용사 서술을 위한 무용구술채록문의 색인어 추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760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근현대무용사의 서술에 있어서 무용구술채록문의 활용을 위한 색인어 목록을 개발하는데 목 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해방 이후 한국 근현대 무용교육 및 무용창작’을 주제로 하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정보관(現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자료원)의 2008년과 2009년 무용구술채록문 48편을 분석하였 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자료원의 무용채록문을 분석한 결과, 1945년 해방 직후로부터 한국무용의 형성기, 그리고 무용교육과 창작이 숙성되던 1980년대를 지나 2000년까지 한국의 근현대무용사 55년을 총망라 한 다양한 주제어가 제시되었다. ‘해방 이후 한국 근현대 무용교육 및 무용창작’의 무용구술채록문과 주제어들 은 한국근현대무용사의 자료 부족과 결락을 보완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 주제를 제시해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근현대무용사 서술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무용구술채록문의 상세목록을 한국무용사의 맥락에서 분석하고 색인어를 3단계로 추출하고 이를 목록화하였다. 이에 따라 1차 단계에서 주요 색인어를 15가지 대 항목으로 분류하고, 2차 단계에서 대항목과 연관되는 주제어를 중항목으로 도합 36건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3차 단계에서는 각 주제어와 연관된 용어 1,977건을 소항목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해방 이후 한국 근현대 무용교육 및 무용창작’의 무용구술채록문 색인어 목록은 미시적 관점에서 한국근현대무용사와 관 련된 정보를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다. 거시적 관점에서 이 목록은 한국근현대무용사에 관련된 연구, 교육, 문화콘텐츠 창작을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을 위한 분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근현대무용사의 서술에 있어서 무용구술채록문의 활용을 위한 색인어 목록을 개발하는데 목 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해방 이후 한국 근현대 무용교육 및 무용창작’을 주...

      본 연구는 한국근현대무용사의 서술에 있어서 무용구술채록문의 활용을 위한 색인어 목록을 개발하는데 목 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해방 이후 한국 근현대 무용교육 및 무용창작’을 주제로 하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정보관(現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자료원)의 2008년과 2009년 무용구술채록문 48편을 분석하였 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자료원의 무용채록문을 분석한 결과, 1945년 해방 직후로부터 한국무용의 형성기, 그리고 무용교육과 창작이 숙성되던 1980년대를 지나 2000년까지 한국의 근현대무용사 55년을 총망라 한 다양한 주제어가 제시되었다. ‘해방 이후 한국 근현대 무용교육 및 무용창작’의 무용구술채록문과 주제어들 은 한국근현대무용사의 자료 부족과 결락을 보완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 주제를 제시해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근현대무용사 서술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무용구술채록문의 상세목록을 한국무용사의 맥락에서 분석하고 색인어를 3단계로 추출하고 이를 목록화하였다. 이에 따라 1차 단계에서 주요 색인어를 15가지 대 항목으로 분류하고, 2차 단계에서 대항목과 연관되는 주제어를 중항목으로 도합 36건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3차 단계에서는 각 주제어와 연관된 용어 1,977건을 소항목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해방 이후 한국 근현대 무용교육 및 무용창작’의 무용구술채록문 색인어 목록은 미시적 관점에서 한국근현대무용사와 관 련된 정보를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다. 거시적 관점에서 이 목록은 한국근현대무용사에 관련된 연구, 교육, 문화콘텐츠 창작을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을 위한 분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ata related to the Korean modern dance history after the liberation is so poor, thus, most Korean dance historians feel like this period as “vacant of history.” Due to the nature of dances that disappeared right after the performance, the record of dance is always poorer than the other arts. Especially the technology of photo and video recording was not even a mean age at the time, the dance was only remained in the memory and experience of dancers and the audience. Oral dance history is a new scholastic field that collect and research those people’s memories and experiences. With the development of oral history, dance historians have possibility to write a new dance history. Thought oral dance history targeted at living dancers and utilized personal experience, most of the topic areas related to modern and contemporary dance periods and provided concrete evidence. Above all, oral history narratives as the primary source of oral dance history suggest new horizons for writing contemporary Korean dance history in the 20th century. In the dancer’s oral statement, it contains the growth process of dancer, and dancer’s regional, educational, occupational background, etc. That is, the dancer’s narratives are similar to anthropological, sociological, psychological information. Therefore, dance historian can evaluate identity or consciousness of dancers based on narrative flow of the them. Subsequently, dance historian could research on dance structures and systematic development with deeper understan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list of key words for oral dance history statements. For this purpose, 48 oral dance history scripts of the Archive for Performing Arts at the Korea National Arts Council (KNAC) in 2008 and 2009 were analyzed.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oral dance history scripts of KNAC displayed various aspects of data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showing the missing data and lack of data in the past 55 years. Upon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oral dance history scripts, this study made list of key words considering the uniqueness of Korea dance history. First, 15 key words were cataloged as labeled terms. Then, 36 sub-terms were derived for the items that are associated with labeled items. Finally, 1,977 final-terms were extracted for the items associated with each topic in the sub-terms. In microscopic viewpoint, the key words list relating to the contemporary Korean dance history could be utilized for querying resources of writing Korean dance history in the 20th century. Macroscopically the list could be efficiently utilized for infrastructure of database of oral history involved in education, research, cultural contents.
      번역하기

      Data related to the Korean modern dance history after the liberation is so poor, thus, most Korean dance historians feel like this period as “vacant of history.” Due to the nature of dances that disappeared right after the performance, the record ...

      Data related to the Korean modern dance history after the liberation is so poor, thus, most Korean dance historians feel like this period as “vacant of history.” Due to the nature of dances that disappeared right after the performance, the record of dance is always poorer than the other arts. Especially the technology of photo and video recording was not even a mean age at the time, the dance was only remained in the memory and experience of dancers and the audience. Oral dance history is a new scholastic field that collect and research those people’s memories and experiences. With the development of oral history, dance historians have possibility to write a new dance history. Thought oral dance history targeted at living dancers and utilized personal experience, most of the topic areas related to modern and contemporary dance periods and provided concrete evidence. Above all, oral history narratives as the primary source of oral dance history suggest new horizons for writing contemporary Korean dance history in the 20th century. In the dancer’s oral statement, it contains the growth process of dancer, and dancer’s regional, educational, occupational background, etc. That is, the dancer’s narratives are similar to anthropological, sociological, psychological information. Therefore, dance historian can evaluate identity or consciousness of dancers based on narrative flow of the them. Subsequently, dance historian could research on dance structures and systematic development with deeper understan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list of key words for oral dance history statements. For this purpose, 48 oral dance history scripts of the Archive for Performing Arts at the Korea National Arts Council (KNAC) in 2008 and 2009 were analyzed.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oral dance history scripts of KNAC displayed various aspects of data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showing the missing data and lack of data in the past 55 years. Upon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oral dance history scripts, this study made list of key words considering the uniqueness of Korea dance history. First, 15 key words were cataloged as labeled terms. Then, 36 sub-terms were derived for the items that are associated with labeled items. Finally, 1,977 final-terms were extracted for the items associated with each topic in the sub-terms. In microscopic viewpoint, the key words list relating to the contemporary Korean dance history could be utilized for querying resources of writing Korean dance history in the 20th century. Macroscopically the list could be efficiently utilized for infrastructure of database of oral history involved in education, research, cultural cont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새로운 역사쓰기와 무용구술사
      • 1. 새로운 역사쓰기로서의 구술사
      • 2. 무용구술사와 새로운 무용사 쓰기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새로운 역사쓰기와 무용구술사
      • 1. 새로운 역사쓰기로서의 구술사
      • 2. 무용구술사와 새로운 무용사 쓰기
      • Ⅲ. 무용사 서술을 위한 구술채록문 색인어 목록
      • 1. 무용구술채록문의 분석
      • 2. 무용사를 위한 색인어 추출 및 목록화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사편찬위원회, "현황과 방법, 구술․구술자료․구술사" 국사편찬위원회 2004

      2 김귀옥, "한국 구술사 연구 현황, 쟁점과 과제" 한국사회사학회 (71) : 313-348, 2006

      3 이동후, "제3의 구술성: ‘뉴 뉴미디어’ 시대 말의 현존 및 이용 양식" 언론정보연구소 47 (47): 43-76, 2010

      4 "위키백과"

      5 이용기, "역사학, 구술사를 만나다 ― 역사학자의 관점에서 본 구술사의 현황과 과제 ―" 한국역사연구회 (71) : 291-319, 2009

      6 윤택림, "역사인류학자의 시각에서 본 역사학-구술사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6) : 213-234, 2001

      7 리하르트 반 될멘, "역사인류학이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01

      8 윤택림, "새로운 역사 쓰기를 위한 구술사 연구방법론" 아르케 2006

      9 김명훈, "기록학적 관점에서의 구술의 의미와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학회 (24) : 73-112, 2010

      10 허영란, "구술생애사 읽기: 20세기 한국민중의 구술자서전 및 한국민중구술열전" 역사문제연구소 (16) : 171-184, 2006

      1 국사편찬위원회, "현황과 방법, 구술․구술자료․구술사" 국사편찬위원회 2004

      2 김귀옥, "한국 구술사 연구 현황, 쟁점과 과제" 한국사회사학회 (71) : 313-348, 2006

      3 이동후, "제3의 구술성: ‘뉴 뉴미디어’ 시대 말의 현존 및 이용 양식" 언론정보연구소 47 (47): 43-76, 2010

      4 "위키백과"

      5 이용기, "역사학, 구술사를 만나다 ― 역사학자의 관점에서 본 구술사의 현황과 과제 ―" 한국역사연구회 (71) : 291-319, 2009

      6 윤택림, "역사인류학자의 시각에서 본 역사학-구술사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6) : 213-234, 2001

      7 리하르트 반 될멘, "역사인류학이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01

      8 윤택림, "새로운 역사 쓰기를 위한 구술사 연구방법론" 아르케 2006

      9 김명훈, "기록학적 관점에서의 구술의 의미와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학회 (24) : 73-112, 2010

      10 허영란, "구술생애사 읽기: 20세기 한국민중의 구술자서전 및 한국민중구술열전" 역사문제연구소 (16) : 171-184, 2006

      11 함한희, "구술사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1 (1): 7-47, 2010

      12 한국구술사연구회, "구술사 방법과 사례" 선인 2005

      13 국사편찬위원회, "구술사 매뉴얼 2, 구술자료 만들기: 수집․정리․활용" 국사편찬위원회 2009

      14 김은영, "구술기록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정리방안 연구 ― 논리적 정리를 중심으로 ―" 아시아문화연구소 25 : 229-257, 2012

      15 이호신, "구술기록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 설계: 예술사구술채록사업 결과물을 중심으로" 한국구술사학회 3 (3): 2012

      16 "20세기 민중생활사연구단"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12-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DDH -> Asian Dance journal KCI등재
      2020-04-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 The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History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8-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DSDH -> The Journal of SDDH KCI등재
      2014-04-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무용기록학회 -> 무용역사기록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KCI등재
      2014-04-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무용기록학회지 -> 무용역사기록학
      외국어명 : The Korean Jounal of Dance Documentation -> The Journal of DSDH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81 0.943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